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록(2010년대)/산행기록(2013년)

만뢰산(충북 진천, 2013.04.14) - 제416회

mouner(마우너) 2013. 4. 16. 22:45

산행보고서<416>

 

1. 산행지 : 만뢰산(萬賴山, 해발 611.7m/612.2m), 태령산(胎靈山, 해발 454m)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백곡면

 

2. 산행일 : 2013년 4월 14일(일) / 당일산행

 

3. 산행자 : 제165회 ○○대학동문산악회 정기산행(총 3명)

 

4. 산행로 

발산역(07:40)→신사역(08:00 / 전세버스)

→보탑사 주차장(09:40 / 전세버스)→산행 출발(09:52)

→이정표(09:55 / [직진] 만뢰산-2.5Km)

→이정표(09:58 / [직진] 만뢰산-2.3Km / [직진] 탄생지-8.6Km / [직진] 수녀원-8.8Km / [후] 보탑사-0.2Km / [후] 연곡가든-5.8Km / [후] 투구바위-6.0Km)

→무덤(10:03)

→이정표(봉우리 / 제2지점 / 10:15 / [우측] 만뢰산-1.7Km / [후] 보탑사-0.8Km / [좌측] 김유신탄생지 앞 투구바위-6.5Km)

→이정표(10:24 / [우측] 만뢰산-1.3Km)

→이정표(비상구급함 / [직진] 정상-0.9Km / [후] 보탑사-1.6Km / [우측] 도솔암입구-1.1Km)

→이정표(10:39 / [좌측] 우리농원)

→이정표(제4지점 / 10:42 / [우측] 만뢰산-0.4Km / [후] 보탑사-2.1Km / [후] 보련골-1.6Km / [좌측] 엽돈재-7.5Km)

→이정표(10:51 / [직진] 만뢰산-190m / [후] 보탑사-2.31Km / [우측] 신선샘-120m)

→이정표(10:54 / [직진] 만뢰산-60m / [후] 보탑사-2.44Km / [우측] 신선샘-120m)

→만뢰산(헬기장 / 해발 611.7m / 만뢰정 / 10:56 / 대문리 하수문-2.2Km / 연곡리 보련마을-2.0Km / [직진] 쥐눈이 자연생태공원-3.2Km / 점심)→출발(11:43)

→이정표(제1지점 / 11:48 / [우측] 보현골-1.7Km)

→이정표(11:51 / [직진] 연곡저수지-3.4Km / [후] 만뢰산-0.6Km / [좌측] 하수문-1.6Km)

→갈미봉(해발 568m / 제5지점 / 12:05 / [우측] 철탑 진입로-0.6Km / [우측] 연곡저수지-2.6Km / [후] 만뢰산-1.4Km / [후] 보탑사-3.9Km / [좌측] 백곡구수리)

→송전탑(12:16 / [직진] 태령산[태실]-3.0Km / [직진] 동골수녀원-3.9Km / [직진] 쥐눈이마을-1.2Km / [직진] 김유신장군 탄생지-3.7Km / [후] 만뢰산-2.0Km / [후] 보탑사-4.5Km / [좌측] 백곡 34번 국도-6.7Km / [우측] 연곡저수지-2.0Km)

→갈림길(12:30)

→갈림길(12:32)

→갈림길(12:38 / [직진] 수녀원-3.0Km / [직진] 탄생지-3.5Km / [후] 만뢰산-3.2Km / [후] 보탑사-5.7Km / [우측] 생태공원)

→의자(12:50)

→갈림길(태령산 1봉 추정 / 13:07)

→이정표(13:23 / [직진] 태령산-0.2Km / [직진] 동골수녀원-1.1Km / [후] 만뢰산-5.4Km / [후] 보탑사-7.9Km / [우측] 탄생지-0.9Km)

→태령산(해발 451m / 13:27 / [후] 흥무대왕 탄생지-1.1Km / [후] 만뢰산-5.3Km / [좌측] 동골수녀원-0.9Km)

