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보고서<542>
1. 산행지 : 계양산(桂陽山, 해발 395m)
인천광역시 계양구
2. 산행일 : 2015년 1월 5일(월)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1명)
4. 산행로
발산역(12:55)
→계양산 공영주차장(13:22 / 자가용)→산행 출발(13:26)
→계양산 야외공연장(연무정 / 13:28 / [직진] 계양산 정상-1.5Km / [좌측] 계양공원관리사무소-0.4Km)
→육각정(13:33 / [좌측] 계양산 정상-1.4Km / [후] 계양산 야외공연장-0.11Km / [우측] 임학어린이공원-0.26Km)
→이정표(13:39 / [직진] 계양산 정상-1.2Km / [후] 연무정[야외공연장]-0.5Km / [좌측] 계양공원 관리사무소-0.28Km)
→산불감시초소(CCTV / 13:43)
→하느재 쉼터(13:47 / [직진] 계양산 정상-0.8Km / [후] 연무정[야외공연장]-0.8Km / [우측] 무당골약수터-0.2Km / [좌측] 공원관리사무소-0.3Km)
→헬기장(14:11)
→계양산 정상(14:12 / [직진] 지선사[산림욕장] / [후] 연무정[야외공연장]-1.6Km / [좌측] 문화회관-0.9Km)
→헬기장(김포 11 / 14:17 / [우측] 피고개-0.6Km / [좌측] 계양산 산림욕장-1.2Km / [후] 계양산 정상-0.2Km)
→피고개(송전탑 / 14:36 / [후] 계양산 정상-0.8Km / [후] 계양산 야외공연장[연무정]-2.6Km / [좌측] 계양산 삼림욕장[징매이고개]-1.5Km / [우측] 목상동 솔밭-1.0Km)
→피고개산(추정 / 14:39)
→피고개(14:41)
→돌탑(너덜지대 / 14:51)
→약수터(계양산 물 웅덩이 / 14:48)
→계양산 물 웅덩이(14:52)
→중심성지 안내문(14:56)
→이정표(생태통로 입구 / 14:57 / [좌측] 지선사-250m / [후] 계양산 정상-1,380m / [후] 피고개-1,680m / [우측] 중구봉-960m)
→산림욕장(지선사 입구 / 15:02)
→이규보시비(15:04)
→이정표(15:09 / [우측] 계양문화회관-160m / [후] 삼림욕장-410m / [좌측] 계양산 정상-760m)
→계양문화회관(15:12)
→1873부대(15:16)
→경인여대(15:19)
→계양산 공영주차장(15:26)→출발(15:27)→발산역(16:00 / 자가용)
※ 총산행시간 : 2시간
※ 총산행거리 : 5.86Km(트랭글 기준)
5. 교통편
⇒ 발산역에서 계양산 공영주차장까지 자가용 이용(0:27 소요 / 14.3Km)
⇒ 계양산 공영주차장에서 발산역까지 자가용 이용(0:33 소요 / 13.9Km)
6. 산행비
교 통 비 5,000원
주 차 비 1,800원
합 계 6,800원
7. 산 행
계양산 공영주차장(노동복지회관)에 차량을 주차한 후 연무정(계양산 야외공연장)에서 산행 출발. 계양산 정상 방면의 이정표를 따라 경사진 돌계단길을 5분여 오르게 되면 계양산성 복원사업 안내문과 육각정 쉼터가 있는 넓은 공터. 이후 좌측의 계양산 정상 방면으로 나무 울타리를 따라 완만한 오르막 길이 시작되고 5분여 오르게 되면 계양산성의 흔적이 있는 계성정에 도착.
계성정에서 경사진 나무 계단길을 잠시 오르게 되면 산불감시초소와 산불방지 무인감시카메라를 지나 다시 계단길을 내려서게 되고 이후 데크 시설의 하느재 쉼터에 도착. 하느재 쉼터부터 다시 계양산 정상까지는 급경사 계단길의 연속으로 25분여 소요(1425개의 계단 표기). 계양산성 복원공사 안내문과 데크 쉼터, 대형 표지석, 통신중계탑 등이 있는 계양산 정상에서 통신중계탑의 철조망을 따라 완만한 능선길을 내려서게 되면 피고개(우측)와 징맹이고개(좌측) 방면 갈림길인 헬기장에 도착.
헬기장에서 우측의 피고개 방면으로 하산. 진흙탕의 경사진 등산로를 20분여 내려서게 되면 마주보고 있는 긴의자 2개와 119 구급함, 이정표, 송전탑 등이 있는 피고개에 도착. 피고개에서 송전탑 방면으로 잠시 오르게 되면 피고개산(트랭글 기준)이며 다시 피고개로 내려와 우측의 계양산 삼림욕장(징맹이고개) 방면으로 산행. 임도 수준의 완만한 등산로를 걷다보면 너덜지대에 수십 개의 돌탑이 세워진 곳과 계양산 물 웅덩이 이정표가 있는 2곳을 지나게 되며 이후 중심성지 안내문이 있는 곳을 지나 생태통로(징맹이고개) 입구에 도착.
