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산 131

개화산(서울 강서, 2024.11.17) - 제1666회

산행보고서  1. 산행지 : 개 화 산(開花山, 해발 131m)서울특별시 강서구 2. 산행일 : 2024년 11월 17일(일)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1명) 4. 산행로발산역(17:00)→방화역(17:19 / 지하철)→산행 출발(17:22)→방화근린공원 입구(17:28)→이정표(17:28 / [좌측] 강서둘레길-290m / [좌측] 개화산-290m / [우측] 치현산-120m)→이정표(17:31 / [우측] 강서둘레길-70m / [좌측] 삼정중학교-290m / [직진] 심정쉼터-300m)→강서둘레길 입구(17:32 / [좌측] 약사사-610m / [좌측] 개화산 정상-730m / [좌측] 강서둘레길 / [후] 방화근린공원 정문-310m / [직진] 강서둘레길)→쉼터(17:36)→이정표(..

개화산(서울 강서, 2024.09.29) - 제1650회

산행보고서  1. 산행지 : 개 화 산(開花山, 해발 131m)서울특별시 강서구 2. 산행일 : 2024년 9월 29일(일)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1명) 4. 산행로발산역(17:35)→방화역(18:00 / 지하철)→산행 출발(18:02)→방화근린공원 입구(18:08)→이정표(18:09 / [좌측] 강서둘레길-290m / [좌측] 개화산-290m / [우측] 치현산-120m)→이정표(18:11 / [우측] 강서둘레길-70m / [좌측] 삼정중학교-290m / [직진] 심정쉼터-300m)→강서둘레길 입구(18:12 / [좌측] 약사사-610m / [좌측] 개화산 정상-730m / [좌측] 강서둘레길 / [후] 방화근린공원 정문-310m / [직진] 강서둘레길)→쉼터(18:16)→이정표(운..

개화산(서울 강서, 2024.08.04) - 제1631회

산행보고서  1. 산행지 : 개 화 산(開花山, 해발 131m)서울특별시 강서구 2. 산행일 : 2024년 8월 4일(일)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1명) 4. 산행로 : 발산역(17:42)→국립국어원(18:30 / 시내버스)→산행 출발(18:30)→방화근린공원 입구(18:33)→이정표(18:33 / [좌측] 강서둘레길-290m / [좌측] 개화산-290m / [우측] 치현산-120m)→이정표(18:36 / [우측] 강서둘레길-70m / [좌측] 삼정중학교-290m / [직진] 심정쉼터-300m)→강서둘레길 입구(18:37 / [좌측] 약사사-610m / [좌측] 개화산 정상-730m / [후] 방화근린공원 정문-310m)→쉼터(18:42)→이정표(운동시설 / 18:44 / [직진] 약사..

개화산(서울 강서, 2024.06.09) - 제1606회

산행보고서  1. 산행지 : 개 화 산(開花山, 해발 131m)서울특별시 강서구 2. 산행일 : 2024년 6월 9일(일)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1명) 4. 산행로발산역(18:09)→방화역(18:32 / 지하철)→산행 출발(18:34)→방화근린공원 입구(18:41)→이정표(18:41 / [좌측] 강서둘레길-290m / [좌측] 개화산-290m / [우측] 치현산-120m)→이정표(18:44 / [우측] 강서둘레길-70m / [좌측] 삼정중학교-290m / [직진] 심정쉼터-300m)→강서둘레길 입구(18:45 / [좌측] 약사사-610m / [좌측] 개화산 정상-730m / [후] 방화근린공원 정문-310m)→쉼터(18:49)→이정표(운동시설 / 18:52 / [직진] 약사사-290m..

개화사(개화산, 서울 강서)

개화사(개화산) 사찰명 ㅇ 개화사[華嚴寺] 주소지 ㅇ [개화산]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 방화3동 803번지 창건자 ㅇ [미상] 창건시기 ㅇ [미상] 구분 ㅇ [미상] 기타 ㅇ 겸재 정선이 양천현감으로 재직할 때 한강에서 조망한 개화산과 절(개화사, 약사사의 옛모습)을 그린 명소 ㅇ 촬영장소 : 개화산 개화사 입구 ㅇ 촬영일자 : 2020년 6월 19일 ㅇ 촬영장소 : 개화산 개화사 입구 ㅇ 촬영일자 : 2020년 6월 19일

소국(2018.11.21 기준)

소국 품 명 ㅇ 소국 분 류 특 징 비 고 촬영지역 ㅇ 개화산 : 2018.10.31/2018.11.21 ㅇ 안산 : 2017.10.03/2017.10.21/2017.10.29 ㅇ 인왕산 : 2018.11.09 ㅇ 촬영일자 : 2017년 10월 3일 ㅇ 촬영장소 : 안산 안산천약수터 방면 자락길 ㅇ 촬영일자 : 2017년 10월 21일 ㅇ 촬영장소 : 안산 안산천약수터 방면 자락길 ㅇ 촬영일자 : 2017년 10월 21일 ㅇ 촬영장소 : 안산 안산천약수터 방면 자락길 ㅇ 촬영일자 : 2017년 10월 29일 ㅇ 촬영장소 : 안산 안산천약수터 방면 자락길 ㅇ 촬영일자 : 2018년 10월 31일 ㅇ 촬영장소 : 개화산 운동시설 부근 ㅇ 촬영일자 : 2018년 11월 9일 ㅇ 촬영장소 : 인왕산 성곽길 ㅇ ..

서양등골나물(2018.11.09 기준)

서양등골나물 품 명 ㅇ 서양등골나물(white-snakeroot), 미국등골나물, 사근초 분 류 ㅇ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등골나물속 특 징 ㅇ 여러해살이풀 ㅇ 북미 원산의 귀화식물 ㅇ 7~9월에 개화(흰색) ㅇ 줄기는 높이 30~130cm ㅇ 잎은 마주나며 잎몸은 난형으로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음 ㅇ 잎자루는 길이 2~6cm ㅇ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산방꽃차례를 이룸 ㅇ 머리모양꽃은 관모양꽃으로만 이루어짐 ㅇ 모인꽃사개는 원통형이고 꽃사개는 10개 정도로 1줄로 붙음 비 고 ㅇ 유사종 : 등골나물 촬영지역 ㅇ 개화산 : 2014.10.04/2014.10.07/2016.10.01/2017.09.23/2018.09.26 ㅇ 백련산 : 2016.10.03 ㅇ 북악산 :..

생강나무(2019.04.10 기준)

생강나무 품 명 ㅇ 생강나무(生薑나무) - 생강나무 : ① 나무가지를 꺾거나 상처가 나면 생강 냄새가 나는 특성에서 유래 ② 어린 가지와 잎을 말려서 가루로 만든 후 생강 대신 향료로 쓸 수 있는데서 유래 산호초(山胡椒), 삼찬풍(三鑽風), 납매(蠟梅), 새앙나무, 생나무, 아위나무 산동백나무, 아귀나무, 동박나무, 아구사리, 아사리, 개동백나무 분 류 ㅇ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녹나무목 > 녹나무과 > 생강나무속 특 징 ㅇ 3~4월에 노란색 꽃으로 개화 ㅇ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짧은 꽃대에 작은 꽃들이 모여 산형 꽃차례로 달림 ㅇ 암수딴그루 ㅇ 수꽃에는 길게 갈라진 꽃덮이 조각 6개와 9개의 수술 ㅇ 암꽃에는 꽃덮이 조각 6개와 1개의 암술, 헛수술 9개 비 고 ㅇ 유사종 : 산수유 촬영지역 ㅇ 가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