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보고서<427>
1. 산행지 : 개화산(해발 131m)
서울특별시 강서구
2. 산행일 : 2013년 6월 30일(일)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1명)
4. 산행로
발산역(08:30)
→방화근린공원(08:45 / 자가용)→산행 출발(08:45)
→이정표(08:46 / [후] 삼정중학교-290m / [좌측] 심정쉼터-300m / [직진] 강서둘레길-70m)
→강서둘레길 시작지점(08:47 / [좌측] 약사사/개화산 정상 / [후] 방화근린공원 정문)
→이정표(운동시설 / 08:54 / [직진] 약사사-290m / [후] 방화근린공원-500m)
→약사사(08:57)
→개화산 전망대(09:00 / [좌측] 봉화정-90m / [후] 약사사-165m / [후] 방화역-1,650m / [직진] 상사마을-450m)
→봉화정(09:03 / [후] 약사사-220m / [후] 방화역-1,590m)
→이정표(09:07 / [직진] 아라뱃길 전망대-130m / [후] 봉화정-220m / [우측] 부석신대마을-350m / [좌측] 약사사-400m)
→아라뱃길 전망대(09:09)
→이정표(09:10 / [직진] 숲속쉼터-160m / [후] 봉화정-380m / [우측] 마을보호수-130m)
→숲속쉼터(09:12 / [직진] 신선바위-160m / [후] 아라뱃길 전망대-300m / [우측] 내촌마을-250m)
→신선바위(09:15)
→이정표(09:19 / [우측] 호국충혼비/미타사-100m / [직진] 하늘길 전망대-450m / [후] 신선바위-250m / [우측] 개화역-820m)
→이정표(09:22 / [직진] 하늘전망대-220m / [후] 신선바위-450m / [우측] 개화역-700m / [좌측] 약사사-700m)
→하늘길전망대(09:26)
→이정표(09:28 / [직진] 방화역-860m / [후] 하늘길전망대-80m / [좌측] 약사사-800m / [우측] 개화산역-830m)
→이정표(09:29 / [좌측] 방화역-820m / [좌측] 화장실-165m / [후] 하늘길전망대-170m / [직진] 개화산역-800m)
→이정표(화장실 / 09:32 / [좌측] 약사사-730m / [후] 하늘길전망대-320m / [우측] 방화역-620m)
→개화사(09:33)
→풍산 심씨묘역(09:36)
→이정표(09:38 / [직진] 방화역-500m / [직진] 심정이 심은 은행느티나무-100m / [후] 하늘길전망대-700m / [좌측] 개화산약수터-150m)
→이정표(09:40 / [직진] 방화근린공원-400m / [후] 하늘길전망대-800m / [좌측] 약사사-520m)
→심정쉼터(09:41)
→이정표(16:58 / [우측] 방화근린공원-200m / [후] 심정쉼터-100m / [좌측] 약사사-420m)
→이정표(09:43 / [좌측] 강서둘레길 / [후] 심정쉼터-120m / [우측] 방화역-700m)
→이정표(09:46 / [우측] 삼정중학교-290m / [후] 심정쉼터-300m / [좌측] 강서둘레길-70m)
→방화근린공원 입구(09:47)→발산역(10:05 / 자가용)
※ 총산행시간 : 1시간 2분
5. 교통편 ⇒ 발산역을 출발하여 방화근린공원까지 자가용 이용(0:20 소요 / 5.5Km)
⇒ 방화근린공원을 출발하여 발산역까지 자가용 이용(0:20 소요 / 5.5Km)
6. 산행비 : 해당사항 없음
7. 산 행 : 방화근린공원의 강서둘레길 시작지점에서 좌측의 약사사/개화산 정상 방면의 계단길로 산행 출발.
계단 오르막 길을 잠시 오르게 되면 작은 쉼터(좌측)를 지나 운동시설이 있는 곳에 도착. 이후 숲길을 따라 내려서면 포장도로로 이후 우측으로 잠시 걷게 되면 약사사. 약사사 우측 담장을 따라 산길을 잠시 오르게 되면 헬기장으로 우측은 개화산 전망대. 데크에 올라서면 방화대교, 하늘공원 등이 조망되고 데크에는 겸재 정선의 그림과 실제 전경을 비교한 안내문 등이 있다.
