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보고서<517>
1. 산행지 : 북한산(北漢山, 문수봉[文殊峯] 727m, 나한봉 688m, 나월봉[蘿月峰] 657m, 증취봉[甑炊峯] 593m, 용혈봉[龍穴峯] 581m, 용출봉[龍出峯] 571m, 의상봉[彌勒峯] 502m)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북구, 은평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2. 산행일 : 2014년 10월 1일(수)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1명)
4. 산행로
발산역(12:00)
→경복궁역(12:45 / 버스)
→구기동(13:15 / 버스)
→산행 출발(13:15)
→구기탐방지원센터(13:29 / [직진] 대남문-2.5Km / [직진] 승가사-1.6Km / [직진] 문수사-2.4Km)
→박새교(13:34)
→버들치교(13:36)
→귀룽교(13:38)
→이정표(북한 03-01 / 해발 242m / 13:40 / [직진] 대남문-2.0Km / [후] 구기탐방지원센터-0.5Km)
→우정교(13:42)
→쉼터(13:45 / [직진] 대남문-1.8Km / [직진] 문수사-1.7Km / [후] 구기탐방지원센터-0.7Km / [좌측] 승가사-0.9Km)
→이정표(북한 03-02 / 해발 308m / 13:52 / [직진] 대남문-1.5Km / [후] 구기탐방지원센터-1.0Km)
→고광교(13:57)
→이정표(북한 03-03 / 해발 420m / 14:05 / [직진] 대남문-1.0Km / [후] 구기탐방지원센터-1.5Km)
→쉼터(14:10)
→절개지(14:11)
→이정표(북한 03-04 / 해발 537m / 14:19 / [직진] 대남문-0.6Km / [후] 구기탐방지원센터-1.9Km)
→이정표(14:23 / [직진] 대남문-0.3Km / [후] 구기분소-2.2Km / [좌측] 문수사-0.2Km)
→대남교(14:26)
→대남문(해발 683[656]m / 북한 03-05 / 14:32 / [좌측] 비봉-2.2Km / [후] 구기분소[구기탐방지원센터]-2.5Km / [우측] 대성문-0.3Km)
→청수동암문(북한 55-02 / 해발 694m / 14:41 / [직진] 의상봉-2.7Km / [후] 대남문-0.3Km / [좌측] 비봉-2.3Km / [좌측] 삼천탐방지원센터-4.2Km / [우측] 산성탐방지원센터-5.3Km)
→삼각점(해발 715.5m / 14:46 / [좌측] 의상봉-2.6Km / [후] 대남문-0.4Km / [직진] 산성탐방지원센터-5.1Km / [직진] 행궁지입구-1.5Km)
→나한봉입구(14:54)
→이정표(북한 56-07 / 14:57 / [직진]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3.8Km / [후] 청수동암문-0.4Km)
→이정표(14:59 / [직진] 의상봉-2.2Km / [직진] 가사당암문-1.9Km / [후] 대남문-0.8Km)
→나월봉 부근(15:05)
→이정표(15:11 / [직진] 가사당암문-1.5Km / [직진] 의상봉-1.8Km / [후] 대남문-1.2Km)
→부왕동암문(북한 56-06 / 해발 545m / 15:19 / [직진]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3.0Km / [직진] 의상봉-1.5Km / [후] 청수동암문-1.2Km / [후] 대남문-1.5Km / [좌측] 삼천탐방지원센터-2.8Km / [우측] 부왕사지-0.5Km)
→성랑지(15:22)
→부왕동여장(15:27)
→이정표(북한 56-05 / 해발 581m / 15:29 / [직진]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2.6Km / [후] 청수동암문-1.6Km)
→증취봉(해발 593m / 15:31 / 점심)→출발(15:46)
→이정표(15:49 / [직진] 의상봉-1.0Km / [직진] 산성탐방지원센터-2.5Km / [후] 대남문-2.0Km)
→용혈봉(해발 581m / 15:52)
→용출봉(해발 571[551]m / 북한 56-04 / 16:00 / [직진] 의상봉-0.7Km / [직진] 산성탐방지원센터-2.2Km[2.1Km] / [후] 대남문-2.3Km / [후] 청수동암문-2.1Km)
