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산 26

개감수(2024.03.30 기준)

품 명 ㅇ 개감수(개 + 甘遂 , Siebold's spurge) 분 류 ㅇ 쥐손이풀목 > 대극과 > 대극속 특 징 ㅇ 여러해살이풀 ㅇ 유독식물 ㅇ 꽃은 녹황색 ㅇ 원줄기 끝에서 5개의 피침형 잎이 돌려나기하며 그 윗부분에서 5개의 가지가 갈라짐 ㅇ 줄기는 녹색이지만 홍자색이 돌며 자르면 유액이 나옴 ㅇ 처음에 어린 싹은 붉은 자주빛으로 올라오며 점차 녹색으로 변함 비 고 ㅇ 꽃말 : 애교 ㅇ 유래 : 대극과의 한방재료인 감수(甘遂)와 비슷하여 유래 '개'는 기준으로 삼는 식물에 비해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른 식물에 붙이는 것 ㅇ 유사종 : 흰대극, 두메대극, 등대풀, 암대극 촬영지역 ㅇ 화야산 : 2022.04.20 ㅇ 천마산 : 2024.04.30 ㅇ 촬영장소 : 화야산(화야산장에서 화야산 정상 방..

천마산(경기 남양주, 2024.03.30) - 제1574회

산행보고서 1. 산행지 : 천 마 산(天摩山, 해발 810.3m/812m)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화도면 2. 산행일 : 2024년 3월 29일(일) / 당일산행 3. 산행자 : 푸른산하산악회 개별산행(총 2명) 4. 산행로 발산역(07:35) →천마산역(09:27 / 지하철)→산행 출발(09:30) →이정표(09:33 / [직진] 천마산 정상-3.10Km / [후] 천마산역-250m) →천마산 탐방안내도(쉼터 / 09:35) →쉼터(돌탑 / 09:42) →이정표(09:46 / [좌측] 천마산 정상-2.77Km / [후] 천마산역-0.74Km / [우측] 천마산 정상-2.60Km) →이정표(10:01 / [직진] 천마산 정상-2.25Km / [후] 천마산역-1.13Km) →이정표(10:41 / [좌측]..

천마산(경기 남양주, 2024.03.17) - 제1569회

산행보고서 1. 산행지 : 천 마 산(天摩山, 해발 810.3m/812m)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화도면 2. 산행일 : 2024년 3월 17일(일)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1명) 4. 산행로 발산역(10:42) →천마산역(12:48 / 지하철)→산행 출발(12:50) →이정표(12:54 / [직진] 천마산 정상-3.10Km / [후] 천마산역-250m) →천마산 탐방안내도(쉼터 / 12:56)→쉼터(돌탑 / 13:02) →이정표(13:05 / [우측] 천마산 정상-2.60Km / [후] 천마산역-0.74Km / [좌측] 천마산 정상-2.77Km) →이정표(13:17 / [직진] 천마산 정상-2.20Km / [후] 천마산역-1.05Km) →이정표(13:19 / [직진] 천마산 정상-2..

천마산(경기 남양주, 2023.03.26) - 제1444회

산행보고서 1. 산행지 : 천 마 산(天摩山, 해발 810.3m/812m)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화도면 2. 산행일 : 2023년 3월 26일(일) / 당일산행 3. 산행자 : 푸른산하산악회 개별산행(총 3명) 4. 산행로 발산역(07:28) →천마산역(09:27 / 지하철)→산행 출발(09:34) →이정표(09:38 / [직진] 천마산 정상-3.10Km / [후] 천마산역-250m)→천마산 탐방안내도(쉼터 / 09:40)→쉼터(돌탑 / 09:47) →이정표(09:52 / [우측] 천마산 정상-2.60Km / [후] 천마산역-0.74Km / [좌측] 천마산 정상-2.77Km) →이정표(10:04 / [직진] 천마산 정상-2.20Km / [후] 천마산역-1.05Km) →이정표(10:07 / [직진] 천..

생강나무(2019.04.10 기준)

생강나무 품 명 ㅇ 생강나무(生薑나무) - 생강나무 : ① 나무가지를 꺾거나 상처가 나면 생강 냄새가 나는 특성에서 유래 ② 어린 가지와 잎을 말려서 가루로 만든 후 생강 대신 향료로 쓸 수 있는데서 유래 산호초(山胡椒), 삼찬풍(三鑽風), 납매(蠟梅), 새앙나무, 생나무, 아위나무 산동백나무, 아귀나무, 동박나무, 아구사리, 아사리, 개동백나무 분 류 ㅇ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녹나무목 > 녹나무과 > 생강나무속 특 징 ㅇ 3~4월에 노란색 꽃으로 개화 ㅇ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짧은 꽃대에 작은 꽃들이 모여 산형 꽃차례로 달림 ㅇ 암수딴그루 ㅇ 수꽃에는 길게 갈라진 꽃덮이 조각 6개와 9개의 수술 ㅇ 암꽃에는 꽃덮이 조각 6개와 1개의 암술, 헛수술 9개 비 고 ㅇ 유사종 : 산수유 촬영지역 ㅇ 가현산..