생태통로 입구 갈림길에서 좌측의 지선사 방면으로 들어서면 완만한 등산로의 억새숲을 지나 산림욕장(지선사 입구)에 도착. 이후 넓은 포장도로를 따라 가게 되면 문순공 백운 이규보선생 시비를 지나 갈림길 이정표가 있는 곳에서 우측 방면으로 계단길을 내려서면 계양문화회관. 계양문화회관부터는 도로를 따라 7873부대, 경인여대 등을 지나 산행 출발지인 계양산 공영주차장으로 이동.
<노동복지회관 버스정류장>
<숲길 종합 안내도 - 연무정 입구>
<계양산 표지석>
<계양공원 관리사무소와 계양산 정상 방면 이정표 - 연무정>
<계양산 등산로 종합안내도 - 연무정>
<연무정의 등산로 입구>
<연무정에서 육각정으로 오르는 돌계단길>
<육각정>
<계양산 정상과 임학어린이공원 방면 갈림길 이정표>
<계양산성 복원사업 안내문>
<계성정 방면으로 이어지는 등산로>
<계양산 정상과 계양공원 관리사무소 방면 갈림길 이정표>
<계양산성 안내문>
<계성정에서 바라본 계양산 정상 방면 전경>
<계성정 전경>
<계양산성>
<계양산성 복원사업 안내문>
<계성정에서 산불감시초소로 올라가는 계단길>
<산불감시초소와 산불감시 무인카메라>
<계양산성 안내도 - 산불감시초소>
<하느재 쉼터로 내려가는 계단길>
<하느재쉼터 이정표>
<연무정과 계양산 정상 방면 갈림길 이정표 - 하느재쉼터>
<계양산 등산로 안내도 - 하느재쉼터>
<계양산성 제2차 및 제3차 발굴조사 결과 안내문>
<중턱에서 내려다 본 계성정 방면 전경>
<계양산 정상으로 오르는 급경사 계단길>
<계양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계단(488개)>
<계양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계단(1425개)>
<계양산 정상 표지석>
<계양산 정상의 삼각점>
<계양산 정상의 산불감시 무인카메라>
<계양산 정상의 통신탑>
<문화회관과 지선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
<계양산 등산로 안내도 - 정상>
<계양산 정상에서 헬기장으로 내려가는 등산로>
<계양산 아래의 헬기장>
<헬기장의 김포 11 삼각점>
<삼각점(김포 11) 안내문>
<피고개와 산림욕장 방면 갈림길 이정표(헬기장)>
<피고개 방면으로 내려가는 등산로>
<피고개의 의자들과 징맹이고개 방면 등산로>
<산림욕장(징맹이고개)와 목상동 솔밭 방면 갈림길 이정표(피고개)>
<피고개 부근의 송전탑>
<피고개산 정상(트랭글 기준)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는 등산로>
<트랭글 기준 피고개산 정상 일대>
<트랭글 기준 피고개산 정상>
<피고개에서 징맹이고개로 이어지는 등산로>
<등산로 좌측의 돌탑>
<인천둘레길 이정표>
<등산로 좌측의 많은 돌탑들>
<계양산 물 웅덩이>
<계양산 물 웅덩이 안내문>
<계양산 물 웅덩이 안내문>
<계양산 물웅덩이 주변의 마른 계곡>
<계양산 물웅덩이>
<등산로 우측 아래의 대형 돌탑>
<징맹이고개 방면으로 가는 임도>
<중심성지 안내문>
<징맹이고개 방면 생태연결통로와 도로>
<지선사와 중구봉 방면 갈림길 이정표>
<징맹이고개에서 지선사와 산림욕장으로 내려가는 등산로>
<징맹이고개에서 산림욕장과 지선사로 연결되는 다리>
<계양산 등산지도 - 산림욕장>
<문순공 백운 이규보 선생 시비>
<지선사에서 계양문화회관으로 이어지는 포장도로>
<계양산 정상과 계양문화회관 방면 갈림길 이정표>
<계양문화회관 방면으로 내려가는 계단길>
<계양문화회관으로 내려가는 출입문>
<공영주차장 이용 안내문>
<계양문화회관>
<산행지도 - 트랭글 네이버 지도>
<산행지도 - 트랭글>
<산행기록 - 트랭글>
'산행기록(2010년대) > 산행기록(2015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상산(인천 강화, 2015.02.04) - 제546회 (0) | 2015.02.05 |
---|---|
인왕산(서울 종로, 2015.02.01) - 제545회 (0) | 2015.02.02 |
안산(서울 서대문, 2015.01.29) - 제544회 (0) | 2015.01.30 |
개화산(서울 강서, 2015.01.11) - 제543회 (0) | 2015.01.12 |
개화산(서울 강서, 2015.01.03) - 제541회 (0) | 201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