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보고서<472>
1. 산행지 : 북한산(형제봉 462m)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북구
2. 산행일 : 2014년 4월 4일(금)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1명)
4. 산행로
연희동(14:20)→평창동 삼성아파트(14:50 / 버스)
→형제봉입구(14:56 / [우측] 구복암-0.3Km / [우측] 정릉탐방안내소-2.5Km / [우측] 북한산 둘레길[정릉동] / [좌측] 평창공원지킴터-1.0Km / [좌측] 북한산 둘레길[구기동])
→이정표(북한 정릉-05 / 15:02 / [직진] 북악삼거리-2.0Km / [후] 구복암입구-0.3Km)
→구복암(15:03 / [직진] 형제봉-1.1Km / [후] 형제봉공원지킴터-0.3Km)
→이정표(15:05 / [좌측] 형제봉-1.0Km / [후] 북한산 둘레길[평창동] / [후] 평창공원지킴터-1.5Km / [우측] 북한산 둘레길[수유동] / [우측] 정릉탐방안내소-2.0Km)
→은석바위(15:07)
→이정표(북한 05-01 / 15:08 / [직진] 형제봉-0.6Km / [후] 형제봉공원지킴터-0.5Km)
→이정표(15:11 / [직진] 형제봉-0.7Km / [후] 형제봉공원지킴터-0.7Km)
→대웅전(15:12)
→쉼터(15:17 / 점심)→출발(15:30)
→이정표(북한 05-02 / 15:43 / [직진] 형제봉-0.1Km / [후] 형제봉공원지킴터-1.0Km)
→형제봉(삼각점 / 15:45)
→이정표(15:50 / [직진] 대성문-2.0Km / [후] 형제봉공원지킴터-1.3Km)
→이정표(15:53 / [직진] 대성문-1.9Km / [후] 형제봉공원지킴터-1.4Km / [우측] 형제봉 / [우측] 염불사-0.8Km)
→이정표(북한 07-03 / 15:56 / [직진] 일선사-1.0Km / [후] 정릉탐방지원센터-1.65Km)
→이정표(15:57 / [직진] 대성문-1.5Km / [후] 북악공원지킴터-1.8Km)
→이정표(16:04 / [직진] 대성문-1.1Km / [후] 북악공원지킴터-2.2Km)
→이정표(북한 07-04 / 16:07 / [직진] 일선사-0.45Km / [후] 정릉탐방지원센터-2.2Km)
→이정표(16:10 / [직진] 대성문-1.0Km / [직진] 일선사-0.4Km / [후] 형제봉공원지킴터-2.4Km / [좌측] 평창공원지킴터-1.3Km)
→이정표(16:14 / [좌측] 일선사-0.05Km / [직진] 대성문-0.7Km / [후] 북악공원지킴터-2.7Km / [우측] 정릉탐방지원센터-2.3Km)
→공터(16:23)
→대성문(해발 620m / 북한 08-05 / 16:29 / [우측] 대동문-1.2Km / [우측] 보국문-0.6Km / [후] 형제봉-1.8Km / [좌측] 비봉-2.5Km / [좌측] 대남문-0.3Km / [직진] 산성탐방지원센터-5.0Km)
→이정표(북한 08-06 / 16:38 / [직진] 보국문-0.3Km / [후] 대성문-0.3Km)
→보국문(해발 583m / 북한 09-04 / 16:44 / [직진] 대동문-0.6Km / [후] 대성문-0.6Km / [우측] 정릉탐방지원센터-2.5Km / [좌측] 산성탐방지원센터-4.5Km)
→헬기장(16:47)
→이정표(16:49 / [우측] 칼바위능선 / [후] 보국문-0.16Km / [직진] 대동문-0.41Km)
→이정표(북한 12-06 / 16:57 / [직진] 칼바위공원지킴터-2.15Km / [후] 대동문-0.7Km)