→가사당암문(북한 56-03 / 해발 450m / 16:10 / [직진]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1.8Km / [후] 청수동암문-2.4Km / [후] 대남문-2.7Km / [좌측] 백화사-2.0Km / [우측] 산성탐방지원센터-2.7Km)
→의상봉(헬기장 / 해발 502m / 16:17 / [직진] 백화사-1.7Km / [직진] 산성탐방지원센터-1.5Km / [후] 대남문-3.0Km)
→이정표(북한 56-02 / 해발 424m / 16:24 / [직진]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1.3Km / [후] 청수동암문-2.9Km)
→토르(16:29)
→이정표(북한 56-01 / 해발 228m / 16:41 / [직진]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0.8Km / [후] 청수동암문-3.4Km / [후] 의상봉-0.7Km / [좌측] 백화사-1.0Km)
→이정표(16:48 / [좌측] 산성탐방지원센터-0.3Km / [후] 의상봉-1.2Km / [우측] 백운대-4.0Km)
→이정표(16:51 / [직진]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0.1Km / [후] 백운대-4.2Km / [우측] 백운대-4.0Km / [우측] 북한산성 교육정보센터)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16:52 / [직진] 여기소마을 경로당-1.4Km / [후] 밤골공원지킴터-3.5Km)
→북한산성 버스정류장(17:00)→독립문역(17:40 / 버스)→발산역(18:40 / 버스)
※ 총산행시간 : 3시간 45분
※ 총산행거리 : 7.88Km
5. 교통편
⇒ 발산역에서 경복궁역까지 601번 시내버스 이용(0:30 소요 / 1,050원)
⇒ 경복궁역에서 구기동 현대빌라까지 7212번 시내버스 이용(0:20 소요 / 환승 할인 + 200원 추가)
⇒ 북한산성입구에서 독립문역까지 704번 시내버스 이용(0:25 소요 / 1,050원)
⇒ 독립문에서 발산역까지 601번 시내버스 이용(1:00 소요 / 환승 할인 + 400원 추가 / 교통 체증)
6. 산행비
교 통 비 2,700원
물품구입 850원
합 계 3,550원
7. 산 행
구기동 현대빌라(구기타운)에서 하천을 따라 10여분 걷게 되면 구기탐방지원센터. 이후 계곡을 따라 완만한 등산로가 시작되며 박새교, 버들치교, 귀룽교, 우정교 등의 다리를 지나게 되면 승가사(좌측)와 대남문(직진) 방면 갈림길 삼거리로 15분여 소요. 이후 대남문 방면으로 경사진 오르막 길이 시작되며 절개지를 지나 문수사(좌측) 갈림길을 지나면서 계단길을 오르게 되면 해발 683m의 대남문에 도착.
구기동에서 1시간 10분 소요. 대남문에서 좌측 비봉 방면으로 들어서 산성 우측의 우회로를 따라 5분여 가게 되면 청수동암문(해발 694m). 이후 성곽을 따라 잠시 오르막 길을 오르면 삼각점이 있는 해발 715.5m봉이며 좌측의 의상봉 방면으로 들어서면 급경사의 암릉구간을 내려섰다가 사고위험지구 안내문을 지나 다시 봉우리로 오르게 되면 넓은 공터의 봉우리(나한봉 추정).
이후 좌측의 암봉(나월봉)을 우회하여 25분여 암릉구간을 지나게 되면 부왕동암문에 도착. 다시 성곽을 따라 걷게 되면 거대한 바위 아래에 성랑지 안내문이 있고, 바위로 올라서면 부왕동여장 이정표. 이후 암릉구간이 이어지며 10여분 가게 되면 해발 581m의 용혈봉에 오르게 되고, 계속해서 암릉구간을 오르내리게 되고 이후 철제계단을 올라서면 해발 571m의 용출봉에 도착.
이후 급경사의 암릉구간을 10여분 내려서게 되면 가사당암문을 지나게 되며 우측 아래로는 국녕사와 대형 불상이 내려다보인다. 계속해서 완만한 능선을 오르내리게 되면 헬기장이 있는 해발 502m의 의상봉에 도착하게 되며 이후 급경사 내리막의 암릉구간의 연속. 특이한 형상의 토르 등을 지나 사고위험지구 안내문이 있는 삼거리 갈림길에서 우측의 산성탐방지원센터 방면으로 내려서게 되면 포장도로를 만나게 되며 포장도로를 따라 15분여 걷게 되면 북한산성 분소와 탐방지원센터, 북한산초등학교 등을 지나 북한산성입구 버스정류장에 도착.
