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행 보 고 서 <341>
1. 산행지 : 인왕산(해발 338m), 북악산(백악산, 해발 342m)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종로구, 성북구
2. 산행일 : 2010년 11월 14일(일) / 당일산행
3. 산행자 : 제140회 세무대학동문산악회 정기산행(총 2명 / 회원 2명)
○희석 이재훈
4. 산행로
발산역(08:10)
→사직공원(08:50 / 버스 / 0:30)→산행 출발(09:00)
→종로도서관
→황학정(등과정터 / 09:05 / 0:05)
→갈림길(09:10 / 0:05 / [좌측] 독립문공원-1.4Km / 사직단-0.6Km / [직진] 창의문-1.8Km)
→초소(09:12)
→갈림길(09:15 / [직진] 창의문-1.8Km / [우측] 사직단-0.6Km / 독립문공원-1.4Km)
→이정표(09:20 / 0:05 / [좌측] 인왕천약수터-350m / 사직공원-1.06Km / [직진] 자하문-1.61Km)
→석문/103초소
→인왕천약수터(09:25 / 0:05)
→성곽(09:35 / 0:05 / [우측] 정상-0.3Km / 사직공원-1.54Km / [우측] 창의문-1.9Km)
→인왕산 정상(해발 338m / 09:45 / 0:10 / [직진] 정상-0.05Km / 사직공원-1.79Km / 독립문-2.14Km / [우측] 창의문-1.6Km)→하산(09:55)
→갈림길(10:00 / 0:05)
→이정표(10:05 / 0:05 / [직진] 창의문-1.35Km / 정상-0.3Km / 사직공원-2.04Km)
→갈림길(10:10 / 0:05 / [직진] 창의문-1.16Km / 정상-0.49Km / 사직공원-2.23Km / [우측] 인왕산길-0.39Km)
→갈림길
→이정표(10:18 / [우측] 인왕산길-0.07Km / [우측] 청운어린이집-0.23Km / 정상-0.94Km / 사직공원-2.68Km)
→인왕산길(10:20 / [좌측] 창의문 / 정상-1.01Km / [우측] 사직공원 / [직진] 청운어린이집-0.15Km)
→윤동주시비(10:23 / [직진] 창의문-300m / 산책로-250m / [우측] 인왕산에서 굴러온 바위-100m)
→창의문안내소(10:30 / 0:05)
→자북정도 표지석(10:40)
→돌고래쉼터(10:45 / 0:05)
→백악쉼터(10:52)
→이정표(10:59 / [우측] 백악마루 / 창의문 / [직진] 숙정문)
→북악산(백악산 / 해발 342m / 11:00)
→1․21사태 소나무(11:08)
→청운대(해발 293m / 11:11)
→이정표(11:18 / [좌측] 곡장 / [직진] 숙정문 / 백악마루)
→곡장(11:21)
→숙정문(11:34)
→말바위 전망대(11:43)
→이정표(11:46 / [직진] 삼청공원-100m / [직진] 와룡공원-100m / [우측] 삼청공원-650m)
→이정표(11:48 / [우측] 와룡공원 하산)
→말바위 쉼터(11:50 / 와룡공원-250m)
→와룡공원 입구(11:59 / [직진] 서울과학고-0.8Km / [우측] 성내암-0.5Km)
→서울과학고(12:10)
→성북초교앞 교차로(12:15 / 점심)
→한성대입구(13:20 / 도보 / 0:15)
→서대문로터리(13:30 / 택시 / 0:10)
→발산역(14:10 / 버스 / 0:30)
※ 총산행시간 : 3시간 15분 소요
5. 교통편
⇒ 발산역에서 사직공원 앞까지 601번 시내버스 이용(0:30 소요 / 900원)
⇒ 서대문로터리에서 발산역까지 601번 시내버스 이용(0:30 소요 / 900원)
※ 창의문 입구 경유 시내버스 운행(0212번, 1020번, 7022번,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3번 출구에서 탑승)
※ 숙정문 안내소
-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에서 1111번, 2112번 버스를 이용하여 종점(명수학교)에서 하차하여 걸어서 10분
※ 말바위 안내소
- 지하철 3호선 안국역 2번 출구에서 종로 02번 마을버스를 이용하여 성균관대 후문에서 하차하여 와룡공원까지 10분 도보
- 지하철 4호선 혜화역 1번 출구에서 종로 08번 마을버스를 이용하여 종점(명륜3가)에서 하차하여 와룡공원까지 10분 도보
6. 산행비 : 교통비 1,800원
7. 산 행
사직공원에서 종로도서관 방면 도로를 따라가다가 인왕스카이웨이 도로를 만나 우측으로 걷게 되면 황학정과 등과정터, 배드민턴장 등을 지나 커다란 호랑이 동상이 있는 삼거리 갈림길. 갈림길에서 좌측의 독립문공원 방면으로 가서 성곽을 따라 산행하려 하였으나 성곽 복원공사로 인해 통제되어 다시 삼거리 갈림길로 되돌아 온 뒤 창의문(자하문) 방면으로 도로를 따라 200여미터 가다가 좌측의 등산로 입구(철조망)에서 인왕천 약수터 방면으로 산행 시작.
