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록(2010년대)/산행기록(2012년)

안산(서울 서대문, 2012.12.15) - 제401회

mouner(마우너) 2013. 1. 1. 21:45

산행보고서<401>

 

1. 산행지 : 안산(해발 296m)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2. 산행일 : 2012년 12월 15일(일)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1명)

 

4. 산행로 

발산역(08:30)

→서대문자연사박물관(09:00 / 자가용 / 0:30)→출발(10:45)

→만남의장소(10:47 / [우측] 전망대-500m / [우측] 기념식수장-250m / [우측] 자연학습장-50m / [좌측] 연흥약수터-300m)

→약수터(10:50)

→이정표(10:56 / [직진] 맥천약수터-200m / [우측] 봉화봉약수터-450m / [우측] 전망대-450m)

→휴게소(11:01 / [우측] 봉수대-690m / [좌측] 한양홍제아파트-390m / [직진] 연흥약수터-360m)

→안천약수터(11:07)

→전망대(11:10)

→헬기장(11:14)

→봉수대(삼각점 / 11:15)→하산(11:17)

→조망명소(11:21)

→이정표(11:27 / [직진] 금화체력단련장-300m / [후] 조망명소-270m / [후] 봉수대-370m / [우측] 안산천약수터-250m)

→금화체력단련장(11:34)

→삼각점(11:35)

→능안정(11:37)

→전망대(11:41)

→헬기장(쉼터 / 11:45)

→5826부대 건물

→천연동(뜨란채아파트 / 11:53)

→5826부대 건물

→헬기장(쉼터 / 12:01)

→전망대(12:04)

→능안정(12:08)

→금화체력단련장

→이정표(12:17 / [좌측] 안산천약수터-250m / [후] 금화체력단련장-300m / [직진] 봉수대)

→안산천약수터(안산산악회 / 12:20)

→무악정(12:25 / [직진] 옥천약수터-50m / [후] 안산천약수터-250m / [후] 조망명소-830m / [좌측] 장수천약수터-300m / [우측] 봉수대-450m)

→옥천약수터(12:27)

→이정표(12:28 / [직진] 만남의장소-400m / [후] 무악정-150m)

→만남의장소(12:34)

→서대문자연사박물관(12:35)

※ 총산행시간 : 1시간 50분

 

5. 교통편 ⇒ 발산역에서 서대문자연사박물관까지 자가용 이용(0:30 소요 / 13Km)

⇒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서 상계동까지 자가용 이용(1:30 소요 / 약 30Km / 교통체증)

 

6. 산행비 : 해당사항 없음

 

7. 산 행 : 서대문자연사박물관과 자연학습장 뒤편의 만남의장소에서 산행 출발.

좌측의 연흥약수터 방면으로 들어선 뒤 다음 이정표 갈림길에서 맥천약수터 방면으로 직진. 인적이 드문 등산로를 따라 걷게 되면 좌측 아래로 운동시설이 보이는 곳을 지나게 되고 이후 쉼터(휴게소)가 있는 갈림길. 갈림길에서 우측의 계단길을 따라 5분여 오르게 되면 검은 기암괴석 앞에 운동시설이 있는 안천약수터에 도착. 이후 약수터 옆으로 난 계단길을 오르게 되면 북한산과 인왕산이 건너다 보이는 전망대 공터를 거쳐 헬기장과 정상인 봉수대에 도착.

봉수대에서 남쪽의 봉원사 방면으로 하산. 급경사 내리막 길을 잠시 내려서면 인왕산과 안산 정상의 동쪽 암장이 바라다 보이는 조망명소. 이후 안산천약수터 갈림길 이정표와 봉원사 하산로 갈림길, 금화체력단련장(좌측 봉우리에 삼각점 설치)을 거쳐 쉼터인 능안정에 도착. 능안정에서 계단길을 잠시 내려서게 되면 이후 완만한 능선길이 이어지며 나무 데크로 된 전망대와 헬기장(쉼터)을 지나 5826부대 건물 전후로 경사진 계단길을 내려서면 재개발된 천연동의 뜨란채아파트 단지 입구.