<구기타운 표지석(구기동 현대빌라)>
<대동단 본부터 표지석>
<대남문, 문수사, 승가사 방면 이정표 - 구기탐방지원센터 앞>
<북한산국립공원 안내도 - 구기탐방지원센터 앞>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구기분소>
<구기탐방지원센터>
<사적 제162호 북한산성 13성문 사진>
<구기계곡의 박새교>
<등산로 주위에 핀 서양등골나물꽃>
<구기계곡의 버들치교>
<버들치교의 버들치 서식처 안내문>
<구기계곡의 귀룽교>
<북한 03-01 이정표>
<구기계곡의 우정교>
<구기삼거리로 오르는 암릉구간>
<좌측의 승가사와 대남문(문수사) 방면 갈림길(구기삼거리)의 이정표>
<탐방로 안내도 - 구기삼거리>
<구기삼거리 쉼터의 테이블>
<북한 03-02 이정표>
<완만한 계단길의 등산로>
<대남문으로 오르는 고광교>
<대남문 방면 중턱의 쉼터>
<대남문으로 오르는 돌계단길>
<북한 03-03 이정표>
<대남문으로 오르는 중턱의 쉼터>
<그물이 설치된 절개지>
<북한 03-04 이정표>
<문수사와 대남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
<대남문으로 오르는 계단길 - 대남교>
<출입금지 안내문(보현봉 및 형제봉 일원)>
<문수사 연혁 안내문>
<대남문 전경>
<북한 03-05 이정표(대남문)>
<대남문의 갈림길 이정표>
<대남문 주변에 핀 들국화(쑥부쟁이 추정)>
<북한산 국립공원 안내도 - 대남문>
<사적 제162호 북한산성 안내문>
<대남문에서 바라본 보현봉 방면 전경>
<문수봉 우회 탐방로 안내문>
<대남문에서 청수동 암문으로 가는 등산로>
<청수동 암문의 갈림길 이정표>
<청수동 암문 안내문>
<청수동 암문>
<청수동 암문에서 비봉 방면으로 내려가는 계단길>
<715봉에서 바라본 문수봉 방면 전경>
<715봉에서 바라본 문수봉 암릉 전경>
<715봉 부근에 핀 산부추꽃>
<715봉 부근에 핀 이고들빼기꽃>
<715봉의 갈림길 이정표>
<715봉의 삼각점(서울 22)>
<715봉의 삼각점 안내문>
<715봉의 발굴조사 안내문>
<715봉에서 바라본 나한봉 정상 방면 전경>
<715봉에서 바라본 나월봉~증취봉~용출봉~의상봉 능선 전경>
<715봉에서 바라본 문수봉 능선 전경>
<715봉에서 바라본 사모바위~비봉~향로봉 방면 능선 전경>
<715봉에서 나한봉 방면으로 내려가는 급경사 암릉구간>
<나한봉 입구의 출입통제>
<나한봉 부근에 붉게 물든 단풍>
<나한봉 부근의 능선에 설치된 측량기준점>
<나한봉 정상 방면 전경>
<나한봉 방면에서 바라본 715봉의 암릉구간>
<나한봉 방면에서 바라본 북한산 백운대와 인수봉 방면 전경>
<나한봉 방면에서 바라본 나월봉~증취봉~의상봉 방면 전경>
<북한 56-07 이정표>
<등산로 주변의 붉게 물들기 시작한 단풍>
<의상봉과 가사당 암문 방면 이정표 - 나월봉 입구>
<나한봉~나월봉 능선의 기암괴석들>
<나월봉 부근의 암릉구간>
<나월봉 부근의 기암괴석들>
<나월봉 부근의 암릉구간>
<붉게 물들고 있는 단풍나무>
<노랗게 물들어가고 있는 단풍>
<나월봉에서 부왕동 암문 방면으로 내려가는 암릉구간>
<의상봉과 가사당 암문 방면 이정표>
<부왕동 암문 부근의 성곽)>
<북한 56-06 이정표(부왕동 암문 부근)>
<부왕동 암문과 성곽>
<의상봉과 삼천탐방지원센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부왕동 암문 안내문>
<부왕동 암문>
<성랑지 방면으로 오르는 등산로>
<성랑지 안내문>
<성랑지 안내문 뒤편의 대형 기암괴석>
<성랑지 안내문 뒤편의 대형 기암괴석>
<성랑지에서 증취봉 방면으로 오르는 암릉구간>
<증취봉 방면 암봉의 소나무들>
<증취봉 부근의 기암괴석들>
<증취봉 부근에서 바라본 나월봉과 나한봉 방면 전경>
<부왕동 여장 안내문>
<증취봉으로 오르는 계단길>
