산행기록(2010년대)/산행기록(2014년)

개화산(서울 강서, 2014.10.07) - 제519회

mouner(마우너) 2014. 10. 10. 00:51

산행보고서<519>

 

1. 산행지 : 개산(開花山, 해발 131m)

서울특별시 강서구

 

2. 산행일 : 2014년 10월 7일(화)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1명)

 

4. 산행로 

발산역(11:20)→방화역(11:40 / 지하철)

→산행 출발(11:42)

→방화근린공원(11:50 / [직진] 강서둘레길-290m / [직진] 개화산-290m / [후] 치현산-120m)

→이정표(11:53 / [우측] 강서둘레길-70m / [좌측] 삼정중학교-290m / [직진] 심정쉼터-300m)

→강서둘레길 시작지점(11:54 / [좌측] 약사사/개화산 정상 / [후] 방화근린공원 정문)

→쉼터(11:58)

→이정표(운동시설 / 12:01 / [직진] 약사사-290m / [후] 방화근린공원-500m)

→이정표(12:03 / [우측] 약사사-170m / [좌측] 방원중학교-800m)

→약사사(12:05)

→개화산 전망대(12:09 / [좌측] 봉화정-90m / [후] 약사사-165m / [후] 방화역-1,650m / [직진] 상사마을-450m)

→봉화정(봉수대 / 12:12 / [후] 약사사-220m / [후] 방화역-1,590m)

→쉼터(12:15)

→이정표(12:16 / [직진] 아라뱃길 전망대-130m / [좌측] 약사사-400m / [후] 봉화정-220m / [우측] 부석신대마을-350m)

→아라뱃길 전망대(12:19)

→이정표(12:20 / [직진] 숲속쉼터-160m / [후] 봉화정-380m / [우측] 마을보호수-130m)

→숲속쉼터(12:22 / [직진] 신선바위-160m / [후] 아라뱃길 전망대-300m / [우측] 내촌마을-250m)

→신선바위(12:26)

→이정표(12:31 / [직진] 하늘길 전망대-450m / [우측] 호국충혼비/미타사-100m / [우측] 개화역-820m / [후] 신선바위-250m)

→이정표(12:35 / [직진] 하늘전망대-220m / [좌측] 약사사-700m / [후] 신선바위-450m / [우측] 개화역-700m)

→하늘길 전망대(12:38)

→이정표(12:41 / [좌측] 약사사-800m / [직진] 방화역-860m / [후] 하늘길 전망대-80m / [우측] 개화산역-830m)

→이정표(운동시설 / 12:44 / [직진] 약사사-640m / [직진] 방화근린공원-930m / [후] 개화초등학교-660m / [후] 방원중학교/진로아파트-550m)

→갈림길(12:46)

→이정표(12:49 / [직진] 개화역-700m / [좌측] 하늘전망대-220m / [후] 약사사-700m / [우측] 신선바위-450m)

→운동시설(12:56)

→개화동(12:59)→개화검문소(13:02)

※ 총산행시간 : 1시간 20분

※ 총산행거리 : 3.94Km(트랭글 기준)

 

5. 교통편

⇒ 발산역에서 방화역까지 지하철 5호선 이용(0:20 소요 / 1,050원)

개화검문소에서 안국역까지 601번 시내버스 이용(1:00 소요 / 1,050원)

 

6. 산행비 : 교통비 2,100원

 

7. 산 행

방화역에서 하차하여 도로를 따라 방화근린공원으로 들어선 후 강서둘레길 시작지점에서 약사사/개화산 정상 방면의 계단길로 본격적인 산행 출발.

계단 오르막 길을 5분여 오르게 되면 작은 쉼터(좌측)를 지나 운동시설이 있는 곳에 도착. 이후 우측의 숲길을 내려서면 포장도로(방원중~약사사)로 우측으로 포장도로를 잠시 걷게 되면 약사사. 약사사 우측 담장을 따라 계단길을 잠시 오르게 되면 헬기장으로 우측은 개화산 전망대. 데크에 올라서면 방화대교, 하늘공원 등이 조망되고 데크에는 겸재 정선의 그림과 실제 전경을 비교한 안내문 등이 설치.

헬기장에서 우측의 한강 방면으로는 상사마을(450m)이며 좌측의 오르막 길로 잠시 오르게 되면 봉화정이 있는 넓은 공터. 봉화정 좌측으로 올라서면 태극기 게양대를 지나 내리막 숲길이 시작. 이후 사거리 갈림길(좌측 - 약사사, 우측 - 부석/신대마을)에서 정면의 아라뱃길 전망대 방면으로 들어서면 나무데크로 만들어진 등산로가 시작. 잠시 후 아라뱃길 전망대로 멀리 김포터미널과 배후단지가 조망. 이후 마을 보호수(우측) 갈림길에서 직진하게 되면 숲속 쉼터를 지나 신선바위. 신선바위 주변은 작은 공터로 주위 조망이 좋은 곳. 이후 완만한 능선길을 따라 내려가다가 미타사 입구 이정표를 지나 하늘길전망대 방면 완만한 능선길을 걷게 되면 김포공항과 강서공영차고지, 계양산 방면이 조망되는 하늘길 전망대.

