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보고서<473>
1. 산행지 : 북한산(족두리봉 367m, 향로봉 536m, 비봉 560m, 응봉 323m)
서울특별시 은평구, 종로구. 경기도 고양시
2. 산행일 : 2014년 4월 5일(토)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2명)
4. 산행로
발산역(07:25)→마포구청역(07:40 / 버스)
→독바위역(08:00 / 지하철)→산행 출발(08:10)
→이정표(08:19 / [직진] 장미공원-2.3Km / [좌측] 불광중학교-0.4Km)
→정진사입구(08:20 / [직진] 장미공원-2.2Km / [직진] 족두리봉-1.1Km / [후] 불광중학교-0.5Km / [좌측] 정진사-0.1Km)
→정진공원지킴터(08:27 / [좌측] 족두리봉-0.9Km / [후] 불광중학교-0.7Km / [직진] 장미공원-2.0Km)
→이정표(08:35 / [우측] 족두리봉-0.8Km / [후] 정진공원-0.3Km / [좌측] 불광공원지킴터-0.3Km)
→이정표(북한 65-01 / 해발 200m / 08:41 / [직진] 향로봉-2.3Km / [후] 정진공원지킴터-0.5Km)
→이정표(09:19 / [직진] 족두리봉-0.3Km / [후] 불광공원지킴터-0.8Km)
→족두리봉입구(09:22 / [좌측] 비봉-2.3Km / [좌측] 향로봉-1.7Km / [후] 불광공원지킴터-1.1Km)
→족두리봉(해발 370m / 09:24)
→족두리봉입구(09:34)
→이정표(북한 65-02 / 해발 323m / 09:35 / [직진] 향로봉-1.8Km / [후] 정진공원지킴터-1.0Km)
→족두리봉 산불감시초소(09:42 / [좌측] 향로봉-1.4Km / [좌측] 비봉-2.0Km / [후] 불광공원지킴터-1.4Km)
→이정표(북한 65-03 / 09:46 / [직진] 향로봉-1.4Km / [후] 정진공원지킴터-1.4Km)
→송전탑(09:57)
→이정표(북한 66-03 / 해발 308m / 10:01 / [직진] 향로봉-0.8Km[0.5Km] / [후] 족두리봉-0.9Km / [좌측] 불광공원지킴터-1.3Km / [우측] 구기터널공원지킴터-1.3Km[1.6Km] / [우측] 탕춘대공원지킴터-0.7Km)
→향로봉 산불감시초소(북한 65-04 / 해발 402m / 10:14 / [직진] 향로봉-0.7Km / [직진] 비봉-1.1Km / [후] 정진공원지킴터-2.1Km / [후] 족두리봉-1.2Km / [우측] 상명대-2.0Km / [우측] 탕춘대공원지킴터-0.8Km)
→이정표(10:19 / [직진] 사모바위-1.5Km / [후] 족두리봉-1.3Km)
→향로봉(해발 535m / 10:36 / 점심)
→관봉(11:41)
→이정표(북한 61-04 / 해발 515m / 11:46 / [좌측] 진관공원지킴터-2.4Km / [후] 향로봉-0.3Km / [직진] 사모바위-0.8Km / [직진] 비봉-0.2Km / [우측] 비봉탐방지원센터-1.3Km)
→이정표(11:48 / [직진] 대남문-2.3Km / [후] 족두리봉-2.3Km / [좌측] 진관공원지킴터-2.3Km)
→비봉 산불감시초소(해발 560m / 11:49)
→비봉(12:00)
→비봉입구(12:11)
→이정표(북한 01-03 / 12:14 / [직진] 대남문-1.9Km / [후] 비봉탐방지원센터-1.9Km)
→이정표(12:16 / [직진] 대남문-1.9Km / [후] 비봉-0.4Km / [우측] 승가사-0.7Km)
→사모바위(해발 560m / 12:20 / [좌측] 삼천탐방지원센터-3.3Km / [좌측] 진관공원지킴터-2.6Km / [후] 비봉-0.5Km / [직진] 대남문-1.8Km)
→이정표(북한 59-03 / 12:31 / [직진] 삼천사계곡 하단-1.8Km / [후] 응봉능선-0.4Km)