→이정표(17:06 / [우측] 정릉탐방지원센터-2.0Km / [후] 대동문-1.0Km / [후] 보국문-0.8Km / [직진] 칼바위공원지킴터-2.0Km / [좌측] 아카데미탐방지원센터-1.7Km)
→이정표(북한 11-01 / 17:11 / [직진] 정릉탐방지원센터-1.8Km / [후] 칼바위능선-0.2Km)
→정릉2교(북한 09-02 / 17:18 / [좌측] 정릉탐방지원센터-1.3Km / [후] 칼바위능선-0.7Km / [우측] 보국문-1.2Km)
→이정표(공터 / 17:23 / [직진] 정릉탐방지원센터-1.1Km / [후] 보국문-1.4Km)
→케언(17:25)
→이정표(북한 09-01 / 17:27 / [직진] 정릉탐방지원센터-0.7Km / [후] 보국문-1.8Km)
→이정표(17:33 / [후] 보국문-2.2Km / [우측] 대성문-2.8Km / [우측] 자연관찰로)
→이정표(17:35 / [후] 보국문-2.4Km / [후] 자연관찰로 / [좌측] 북한산사무소)
→정릉탐방지원센터(17:37 / [후] 대성문-3.0Km / [후] 보국문-2.5Km / [후] 제1휴게소)
→버스정류장(17:43)→종로3가(18:10 / 버스)→모임→발산역(24:10 / 지하철)
※ 총산행시간 : 2시간 53분
※ 총산행거리 : 7.7Km
5. 교통편
⇒ 연희동(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서 평창동 삼성아파트까지 153번 시내버스 이용(0:30 소요 / 1,050원)
⇒ 정릉에서 종로3가까지 143번 시내버스 이용(0:27 소요 / 1,050원)
⇒ 종로3가에서 발산역까지 지하철 5호선 이용(1:00 소요 / 1,250원)
6. 산행비 : 교 통 비 3,350원
물품구입 850원
합 계 4,200원
7. 산 행
평창동 삼성아파트 버스정류장에서 하차한 뒤 도로를 건너 북한산둘레길 평창마을길 이정표를 따라 주택가로 진입. 이후 이정표를 따라 우측으로 들어서게 되면 북한산 국립공원 안내문과 북한산둘레길 종합안내도 등이 있는 형제봉 입구에 도착.
구복암과 정릉탐방안내소 방면 이정표를 따라 우측의 계단길로 산행 시작(명상길 구간). 완만한 오르막 길을 15분여 오르게 되면 나무미륵대불이란 글자가 새겨진 거대한 바위와 구복암 입구를 지나 형제봉 능선에 도착. 좌측의 등산객수 조사 계측기를 통과한 뒤 형제봉 방면으로 오르막 길의 연속. 10분여 오르게 되면 우측에 대웅전 건물이 있는 곳을 지나게 되며 이후 급경사 암릉구간의 시작. 20분여 오르게 되면 삼각점 만이 있는 바위 암봉(작은 형제봉 추정)에 도착.
암릉을 내려서면 사거리 갈림길을 지나게 되고 이후 좌측의 완만한 우회로를 걷게 되면 형제봉와 염불사(우측) 방면 갈림길. 이후 완만한 능선길이 이어지고 일선사 입구에서 우측의 대성문 방면으로 들어서면 넓은 공터를 지나게 되고 계단길을 거쳐 대성문에 도착.
대성문에서 우측의 성곽을 따라 15분여 걷게 되면 보국문을 지나게 되고 이후 헬기장을 지나 칼바위 갈림길에 도착. 칼바위 능선 방면으로 들어서 급경사 내리막 길과 칼바위 암봉을 거쳐 자일이 설치된 급경사 암릉구간을 내려서게 되면 사고위험지구 안내문이 있는 사거리 갈림길(15분).
갈림길에서 우측의 정릉탐방지원센터 방면 계단길로 내려서 10여분 걷게 되면 보국문 방면(우측) 하산로와 만나는 정릉2교. 이후 완만한 내리막 길을 따라 20여분 걷게 되면 북한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입구를 지나 정릉탐방지원센터에 도착. 이후 도로를 따라 5분여 가게 되면 시내버스 종점.