완만한 돌계단을 따라 석문, 103초소를 지나 5분여 오르게 되면 거대한 바위 틈으로 물이 나오는 인왕천약수터에 도착. 이후 성곽의 주능선까지 급경사의 돌계단이 이어지며 5분여 소요. 새로 조성된 성곽과 급경사 오르막 길을 10분여 오르게 되면 해발 338m의 인왕산 정상에 도착. 동쪽으로는 북악산과 청와대, 남쪽으로는 남산과 저멀리 관악산이, 서쪽으로는 안산과 백련산이, 북쪽으로는 북한산의 비봉 능선 등이 조망된다. 정상에는 군 초소와 데크 2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종로구 경계 시설물과 삼각점 등이 있다.
정상에서 좌측 방향의 바위 옆으로 난 철제 계단길을 내려선 뒤 성곽을 따라 산행. 성곽 건너 좌측으로 난 갈림길(기차바위, 북악배수지 방면)을 지나고, 우측의 인왕산길 방향 하산로 갈림길을 지나게 되면 성곽 좌측으로 계단길을 내려서게 되며 성곽을 따라가다 다시 철제 계단을 올라 성곽을 건너게 된다. 이후 5분여 성곽을 따라 내려서다 우측의 인왕산길과 청운어린이집 방향으로 하산. 인왕산길에 내려선 뒤 도로를 따라 좌측으로 5분여 가게 되면 윤동주시비 등을 지나 창의문 밑 도로에 도착. 우측의 신호등을 건넌 뒤 최규식 경무관의 동상 좌측으로 올라서면 창의문 안내소.
입구에 준비된 방문신청서를 작성한 뒤 신분증 확인 후 출입증을 발급받아 목에 걸고 성곽을 따라 급경사의 목제 계단길을 오르기 시작. 자북정도(紫北正道) 표지석을 지나 돌고래쉼터와 백악쉼터를 지나게 되면 북악산 정상 밑 갈림길로 급경사 오르막 길의 연속. 갈림길에서 오른쪽 오르막 길로 잠시 올라서면 해발 342m의 북악산 정상으로 정상에는 백악산(白岳山)이라 새겨진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
북악산 정상에서 갈림길로 다시 내려선 뒤 성곽을 따라 완만한 내리막 길을 걷게 되며 1․21사태 소나무를 지나 넓은 공터인 해발 293m의 청운대에 도착(10분 소요). 청운대에서 계단을 따라 성곽 좌측으로 내려서 걷다가 다시 계단을 올라 성곽으로 올라선 뒤 좌측으로 산행. 이후 곡장 이정표를 따라 좌측으로 올라서게 되면 북한산의 비봉능선이 건너다 보이며 다시 능선으로 내려와 성곽을 따라 15분여 걷게 되면 숙정문. 좌측으로는 북악스카이웨이와 팔각정이 올려다 보이고, 정면으로는 삼청각 건물이 내려다 보인다.
이후로는 능선과 내리막 길의 연속으로 대형 데크시설이 되어 있는 말바위 전망대를 지나 갈림길에서 성벽을 가로질러 와룡공원 방면으로 목재 계단길로 하산. 성곽 좌측으로 내리막 길을 걷게 되면 말바위 쉼터를 지나게 되며 와룡공원 입구에서 성곽을 따라 계속 내려서면 서울과학고 등을 지나 간송미술관 입구인 성북초교앞 교차로로 하산.
