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보고서<489>
1. 산행지 : 인왕산(仁王山, 해발 338m)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대문구
2. 산행일 : 2014년 6월 4일(수)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2명)
4. 산행로
발산역(10:35)→사직공원(11:15 / 버스)→
산행 출발(11:15)→
사직터널(11:20)→
등산로 입구(종로문화체육센터 / 11:25)→출발(11:30)→
경관조망명소(11:33 / [직진] 인왕산도시자연공원-1000m / [직진] 선바위-750m / [좌측] 서대문독립공원-700m)→
이정표(11:41 / [직진] 정상-0.99Km / [좌측] 서대문독립공원-700m / [좌측] 독립문공원-1.2Km / [우측] 인왕산길-0.2Km / [우측] 인왕산도시자연공원-600m / [우측] 북악산-2000m)→
해골바위(12:00)→
성곽(12:03)→
이정표(A5 범바위 / 12:09 / [직진] 인왕산 정상-0.45Km / [후] 인왕산길-0.65Km)→
이정표(A4 / 12:14 / [직진] 정상-0.3Km / [직진] 창의문-1.9Km / [후] 사직공원-1.54Km / [후] 범바위-0.15Km / [우측] 인왕천약수터-0.19Km[0.2Km])→
이정표(12:24 / [직진] 정상-0.05Km / [후] 독립문공원-2.14Km / [후] 사직공원-1.79Km / [우측] 창의문-1.6Km)→
인왕산 정상(A3 / 12:25 / [우측] 자하문-1.65Km / [후] 범바위-0.45Km)→하산(12:29)→
이정표(A2 / 12:35 / [좌측] 기차바위-230m / [후] 인왕산 정상-0.2Km / [직진] 자하문-1.45Km)→
이정표(12:36 / [좌측] 기차바위 / [우측] 창의문 / [후] 정상/사직공원)→
기차바위(12:40 / 점심)→출발(13:13)→
이정표(13:17 / [좌측] 홍제동 [직진] 홍지문[상명대] / [후] 정상)→
쉼터(13:25)→출발(13:40)→
이정표(13:53 / [직진] 문화촌아파트-800m / [후] 기차바위 능선-400m)→
이정표(쉼터 / 13:56 / [직진] 홍제현대아파트-250m / [후] 기차바위 능선-600m / [좌측] 관음사-470m)→
이정표(13:58 / [좌측] 현대그린아파트-260m / [직진] 문화촌 현대아파트-410m)→
이정표(14:02 / [직진] 현대그린아파트-100m / [후] 기차바위-880m)→
문화촌 현대아파트(14:15)→뒤풀이→출발(14:50)→서대문우체국(15:10 / 버스)→발산역(15:40 / 버스)
※ 총산행시간 : 3시간
※ 총산행거리 : 약 3.8Km
5. 교통편
⇒ 발산역에서 사직공원까지 601번 시내버스 이용(0:40 소요 / 성인 1,050원 + 초등학생 450원)
⇒ 문화촌 현대아파트에서 서대문우체국까지 153번 시내버스 이용(0:20 소요 / 성인 1,050원 + 초등학생 450원)
⇒ 서대문우체국에서 발산역까지 601번 시내버스 이용(0:30 소요 / 환승 할인 + 추가 100원 + 50원)
6. 산행비
교 통 비 3,150원
물품구입 4,000원
합 계 7,150원
7. 산 행
사직공원에서 사직터널 방면으로 가다가 우측의 종로문화체육센터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방면으로 오르면 인왕산 등산안내도가 있는 서울성곽 시작지점.
성곽 옆으로 난 완만한 오르막 길을 따라 10분여 오르게 되면 서대문독립공원과 경과조망명소 등을 지나 우측의 자하문, 좌측의 독립문공원 방면 도로와 만나는 곳으로 좌측의 독립문공원 방면으로 잠시 가다가 컨테이너박스가 있는 곳에서 우측으로 들어서면 등산로 시작. 완만한 등산로를 따라가게 되면 좌측으로 인왕사의 선바위가 보이고, 우측으로 암릉길을 잠시 오르게 되면 해골바위를 지나 성곽길에 합류. 성곽을 따라 범바위까지 급경사 계단길의 연속. 이후 인왕천약수터 갈림길(A4)을 지나면서 다시 급경사 계단길을 올라서면 해발 338m의 인왕산 정상에 도착. 동쪽으로는 북악산과 청와대, 남쪽으로는 남산과 저멀리 관악산이, 서쪽으로는 안산과 백련산이, 북쪽으로는 북한산의 비봉 능선 등이 조망. 정상에는 군 초소와 작은 나무 의자가 있고, 과거에 있던 대형 데크는 철거된 상태이며, 삿갓바위 위에는 삼각점(서울 467)이 설치.