→이정표(13:34 / [좌측] 탄생지-0.9Km / [후] 태령산-0.2Km / [후] 동골수녀원-1.1Km / [직진] 만뢰산-5.4Km / [직진] 보탑사-7.9Km)

→쉼터(의자 / 13:38)

→연보정(13:46)

→국궁장(13:48)

→김유신탄생지(흥무대왕 김유신유허비 / 13:52)→출발(14:00)

→백곡면(14:40 / 전세버스 / 점심)→출발(15:30)→신사역(16:50 / 전세버스)→발산역(17:20 / 전세버스)

※ 총산행시간 : 4시간

※ 총산행거리 : 9.2Km

 

5. 산행비 : 생략

 

6. 교통편

⇒ 발산역(07:40)을 출발하여 올림픽도로→신사역(08:00)→올림픽도로→동서울TG→중부고속도로→진천TG(09:10)→21번 도로를 거쳐 만뢰산 보탑사 주차장까지 전세버스 이용(0:20 + 1:40 소요 / 통행료 5,100원 / 약 150Km)

⇒ 김유신탄생지를 출발하여 백곡면(뒤풀이)→34번 도로→23번 도로→남안성TG→평택-제천고속도로→동탄IC→경부고속도로→신사역→올림픽도로를 거쳐 발산역까지 자가용 이용(0:40 + 1:20 + 0:30 소요 / 통행료 3,700원 / 약 130Km)

 

7. 산 행 : 비포장의 보탑사입구 주차장에 주차한 후 등산안내도를 확인하고 국내 최대 규모의 목탑이라고 하는 보탑사를 관람한 뒤 산행 출발.

보탑사 옆에 위치한 보물 제404호 연곡리 석비 옆으로 등산로가 시작되고 완만한 길을 5분여 걷게 되면 ‘만뢰산 2.3Km’ 이정표를 만나며 이후부터 본격적인 오르막 길의 등산로 시작. 5분여 오르게 되면 무덤 1기를 지나게 되고, 다시 10분여 오르막 길을 오르게 되면 투구바위(좌측 6.5Km)와 만뢰산(우측 1.7Km) 방면 갈림길(제2지점).

이후 우측의 만뢰산 방면으로 완만한 능선길이 이어지고, 나무의자 2개가 있는 쉼터와 비상구급함이 있는 도솔암 하산로 갈림길(우측 1.1Km)을 지나게 되면 엽돈재(좌측 7.5Km)와 만뢰산(우측 0.4Km)의 갈림길인 제4지점에 도착. 계속해서 우측의 만뢰산 방면 완만한 능선길을 따라 걷게 되면 신선샘(우측 120m) 갈림길(2곳)을 지나 해발 611.7m의 만뢰산 정상에 도착. 보탑사에서 약 2.5Km 거리로 약 1시간여 소요. 정상은 넓은 잔디밭에 헬기장이 있고, 만뢰산 안내문과 삼각점(진천 11), 만뢰산 표지석 그리고 대형 등산안내도가 있으며 쥐눈이 생태공원(태령산) 방면에는 나무 의자와 만뢰정이란 정자 등이 있다. 만뢰산 정상에서 이른 점심과 후식 등을 먹고 쥐눈이 자연생태공원 방면으로 출발.