<북한 56-05 이정표(증취봉 정상)>
<증취봉 정상의 기암괴석>
<증취봉 정상 이정표>
<증취봉에서 바라본 나월봉과 보현봉 방면 전경>
<증취봉에서 바라본 북한산 백운대 방면 전경>
<증취봉에서 내려다 본 전경>
<증취봉에서 바라본 원효봉과 염초봉 방면 전경>
<산성탐방지원센터와 의상봉 방면 이정표>
<용혈봉에서 바라본 주변 암봉들>
<용혈봉에서 바라본 주변 암봉들>
<용혈봉 정상 이정표>
<용혈봉에서 바라본 북한산 백운대 방면 전경>
<용혈봉에서 바라본 용출봉 방면 전경>
<용혈봉에서 내려가는 암릉구간>
<용혈봉에서 바라본 용출봉 아래의 기암괴석들>
<용출봉 부근의 기암괴석들>
<용출봉으로 오르는 철제 계단>
<용출봉 부근의 기암괴석들>
<용출봉 정상 이정표>
<산성탐방지원센터와 의상봉 방면 이정표 - 용출봉 정상>
<용출봉 아래의 소나무와 주변 전경>
<북한 56-04 이정표>
<용출봉 아래의 기암괴석>
<용출봉~가사당 암문 구간의 기암괴석>
<용출봉 하산로에서 내려다 본 국녕사 방면 전경>
<가사당 암문으로 내려가는 암릉구간>
<가사당 암문 주위의 작살나무 열매>
<가사당 암문>
<산성탐방지원센터, 백화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가사당 암문)>
<가사당 암문 안내문>
<북한 56-03 이정표(가사당 암문)>
<가사당 암문 위쪽의 성벽과 뒤로 보이는 용혈봉 방면 전경>
<의상봉 주위의 전경>
<의상봉 정상의 헬기장>
<백화사와 산성탐방지원센터 방면 이정표(의상봉 정상)>
<의상봉 이정표>
<의상봉 능선에서 바라본 북한산 백운대 방면 전경>
<북한 56-02 이정표>
<의상봉 하산로의 급경사 계단길>
<의상봉 하산로의 기이한 모양의 기암괴석>
<의상봉 하산로의 특이한 모양의 토르>
<의상봉 하산로 암릉구간>
<의상봉 하산로의 기암절벽에서 자라는 소나무들>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방면 하산로>
<북한 56-01 이정표>
<사고위험지구 안내문 - 의상봉~나월봉 구간>
<좌측의 백화사와 우측의 산성탐방지원센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의상봉에서 내려와 백운대~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구간 등산로와 만나는 곳>
<의상봉에서 내려와 좌측의 산성탐방지원센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탐방로 안내도 - 의상봉 하산로>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방면 이정표>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북한산국립공원 이정표 -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입구>
<북한산성 버스정류장 노선도>
<산행기록 - 트랭글>
<산행지도 - 트랭글(네이버 지도)>
<산행지도 - 트랭글>
'산행기록(2010년대) > 산행기록(2014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화산(서울 강서, 2014.10.07) - 제519회 (0) | 2014.10.10 |
---|---|
개화산(서울 강서, 2014.10.04) - 제518회 (0) | 2014.10.09 |
계룡산(충남 공주, 2014.09.27) - 제516회 (0) | 2014.09.30 |
아차산/용마산(서울 광진, 2014.09.25) - 제515회 (0) | 2014.09.29 |
인왕산(서울 종로, 2014.09.14) - 제514회 (0) | 2014.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