헬기장에서 한강 방면으로는 상사마을(450m)이며 좌측의 오르막 길로 잠시 오르게 되면 봉화정이 있는 넓은 공터. 봉화정 좌측으로 올라서면 태극기 게양대를 지나 내리막 숲길이 시작. 이후 사거리 갈림길(좌측 - 약사사, 우측 - 부석/신대마을)에서 정면의 아라뱃길 전망대 방면으로 들어서면 나무데크로 만들어진 등산로가 시작. 잠시후 아라뱃길 전망대로 멀리 김포항과 배후단지 건설현장이 조망된다. 이후 마을 보호수(우측) 갈림길에서 직진하게 되면 숲속 쉼터를 지나 신선바위. 신선바위 주변은 작은 공터로 주위 조망이 좋은 곳. 이후 나무 계단으로 된 데크를 내려서게 되면 미타사(우측) 갈림길. 완만한 등산로를 따라 계속 걷게 되면 개화역과 버스 차고지(우측) 그리고 김포공항 국제선(좌측)이 내려다 보이는 하늘길 전망대. 이후로는 완만한 능선길의 연속길로 강서둘레길 이정표를 따라 직진. 공중화장실이 있는 도로(우측은 방화역, 좌측은 약사사 방면)에서 건너편 숲으로 들어서면 지붕 위에 세워진 개화사 이정표, 풍산 심씨 묘역, 심정쉼터 등을 지나 방화근린공원에 도착.
<강서둘레길 방면 이정표>
<강서둘레길 안내도>
<강서둘레길 입구>
<약사사와 개화산 정상 방면 이정표(강서둘레길 입구)>
<약사사로 오르는 계단길>
<붓꽃, 석산, 매발톱꽃, 조개나물 등 안내문>
<약사사 방면 이정표>
<개화산 약사사 입구>
<약사사 안내문>
<약사사에서 개화산 전망대로 오르는 계단길>
<개화산 전망대 입구의 이정표(봉화정과 상사마을 등 방면)>
<개화산 전망대 전경>
<개화산 전망대 이정표>
<겸재 정선이 바라본 한강의 아름다운 풍광 안내문>
<서울시 선정 우수 조망명소>
<겸재 정선이 바라본 한강의 아름다운 풍광 안내문>
<개화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방화대교 방면>
<봉화정 앞의 들꽃>
<봉화정 앞의 이정표>
<봉화정 전경>
<강서둘레길 안내도(봉화정 앞)>
<봉화정 앞의 꽃들>
<봉화정 부근 공터의 의자들>
<아라뱃길전망대 방면 이정표>
<아라뱃길전망대로 이어지는 계단길>
<아라뱃길전망대에서 바라본 김포항 방면>
<아라뱃길전망대 이정표>
<마을보호수 방면 갈림길 이정표>
<숲속쉼터 방면 등산로 옆의 기암괴석들>
<내촌마을 갈림길 이정표>
<등산로에서 내려다 본 신선바위 방면>
<등산로에서 바라본 신선바위 방면>
<신선바위 이정표>
<신선바위의 특이한 바위>
<강서둘레길 안내도(신선바위)>
<호국충혼비와 미타사 안내문>
<호국충혼비와 미타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
<개화역 방면 계단길>
<약사사와 하늘길 전망대 방면 갈림길 이정표>
<하늘길전망대 이정표>
<하늘길전망대에서 내려다 본 강서차고지 방면>
<하늘길전망대에서 바라본 김포공항 국제선 방면>
<개화산역과 방화역 방면 갈림길 이정표>
<개화산역 방면 완만한 등산로>
<개화산역과 방화역 방면 갈림길 이정표>
<개화가 시작된 원추리꽃?>
<군락 중에서 제일 먼저 피기 시작한 원추리꽃>
<강서둘레길 안내도(화장실 옆)>
<강서둘레길 입구(화장실 옆)>
<방화역과 하늘길전망대 방면 갈림길 이정표>
<강서둘레길 입구 - 개화사/심정쉼터 방면>
<등산로에서 내려다 본 개화사>
<앉아 있는 잠자리 한마리>
<풍산 심씨 묘역 안내문>
<방화역과 개화산 약수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새로 조성된 계곡>
<심정쉼터로 오르는 계단길>
<하늘길전망대와 방화근린공원 방면 갈림길 이정표>
<방화근린공원과 심정쉼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삼정중학교 뒤편의 돌무덤과 쉼터>
<심정쉼터와 삼정중학교 방면 갈림길 이정표>
'산행기록(2010년대) > 산행기록(2013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운산(경기 포천, 2013.07.20) - 제429회 (0) | 2013.07.23 |
---|---|
개화산(서울 강서, 2013.07.07) - 제428회 (0) | 2013.07.15 |
감악산(강원 원주, 2013.06.15) - 제426회 (0) | 2013.06.16 |
박달산(경기 파주, 2013.06.06) - 제425회 (0) | 2013.06.10 |
백운산(인천 중구, 2013.05.26) - 제424회 (0) | 2013.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