보현골(우측 1.7Km) 방면 갈림길을 지나 연곡저수지(우측 3.4Km)와 하수문(좌측 1.6Km) 방면 갈림길의 제1지점(나무의자 1개)에 도착(10분 소요). 우측의 연곡저수지 방면으로 15분여 걷게 되면 해발 568m의 갈미봉에 도착(서래야 박건석이라고 종이에 인쇄된 이정표 설치). 제5지점으로 좌측은 백곡 구수리, 우측은 철탑 진입로 방면 갈림길. 우측 방면으로 10분여 내리막 길이 이어지며 철탑과 임도를 건너면서 다시 완만한 능선길과 오르막 길의 연속. 임도에서 20분여를 걷게 되면 나무의자 2개가 있는 쉼터를 지나 생태공원 갈림길 사거리. 사거리 이후 지루한 오르막 길의 연속으로 30분여 오르게 되면 지도상의 태령산(해발 454m)으로 추정되는 봉우리에 도착. 이정표도 없고, 숲이 우거져 주위 조망도 좋지 않은 편. 태령산 이후 잠시 내리막 길과 능선길의 연속으로 김유신탄생지(우측 0.9Km) 갈림길을 지나 김유신 태실이 있는 태령산(해발 451m)에 도착. 10분여 소요되며, 태실은 작은 봉분과 같은 형태로 자연석으로 둘러 쌓은 형태. 좌측은 동골 수녀원 방면으로 김유신탄생지 갈림길로 다시 돌아온 뒤 갈림길에서 좌측 방면 경사진 계단길을 따라 하산. 10분여 계단길이 이어지며 나무의자 1개가 있는 쉼터를 지나 연보정과 국궁장 등을 지나게 되면 흥무대왕 김유신 유허비 등이 있는 작은 공원인 김유신 탄생지에 도착(15분여 소요). 보탑사에서 약 9.2Km 거리로 점심시간 50분을 포함하여 약 4시간여 소요.

 

<보탑사 주차장에 위치한 구간별 거리 및 소요시간>

 

<보탑사 주차장에 위치한 만뢰산 등산안내도>

 

<보련산 보탑사>

 

<보탑사의 범종각>

 

<보탑사 - 국내 최대 규모의 3층 목탑.. >

 

<보탑사 내의 작은 연못>

 

<보탑사 건물 뒤편에서 올려다 본 모습>

 

<보탑사 뒤편에 위치한 지장전>

 

<진천 연곡리 석비 안내문>

 

<진천 연곡리 석비 - 비문이 지원진게 아니고 원래 없는 것이라고...>

 

<만뢰산 등산 안내도 - 보탑사 옆의 등산로 입구>

 

<만뢰산 이정표 - 등산로 입구>

 

<연곡가든, 투구바위 방면 이정표>

 

<만뢰산 방면 이정표>

 

<보탑사에서 능선으로 오르는 오르막 길>

 

<능선에 오르기 전 중턱의 묘지 1기>

 

<중턱의 묘지 뒤에 핀 진달래>

 

<능선 안부.. 이정표>

 

<능선의 이정표 - 우측은 만뢰산 정상 방면, 좌측은 투구바위 방면..>

 

<만뢰산 119신고 안내 제2지점>

 

<능선 갈림길에서 만뢰산 방면으로 이어지는 완만한 능선길..>

 

<능선의 이정표.. 우측이 만뢰산 정상 방면...>

 

<이정표.. 우측이 만뢰산 정상 방면>

 

<능선 갈림길의 쉼터...>

 

<만뢰산 정상 방면 이정표>

 

<도솔암 입구 갈림길의 이정표>

 

<도솔암입구 하산로 갈림길의 비상구급함>

 

<우리농원 방면 이정표>

 

<엽돈재(좌측)와 만뢰산(우측) 방면 갈림길 이정표>

 

<엽돈재(좌측)와 만뢰산(우측) 방면 갈림길 이정표>

 

<만뢰산 119 신고안내 - 제4지점>

 

<엽돈재(좌측)와 만뢰산(우측) 방면 갈림길 삼거리>

 

<엽돈재와 만뢰산 갈림길 공터(제4지점)>

 

<신선샘 방면(우측) 갈림길 이정표>

 

<신선샘(우측) 방면 갈림길 이정표>

 

<등산로 옆의 작은 돌탑>

 

<신선샘(우측) 방면 갈림길 이정표>

 

<신선샘(우측) 방면 갈림길 이정표>

 

<만뢰산 정상으로 오르는 오르막 길.. 정상에서 내려다 본 모습>

 

<만뢰산 안내문 - 헬기장 옆에 위치>

 

<만뢰산 안내도 - 만뢰산 정상에 위치>

 