→이정표(북한 59-02 / 12:42 / [직진] 삼천사계곡 하단-1.2Km / [후] 응봉능선-1.0Km)→암릉구간
→이정표(북한 59-01 / 13:10 / [직진] 삼천사계곡 하단-0.5Km / [후] 응봉능선-1.7Km / [좌측] 진관공원지킴터-0.9Km / [후] 사모바위-1.7Km / [직진] 삼천사-0.8Km)
→삼각점(13:16)
→이정표(13:23 / [좌측] 진관공원지킴터-0.5Km / [후] 사모바위-2.1Km)
→해탈문(13:27 / [후] 사모바위-2.4Km / [좌측] 비봉-2.4Km / [좌측] 향로봉-2.5Km)
→일주문(13:29)
→진관공원지킴터(13:30)
→이정표(13:35 / [직진] 불광중학교-3.3Km / [후] 진관사-0.5Km / [후] 화장실-100m)
→버스정류장(하나고등학교 / 13:48)→연신내역(14:07 / 버스)→마포구청역(14:25 / 지하철)→발산역(14:55 / 버스)
※ 총산행시간 : 5시간 38분
※ 총산행거리 : 6.5Km
5. 교통편
⇒ 발산역에서 마포구청역까지 601번 시내버스 이용(0:15 소요 / 1,050원)
⇒ 마포구청역에서 독바위역까지 지하철 6호선 이용(0:20 소요 / 환승 할인 + 추가 100원)
⇒ 진관사입구(하나고등학교)에서 연신내역까지 7211번 시내버스 이용(0:15 소요 / 1,050원)
⇒ 연신내역에서 마포구청역까지 지하철 6호선 이용(0:15 소요 / 환승 할인)
⇒ 마포구청역에서 발산역까지 601번 시내버스 이용(0:30 소요 / 환승 할인 + 추가 200원)
6. 산행비 : 교 통 비 2,400원
물품구입 850원
합 계 3,250원
7. 산 행 : 독바위역 1번 출구로 나와 도로 건너 좌측 골목길로 출발.
장미공원과 북한산둘레길 구기동 방면으로 가다가 정진사 입구를 지나 정진공원 지킴터 앞 삼거리에서 좌측의 족두리봉 방면으로 진입. 이후 완만한 오르막 길이 시작되고 정진공원 지킴터를 지나 불광공원 지킴터(좌측)와 족두리봉(우측) 갈림길에서 우측의 족두리봉으로 들어서게 되면 급경사의 오르막길로 암릉구간 시작. 해발 370m의 족두리봉에 올라서면 정면으로 향로봉과 비봉 등이 올려다 보이고, 우측으로는 멀리 남산과 인왕산, 안산 등이 조망되며, 아래로는 구기동 방면이 내려다 보이고, 좌측으로는 은평 방면이 조망되며, 뒤로는 멀리 방화대교와 한강 너머로 인천의 계양산 방면까지 조망.
족두리봉에서 내려선 뒤 우측의 향로봉 방면으로 들어서면 족두리봉을 우회하는 바위 구간을 지나게 되고, 불광공원 지킴터(좌측) 갈림길을 지나면 불광공원 지킴터(좌측), 구기터널공원 지킴터(우측), 탕춘대(우측) 방면 사거리 갈림길을 만나게 되며 갈림길에서 향로봉 방면으로 급경사 오르막 길을 오르게 되면 향로봉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남측 방면 향로봉 입구. 이후 향로봉을 우측으로 우회하는 등산로로 들어서면 북측 방면 향로봉까지 지루한 급경사 오르막 구간.
향로봉에서 비봉 방면의 능선길로 들어서면 전망이 좋은 관봉을 지나 비봉 입구의 산불감시초소. 좌측으로 비봉을 우회한 뒤 암릉구간을 오르게 되면 진흥왕순수비가 있는 비봉 정상. 이후 완만한 능선을 따라 승가사 갈림길을 지나게 되면 해발 560m의 사모바위에 도착.
사모바위에서 좌측의 삼천탐방지원센터와 진관공원지킴터 방면의 응봉능선으로 하산. 완만한 소나무 능선길이 20분여 이어지다가 급경사 암릉구간이 시작되고 25분여 가게 되면 삼천사(직진)와 진관사(좌측) 방면 갈림길. 갈림길에서 좌측의 진관공원지킴터 방면으로 들어서게 되면 삼각점(5분)을 지나 진관사 입구의 해탈문(10분)에 도착. 이후 우측 방면 임도를 따라 걷게 되면 일주문과 진관공원지킴터, 한옥마을단지(신축공사 예정지)를 지나 버스 정류장(진관사 입구, 하나고등학교)에 도착.