<북한산 둘레길 - 평창마을길 방면>
<형제봉 입구의 노란 개나리>
<북한산 국립공원 안내문>
<평창공원지킴터와 정릉탐방안내소 방면 갈림길 이정표>
<북한산 둘레길 종합안내도 - 형제봉 입구>
<형제봉 방면 등산로 시작지점 - 명상길 구간>
<특이한 형상의 기암괴석들>
<거대한 바위에 동그랗게 뚫린 구멍>
<특이한 형상의 바위와 바위 틈에서 피어난 진달래>
<바위에 새겨진 나무미륵대불>
<현위치 북한 정릉-05 이정표>
<형제봉 방면 이정표>
<구복암 입구>
<형제봉 능선 입구의 계측기>
<형제봉 방면 이정표 - 정릉탐방안내소와 평창공원지킴터 방면 갈림길>
<등산로 주위에 핀 진달래>
<바위에 새겨진 은석바위>
<현위치 북한 05-01 이정표>
<활짝 핀 분홍 진달래>
<형제봉 방면 이정표>
<등산로 우측에 위치한 대웅전>
<대웅전에서 오르는 암릉구간>
<중턱에서 바라본 북악산 방면 전경>
<대웅전 뒤편의 암릉구간>
<중턱에서 바라본 북악산 방면 전경>
<등산로 옆의 기암괴석들>
<등산로 옆의 기암괴석들>
<형제봉 능선에서 바라본 구기동 방면 능선>
<등산로 옆의 거대한 기암괴석>
<현위치 북한 05-02 이정표>
<형제봉 정상의 삼각점>
<형제봉에서 내려다 본 서울 시내 전경>
<형제봉에서 올려다 본 보현봉 방면>
<형제봉에서 내려서는 급경사 구간>
<작은 형제봉 정상>
<대성문 방면 이정표>
<일선사와 대성문 방면 등산로와 좌우의 갈림길>
<대성문 방면 이정표 - 형제봉 우회로와 만나는 지점>
<현위치 북한 07-03 이정표 - 일선사 방면>
<대성문과 일선사 방면 능선길>
<대성문 방면 이정표>
<바위 틈에서 피어난 노란 꽃들>
<노란 생강나무꽃>
<거대한 기암괴석과 그 아래의 나뭇가지들>
<대성문 방면 이정표>
<현위치 북한 07-04 이정표>
<일선사와 대성문 방면 이정표 - 평창공원지킴터 방면 갈림길>
<좌측의 평창공원지킴터 방면 계단길>
<일선사 방면의 완만한 오르막 길 등산로>
<일선사 입구의 이정표>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안내문>
<대성문 방면 이정표 - 정릉탐방지원센터 갈림길>
<대성문 아래 중턱에서 바라본 칼바위 능선 방면 전경>
<대성문 아래의 넓은 공터와 생강나무꽃>
<대성문으로 오르는 계단길>
<대성문 전경>
<대성문 안내문>
<대성문의 북한산성 성곽 안내도>
<대성문의 북한산성 안내문>
<대성문의 갈림길 이정표>
<현위치 북한 08-05 이정표>
<대성문에서 이어지는 성곽길>
<주능선에서 바라본 북한산 백운대 방면 전경>
<현위치 북한 08-06 이정표>
<능선에서 바라본 보현봉 방면 산성 전경>
<산성 주능선에서 바라본 북한산 안내도>
<능선에서 바라본 백운대 방면 전경>
<보국문의 정릉탐방지원센터 방면 이정표>
<현위치 북한 09-04 이정표>
<보국문과 현판>
<칼바위 능선 갈림길 직전의 헬기장>
<칼바위 능선 방면 이정표>
<북한산성에서 칼바위 능선으로 내려가는 입구>
<칼바위 능선의 암봉>
<칼바위 능선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와 수락산 방면 전경>
<칼바위 능선에서 바라본 백운대 방면 전경>
<칼바위 능선에서 바라본 보현봉 방면 북한산성 능선>
<현위치 북한 12-06 이정표>
<칼바위 능선의 급경사 암릉구간>
<칼바위 능선의 급경사 암릉구간>
<칼바위능선의 사고위험지구 안내문>
<칼바위능선에서 정릉탐방지원센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칼바위 능선에서 정릉탐방지원센터로 내려가는 계단길>
<현위치 북한 11-01 이정표>
<칼바위능선 방면과 보국문 방면 등산로가 만나는 지점의 이정표>
<갈림길의 정릉2교>
<현위치 북한 09-02 이정표>
<정릉탐방지원센터 방면 이정표>
<정릉 방면 하산로의 넓은 공터>
<등산로 옆의 대형 케언>
<현위치 북한 09-01 이정표>
<등산로 주위에 활짝 핀 꽃들>
<화장실 앞의 쉼터>
<대성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
<북한산관리사무소 입구의 등산로 안내도>
<북한산사무소 입구의 이정표>
<북한산국립공원사무소 입구의 탐방로 안내도>
<양지꽃과 찔레꽃 안내문>
<대성문과 보국문 방면 이정표>
<정릉탐방지원센터>
<정릉 입구의 버스정류장 노선도>
'산행기록(2010년대) > 산행기록(2014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화산(서울 강서, 2014.04.06) - 제474회 (0) | 2014.04.10 |
---|---|
북한산(서울 은평, 2014.04.05) - 제473회 (0) | 2014.04.09 |
안산(서울 서대문, 2014.04.04) - 제471회 (0) | 2014.04.07 |
수락산(서울 노원, 2014.03.30) - 제470회 (0) | 2014.03.31 |
가현산(경기 김포, 2014.03.23) - 제469회 (0) | 2014.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