<만뢰산 정상 표지석 - 해발 611.7m>

 

<만뢰산 정상의 헬기장>

<만뢰산 정상의 삼각점 - 진천 11, 1984 재설>

 

<자연생태공원 방면 이정표 - 만뢰산 정상>

 

<만뢰산 정상 옆에 위치한 벤치와 만뢰정>

 

<만뢰산 정상 옆에 위치한 만뢰정>

 

<보련골 방면 하산로 이정표>

 

<만뢰산 119 신고안내 - 제1지점>

 

<내리막의 등산로>

 

<갈림길의 공터와 나무의자>

 

<연곡저수지와 하수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

 

<연곡저수지/태령산 방면 등산로>

 

<좌측 봉우리를 우회하는 등산로>

 

<갈미봉 공터와 이정표>

 

<연곡저수지와 백곡구수리 방면 갈림길 이정표 - 갈미봉>

 

<만뢰산 119 신고안내 - 제5지점 - 갈미봉 정상>

 

<갈미봉의 갈림길 이정표>

 

<연곡저수지/태령산 방면 내리막 길>

 

<좌측의 백곡구수리 방면 전경>

 

<등산로 옆에 핀 생강나무꽃>

 

<태령산으로 가는 등산로 - 우측 방면>

 

<등산로 옆의 대형 송전탑>

 

<송전탑이 있는 임도>

 

<송전탑 앞의 이정표>

 

<송전탑 앞의 이정표 - 연곡저수지와 백곡 41국도 방면>

 

<송전탑 앞의 이정표 - 태령산/동골수녀원/쥐눈이마을/김유신장군 탄생지 방면>

 

<활짝 핀 진달래>

 

<쥐눈이마을 못미친 지침의 갈림길>

 

<태령산으로 오르는 소나무 숲길 등산로>

 

<등산로 옆의 나무의자 2개>

 

<생태공원 방면 갈림길 이정표>

 

<생태공원(좌측) 방면 갈림길>

 

<태령산으로 오르는 등산로>

 

<등산로 옆의 나무 의자>

 

<태령산으로 오르는 등산로>

 

<태령산 제1봉 - 별도의 이정표는 없음>

 

<태령산 제1봉 옆에 핀 진달래와 뒤로 보이는 태령산 제2봉>

 

<김유신탄생지 하산로 방면 갈림길>

 

<태령산과 동골수녀원 방면 이정표>

 

<태령산 정상의 김유신 태실>

 

<김유신 태실 옆에 위치한 소나무 두그루>

 

<동골수녀원 방면 이정표 - 태령산 정상>

 

<태령산 정상 이정표 - 서래야 박건석님이 설치하신 듯>

 

<동골수녀원 방면 등산로>

 

<김유신 탄생지 및 태실 안내문 - 태령산 정상>

 

<좌측의 김유신 탄생지 방면 하산로 갈림길>

 

<김유신 탄생지 방면 이정표>

 

<김유신 탄생지 방면 계단길>

 

<김유신 탄생지 방면 계단길>

 

<김유신 탄생지 방면 하산로 중간의 쉼터>

 

<김유신 탄생지 방면 하산로>

 

<등산로 옆에 핀 진달래>

 

<연보정 안내문 - 김유신 탄생지/국궁장 위>

 

<연보정 - 김유신의 부친인 김서현장군이 만노군 태수로 있을 때 치소에서 사용하던 우물이라고...>

 

<연봉정 아래 성터와 국궁장>

 

<연보정 아래에 위치한 국궁장>

 

<만뢰산 등산 안내도 - 김유신 탄생지 부근에 위치>

 

<흥무대왕 김유신 장군 유허비 - 김유신 탄생지>

 

<흥무대왕 김유신장군 유허비 뒷면>

 

<흥무대왕 김유신 장군 유허비 옆면>

 

<흥무대왕 김유신 탄생지 및 태실 안내문>

 

<김유신 탄생지 공원에 위치한 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