복수초(2019.04.02 기준)

복수초 품 명 ㅇ 복수초(福壽草, Adonis Amurensis) 가지복수초, 가지복소초, 눈색이속, 복풀 - 복수초 : 이른 봄에 노랗게 피어나는 꽃이 기쁨을 준다고 해서 복과 장수를 뜻하는 복수초라 유래 - 설연 : 중국에서는 눈 속에 피어 있는 연꽃이라 유래 - 눈색이꽃 : 북쪽지방에서는 눈 사이에 피어난 꽃에서 유래 분 류 ㅇ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복수초속 특 징 ㅇ 여러해살이풀 ㅇ 4~5월에 개화 ㅇ 키는 10~15cm, 잎은 3갈래로 갈라지며 끝이 둔하고 털이 없음 ㅇ 꽃대가 올라와 꽃이 피면 꽃 뒤쪽으로 잎이 전개 ㅇ 꽃은 4~6cm로 줄기 끝에 한송이가 개화 ㅇ 꽃잎이 아주 많으며 꽃 한가운데는 노란색 수술이 가득 모여 있고 그 수술 속에 돌기가 ..

미치광이풀(2019.04.17 기준)

미치광이풀 품 명 ㅇ 미치광이풀(Scopolia japonica) 미치광이, 광대작약, 초우성, 독뿌리풀, 낭탕, 안질풀 - 미치광이풀 : 강한 독이 있는 식물로 사람이나 동물이 잘못 먹으면 발열, 흥분, 환각 등이 나타나 마치 미친 것 같은 증상을 보인다고 하여 유래 분 류 ㅇ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통화식물목 > 가지과 > 미치광이풀속 특 징 ㅇ 여러해살이풀 ㅇ 4~5월에 종 모양의 진한 보라색 꽃 개화 ㅇ 잎겨드랑이에서 1송이씩 피며, 밑으로 처져 대롱대롱 매달린 것처럼 보임 ㅇ 꽃은 통꽃이나 꽃부리 끝만 5갈래로 얕게 갈라지고 꽃받침도 5갈래로 갈라짐 비 고 촬영지역 ㅇ 고동산/화야산 : 2019.04.10 ㅇ 천마산 : 2017.04.01/2019.03.29/2019.04.02 ㅇ 화야산 ..

는쟁이냉이(2019.04.17 기준)

는쟁이냉이 품 명 ㅇ 는쟁이냉이(Asian bittercress) 주걱냉이, 숟가락냉이, 는장이냉이, 주적냉이, 산갓 분 류 ㅇ 양귀비목 > 십자화과(Brassicaceae) > 황새냉이속 특 징 ㅇ 여러해살이풀 ㅇ 6~8월에 개화 ㅇ 꽃은 지름 1cm 정도의 백색 비 고 촬영지역 ㅇ 천마산 : 2019.04.02 ㅇ 화야산 : 2019.04.17 ㅇ 촬영일자 : 2019년 4월 2일 ㅇ 촬영장소 : 천마산 정상 방면 계곡 ㅇ 촬영일자 : 2019년 4월 17일 ㅇ 촬영장소 : 화야산 사기막골 계곡

노루귀(2019.04.22 기준)

노루귀 품 명 ㅇ 노루귀(hepatica, Liverleaf) 장이세신(獐耳細辛), 설할초(雪割草), 파설초(破雪草) 분 류 ㅇ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노루귀속 특 징 ㅇ 3~5월에 개화, 1개의 줄기에 1개의 꽃이 개화 ㅇ 꽃이 잎보다 먼저 개화(흰색, 분홍색, 보라색 등 → 자생지에 따라 꽃의 색상이 다름)하며 6~11장 ㅇ 꽃줄기나 잎이 올라올 때 '노루의 귀'를 닮아서 유래 ㅇ 여러해살이풀 ㅇ 분포지역 : 제주를 제외한 전국 각지에 분포 - 서울(북한산), 전남, 전북(덕유산), 경남, 충남(계룡산), 충북, 강원, 경기(광릉, 가평, 화야산, 천마산 등) 비 고 ㅇ 유사종 : 섬노루귀(울릉도 자생), 새끼노루귀(제주도 자생) 촬영지역 ㅇ 고동산 :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