하늘길 전망대 이후 개화산자락길이 시작되는 갈림길에서 좌측의 약사사 방면으로 완만한 오르막 길을 오르게 되면 운동시설이 있는 곳. 계속해서 약사사 방면으로 걷다가 삼거리 갈림길에서 좌측의 계단으로 내려서면 신선바위~하늘길전망대로 이어지는 둘레길과 만나는 사거리 갈림길. 갈림길에서 계속해서 개화역 방면 계단길로 내려서다가 좌측으로 걷게 되면 운동시설이 있는 곳을 지나 개화동 주택가에 도착. 주택가를 지나 지하차도를 건너게 되면 개화역(강서공영차고지) 입구인 개화검문소에 도착.

 

<방화근린공원 표지석>

 

<개화산과 치현산 방면 갈림길 이정표>

 

<방화근린공원 종합 안내도>

 

<심정쉼터, 강서둘레길 시작지점 방면 갈림길 이정표>

 

<강서둘레길 시작지점>

 

<강서둘레길 중턱의 쉼터>

 

<개쑥부쟁이, 맥문동, 기린초, 바위취 안내문>

 

<등산로 주위에 검게 익어가는 맥문동 열매>

 

<약사사 방면 이정표(운동시설)>

 

<등산로 주위에 핀 들국화>

 

<개화산 안내문>

 

<방원중학교(좌측)와 약사사(우측) 방면 갈림길 이정표>

 

<약사사 안내문>

 

<노란 국화로 꾸며진 약사사 대웅전과 3층 석탑>

 

<개화산 약사사 입구 - 10.1부터 무료 공양이 폐지되었다는 안내문>

 

<약사사에서 개화산 전망대로 오르는 등산로>

 

<봉화정(좌측), 상사마을(정면) 방면 갈림길 이정표 - 개화산전망대 입구>

 

<개화산 전망대 이정표>

 

<서울시 선정 우수 조망명소 안내도 - 개화산전망대>

 

<개화산전망대에서 바라본 방화대교와 한강 방면 전경>

 

<개화산전망대에서 봉화정으로 오르는 등산로>

 

<강서둘레길 1코스 방면 이정표 - 봉화정 입구>

 

<개화산 봉수대와 안내문 - 봉화정 앞>

 

<강서둘레길 안내도 - 봉화정 옆>

 

<봉화정 뒤편 쉼터의 테이블>

 

<약사사(좌측), 부석신대마을(우측), 아라뱃길전망대(정면) 방면 갈림길 이정표>

 

<좌측의 약사사 방면으로 오르는 계단길>

 

<봉화정과 아라뱃길전망대 사이의 등산로>

 

<등산로 주위에 핀 물봉선화>

 

<아라뱃길전망대 방면으로 시작되는 등산로 데크>

 

<아라뱃길전망대 이정표>

 

<아라뱃길전망대에서 바라본 김포터미널 방면 전경>

 

<숲속쉼터와 마을 보호수 방면 갈림길 이정표 - 아라뱃길전망대 옆>

 

<아라뱃길전망대~숲속쉼터 구간 등산로 주위의 기암절벽들>

 

<숲속쉼터 이정표와 안내문>

 

<신선바위와 내촌마을 방면 갈림길 이정표 - 숲속쉼터 앞>

 

<숲속쉼터 부근의 작은 돌탑>

 

<신선바위 아래의 기암절벽>

 

<신선바위 이정표와 소나무들>

 

<신선바위에서 내려다 본 좌측의 계양산과 개화역 방면 전경>

 

<신선바위 쉼터의 특이한 모양 바위>

 

<강서둘레길 안내도 - 신선바위>

 

<신선바위에서 미타사/하늘길전망대 방면으로 내려가는 데크 계단길>

 

<등산로 주위에 핀 서양등골나물꽃들>

 

<호국충혼비와 미타사 안내문>

 

<개화역과 호국충혼비/미타사(우측) 방면 갈림길 이정표>

 

<신선바위에서 하늘길전망대 방면 갈림길의 이정표>

 

<하늘길전망대 이정표>

 

<개화산 자락길 안내도 - 하늘길전망대>

 

<하늘길전망대의 데크 시설 - 최근 설치된 개화산자락길의 종점>

 

<개화산역/방화역/약사사 방면으로 갈라지는 갈림길 이정표>

 

<하늘길전망대 이후 좌측의 약사사 방면 오르막 길>

 

<하늘길전망대에서 좌측의 운동시설이 있는 봉우리로 오르는 등산로>

 

<운동시설들이 있는 공터>

 

<운동시설이 있는 공터의 이정표 - 약사사 방면으로 산행>

 

<운동시설이 있는 곳에서 약사사 방면으로 가다가 좌측의 계단길로 하산>

 

<강서둘레길(좌측의 하늘길전망대, 우측의 신선바위 방면)과 만나는 지점의 이정표 - 개화역 방면으로 하산>

 

<미타사와 개화역 방면으로 내려가는 계단길>

 

<등산로 옆에 있는 작은 비석과 제단>

 

<운동시설이 있는 공터>

 

<미타사와 충혼탑 방면 이정표>

 

<개화동에서 개화검문소로 연결되는 지하차도>

 

<개화산 등산지도 - 트랭글(네이버)>

 

<개화산 등산지도 - 트랭글>

 

<개화산 산행기록 - 트랭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