아파트단지까지 내려섰다가 온 길을 따라 되돌아서 5826부대-헬기장(쉼터)-전망대-능안정-금화체력단련장을 거쳐 이정표가 있는 갈림길에서 좌측의 안산천약수터 방면으로 진입. 약수터까지는 완만한 평지길이고 이후 완만한 오르막 길의 임도를 따라 오르게 되면 무악정. 무악정에서 옥천약수터 방면 계단길을 내려서게 되며 옥천약수터를 지나 만남의 장소에 도착.


<> 

 

<>

 

<만남의 장소 표지석>

 

<안산 정상 방면 등산로의 약수터>

 

<약수터 이후 소나무 숲길>

 

<전망대/봉화봉약수터와 맥천약수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좌측의 맥천약수터에서 봉화정 약수터 갈림길로 오르는 등산로 전경>


<봉화약수터 갈림길의 등산로 안내도> 

 

<봉수대와 한양홍제아파트 방면 갈림길 이정표>

 

<봉화약수터 갈림길에서 안천약수터로 이어지는 등산로 갈림길(좌측)>

 

<안천약수터 전경>

 

<안천약수터 전경>

 

<안천약수터의 산악사고 안내 표지판>

 

<안천약수터 옆의 기암괴석과 운동시설물>

 

<안천약수터에서 안산 정상으로 오르는 계단길>

 

<안산 정상 방면 중턱의 소나무>

 

<안산 정상 중턱에서 바라본 인왕산 방면 전경>

 

<안산 정상 방면 중턱에서 바라본 북한산 방면 전경>

 

<안산 정상 방면 중턱에서 바라본 백련산 방면 전경>

 

<안산 정상 아래의 헬기장>

 

<안산 정상의 등산로 안내도>

 

<안산 정상에서 바라본 인왕산 방면 전경>

 

<안산 정상의 지적 삼각점>

 

<안산 정상에서 내려다 본 독립문공원과 서울 시내 방면 전경>

 

<안산 정상에서 내려다 본 능안정 방면 전경>

 

<안산 정상에서 바라본 통신탑>

 

<안산 정상에서 조망명소 방면 하산로 계단길>

 

<조망명소 옆의 대형 토르>

 

<조망명소에서 바라본 안산 정상 방면 전경>


<조망명소 아래의 암릉구간> 


<조망명소 아래의 기암괴석들> 

 

<체력단련장과 봉수대 방면 갈림길 이정표>


<금화체력단련장과 안산천약수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능안정 방면 능선의 운동시설물들과 안내문>

 

<능안정 방면 능선의 봉우리>

 

<능안정 방면 능선의 삼각점>

 

<능안정 부근의 안산 도시자연공원 등산 안내도>

 

<능안정 내부 모습>

 

<능안정에서 천연동 방면 등산로 전경>

 

<능안정 방면 능선의 전망대 데크>

 

<안산에서 바라본 서울 조망 안내도>

 

<능안정 부근에서 바라본 인왕산 방면 전경>

 

<천연동 방면 능선에서 바라본 능안정과 안산 정상 방면 전경>

 

<천연동 방면 능선의 헬기장 전경>

 

<천연동 방면 등산로 입구의 아파트 단지>

 

<천연동 방면 등산로 입구의 계단길>

 

<천연동 방면 등산로 입구의 안산 도시자연공원 등산 안내도>

 

<천연동 방면 등산로 전경>

 

<능안정과 안산 정상 방면 전경>

 

<능안정 부근의 안산 도시자연공원 등산 안내도>

 

<안산천약수터와 금화체력단련장 방면 이정표>

 

<안산천약수터 전경>

 

<안산천약수터 안내문>

 

<옥천약수터와 봉수대 방면 갈림길 이정표>

 

<조망명소와 안산천약수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 무악정 앞>

 

<무악정 전경>

 

<무악정 앞의 안산 도시자연공원 안내도>

 

<옥천약수터 앞의 표지석>

 

<옥천약수터 이정표>

 

<만남의 장소 방면 이정표>

 

<만남의 장소 방면 하산로 계단길>

 

<만남의 장소 방면 등산로의 쉼터 전경>

 

<만남의 장소 표지석>

 

<만남의 장소 앞의 돌탑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