<장미공원 방면 이정표 - 불광중학교 갈림길>
<족두리봉과 장미공원 방면 이정표 - 정진사 입구>
<족두리봉 방면 이정표 - 정진공원지킴터 입구>
<탐방로 안내도 - 정진공원지킴터 입구>
<정진공원지킴터>
<족두리봉 방면 이정표 - 불광공원과 정진공원지킴터 방면 갈림길>
<현위치 북한 65-01 이정표>
<족두리봉 방면 이정표>
<족두리봉으로 오르는 암릉구간>
<비봉과 향로봉 방면 이정표 - 족두리봉 입구>
<추락 위험지역 출입제한 안내문 - 족두리봉 입구>
<족두리봉에서 바라본 향로봉과 비봉 방면 능선 전경>
<족두리봉 정상에서 내려다 본 북사면과 족두리봉 산불감시초소>
<족두리봉 정상과 탕춘대 능선>
<족두리봉 정상의 대형 토르>
<현위치 북한 65-02 이정표>
<비봉과 향로봉 방면 이정표 - 족두리봉 산불감시초소 입구>
<족두리봉 산불감시초소에서 올려다 본 족두리봉>
<북한 65-03 이정표>
<송전탑 부근에서 바라본 북악산~인왕산~안산 방면 전경>
<족두리봉~향로봉 사이의 송전탑>
<송전탑에서 바라본 향로봉 방면>
<향로봉 방면 이정표 - 불광공원지킴터/구기터널공원지킴터 갈림길>
<현위치 북한 65-04 이정표 - 향로봉 산불감시초소 앞>
<향로봉 산불감시초소>
<향로봉 산불감시초소에서 바라본 얼굴바위>
<비봉 방면 이정표 - 향로봉 산불감시초소>
<향로봉 우회로의 암벽 통과 구간>
<사모바위 방면 이정표 - 향로봉 우회로>
<향로봉에서 내려다 본 족두리봉 방면 전경>
<향로봉에서 바라본 기자촌 방면 능선 전경>
<추락 위험지역 출입제한 안내문 - 향로봉 입구>
<향로봉~비봉 능선에서 바라본 북한산 백운대 방면 전경>
<사모바위 방면 이정표 - 비봉탐방지원센터/진관공원지킴터 갈림길>
<대남문 방면 이정표 - 진관공원지킴터 갈림길>
<추락 위험지역 출입제한 안내문 - 비봉 입구>
<비봉 정상의 진흥왕순수비>
<비봉 아래의 코뿔소바위>
<북한산 신라 진흥왕순수비 안내문 - 비봉 입구>
<현위치 북한 01-03 이정표>
<대남문 방면 이정표 - 승가사 갈림길>
<사모관대를 닯았다 하여 붙여진 사모바위>
<진관공원지킴터 방면 이정표 - 사모바위 앞>
<사모바위 부근에서 바라본 주능선 전경>
<응봉능선 하산로의 암릉과 자일>
<현위치 북한 59-03 이정표>
<현위치 북한 59-02 이정표>
<응봉능선 하산로의 암릉구간>
<하산로 중턱의 진달래>
<하산로 중턱에서 내려다 본 진관사>
<현위치 북한 59-01 이정표>
<진관공원지킴터 방면 이정표>
<진관공원지킴터 방면 하산로의 삼각점>
<진관공원지킴터 방면 이정표>
<사모바위와 비봉/향로봉 방면 갈림길 이정표 - 진관사 입구>
<진관사 해탈문>
<삼각산 진관사 일주문>
<진관공원지킴터>
<불광중학교 방면 북한산 둘레길 이정표>
<하나고등학교 버스정류장의 버스 노선도>
'산행기록(2010년대) > 산행기록(2014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현산(경기 김포, 2014.04.06) - 제475회 (0) | 2014.04.14 |
---|---|
개화산(서울 강서, 2014.04.06) - 제474회 (0) | 2014.04.10 |
북한산(서울 종로, 2014.04.04) - 제472회 (0) | 2014.04.08 |
안산(서울 서대문, 2014.04.04) - 제471회 (0) | 2014.04.07 |
수락산(서울 노원, 2014.03.30) - 제470회 (0) | 2014.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