정상에서 좌측의 계단길을 따라 기차바위 갈림길(A2)로 내려온 뒤 성곽 사이로 난 계단길을 따라 좌측의 기차바위 방면으로 하산. 소나무 숲길을 잠시 통과하면 좌우로 밧줄이 설치되어 있는 기차바위를 지나게 되며 이후 홍제동(좌측, 계단길)과 홍지문(직진) 방면 갈림길에서 좌측의 홍제동 방면으로 하산. 완만한 내리막 길이 시작되고, 문화촌현대아파트 방면 이정표를 따라 가게 되면 주택가를 지나 버스 정류장에 도착.
<담쟁이로 뒤덮힌 사직터널>
<인왕산 입구 이정표>
<인왕산 등산안내도 - 종로문화체육센터 부근>
<서울성곽길 안내도 - 종로문화센터 부근>
<선바위와 서대문독립공원 방면 갈림길 이정표 - 경관조망명소 부근>
<등산로 주위의 초롱꽃>
<등산로 옆에 열린 뱀딸기들>
<인왕산 성곽갈의 경관조망명소에서 바라본 범바위와 우측의 인왕산 정상 방면 전경>
<등산로 주위의 흰말채나무 열매>
<서대문독립공원와 북악산 방면 갈림길 이정표>
<등산로 입구에 열린 오디>
<등산로 주위에 핀 금계국>
<등산로 주위의 개망초>
<해골바위 방면 등산로에서 바라본 인왕사의 선바위>
<해골바위에서 바라본 얼굴바위>
<해골바위에서 바라본 모자바위>
<해골바위>
<인왕산 성곽에서 내려다 본 남산 방면 전경>
<현재위치 A5 이정표 - 범바위>
<범바위에서 바라본 안산 정상 방면 전경>
<범바위에서 올려다 본 인왕산 정상 방면 전경>
<인왕천약수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종로구와 서대문구의 경계점 표시>
<현재위치 A4 이정표>
<성곽 너머 홍제동 방면 출입문>
<인왕산 정상으로 오르는 철제계단>
<인왕산 정상으로 오르는 계단 옆 바위에 새겨진 글자들>
<인왕산 정상 방면 이정표>
<인왕상 정상 삿갓바위의 삼각점>
<인왕산 정상에서 바라본 기차바위와 뒤로 보이는 북한산 전경(향로봉~비봉~사모바위~승가봉~문수봉~보현봉)>
<현재위치 A3 이정표(인왕산 정상)>
<인왕산 정상 아래에서 내려다 본 전경과 뒤로 보이는 북악산>
<현재위치 A2 이정표(기차바위 갈림길)>
<성곽에서 바라본 기차바위 방면 전경>
<기차바위 방면 이정표>
<성곽에서 기차바위로 내려가는 철제계단>
<기차바위 직전의 토르>
<기차바위에서 바라본 인왕산 정상과 능선의 성곽>
<기차바위에서 바라본 인왕산 정상과 우측의 안산 정상 방면 전경>
<기차바위의 안전시설물과 뒤로 보이는 북한산의 족두리봉~향로봉 능선>
<기차바위에서 바라본 북악산 방면 전경>
<기차바위 전경>
<등산로 옆의 기암괴석>
<홍제동과 홍지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
<홍제동 방면 하산로 계단길>
<홍제동 방면 하산로의 암릉구간>
<문화촌아파트 방면 이정표>
<관음사와 홍제현대아파트 방면 갈림길 이정표>
<등산로 옆의 쉼터>
<현대그린아파트와 문화촌 현대아파트 방면 갈림길 이정표>
<홍제동 방면 하산로>
<현대그린아파트 방면 이정표>
'산행기록(2010년대) > 산행기록(2014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화산(서울 강서, 2014.06.07) - 제491회 (0) | 2014.06.08 |
---|---|
안산(서울 서대문, 2014.06.06) - 제490회 (0) | 2014.06.08 |
개화산(서울 강서, 2014.05.22) - 제488회 (0) | 2014.05.23 |
가현산(경기 김포, 2014.05.18) - 제487회 (0) | 2014.05.19 |
도일봉(경기 양평, 2014.05.17) - 제486회 (0) | 2014.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