<사직단 입구 전경>
<사직단 정문 안내문>
<사직공원 안내도>
<사직서터 안내 표지석>
<서울 사직단 표지석>
<사직동 주민센터 마을버스 승차장>
<종로도서관 전경>
<인왕산 등산로 안내도>
<사직공원 기점 안내 표지석>
<황학정 부근의 붉은 단풍>
<등과정터 안내 표지석>
<등과정 표지석>
<사직공원 기점 안내 표지석>
<인왕산으로 오르는 등산로 전경>
<창의문과 독립문공원 방면 갈림길 이정표>
<인왕산의 유래 안내문>
<등산로 우회 안내문>
<청와대와 경복궁을 지키는 호랑이>
<인왕천약수터와 자하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
<인왕천약수터로 오르는 계단길>
<인왕천약수터로 오르는 계단길과 기암괴석>
<인왕천약수터 방면으로 오르는 계단길>
<인왕천 약수터 아래의 전경>
<바위에 새겨진 글씨들>
<인왕천 약수터 아래의 샘터>
<인왕천 약수터의 등산로 안내도>
<인왕천약수터 전경>
<등산로 중턱에서 바라본 남산 방면 전경>
<인왕산 정상과 인왕천약수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인왕산 성곽에서 바라본 범바위 방면 전경>
<범바위 아래에서 바라본 인왕산 정상 방면 전경>
<인왕산 정상 중턱에서 내려다 본 범바위 방면 성곽길 전경>
<인왕산 정상과 창의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
<인왕산 정상의 삿갓바위>
<인왕산 정상의 삼각점>
<인왕산 정상에서 바라본 북한산 방면 전경>
<인왕산 정상에서 바라본 북악산 방면 전경>
<인왕산 정상의 종로구 경계점 시설물>
<인왕산 정상 아래의 하산로 전경>
<기차바위 방면 갈림길과 기차바위 방면 전경>
<인왕산 성곽길에서 바라본 인왕산 정상 방면 전경>
<창의문 방면 하산로 이정표>
<창의문과 인왕산길 방면 갈림길 이정표>
<부암약수터 방면 성곽 우회로 계단길>
<부암약수터 방면 하산로 전경>
<부암약수터 부근의 등산 안내도>
<인왕산 성곽길 전경>
<창의문 방면 하산로에서 바라본 북악산 정상 방면 전경>
<청운어린이집과 인왕산길 방면 하산로 이정표>
<창의문과 청운어린이집 방면 갈림길 이정표>
<창의문과 시인의 언덕 방면 갈림길 이정표>
<윤동주 시인의 언덕 표지석>
<>
<창의문 방면 하산로의 망향대>
<창의문의 인왕산 등산로 안내도>
<시인의 언덕 오르는 길 전경>
<자하문 입구의 최규식경무관 동상>
<북악산 서울성곽 탐방 출입신청서>
<북악산 서울 성곽 탐방로 안내도>
<자북정도 표지석>
<돌고래쉼터 방면 전경>
<북악산 성곽길에서 바라본 인왕산 방면 전경>
<북악산 성곽길에서 바라본 족두리봉 방면 전경>
<북악산 정상 방면 성곽길에서 바라본 북한산 방면 전경>
<백악마루와 숙정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
<북악산 옛 모습으로 복원 안내 표지석>
<북악산 정상의 백악산 표지석>
<북악산 정상에서 바라본 인왕산 방면 전경>
<북악산 정상에서 바라본 남산 방면 전경>
<1.21 사태 소나무>
<>
<청운대에서 바라본 남산 방면 전경>
<청운대 표지석>
<북악산 성곽에서 바라본 북한산 방면 전경>
<북악산 성곽 전경>
<북악산 성곽과 등산로 전경>
<성벽 축조의 시대별 차이 안내문>
<축조 시대별 성곽 전경>
<성곽 부근의 장승들>
<숙정문과 곡장 방면 갈림길 이정표>
<여장과 치 안내문>
<곡장에서 바라본 북한산 방면 전경>
<곡장 부근의 단풍>
<곡장 부근의 붉게 물든 단풍>
<북악산 정상과 인왕산 방면 전경>
<백악마루와 와룡공원 방면 갈림길 이정표>
<서울 성곽 숙정문 안내문>
<숙정문 부근의 시대별 축조기법 안내문>
<말바위 전망대 방면 성곽길 전경>
<말바위 전망대 방면 하산로에서 바라본 팔각정 방면 전경>
<말바위 전망대 방면 하산로에서 바라본 삼청각 방면 전경>
<말바위 전망대 방면 하산로에서 바라본 팔각정 방면 전경>
<말바위 전망대 이정표>
<와룡공원과 삼청공원 방면 갈림길 이정표>
<삼청공원과 와룡공원 방면 갈림길 이정표>
<성곽에서 바라본 팔각정 방면 전경>
<북악하늘길과 형제봉 오름길 안내도>
<말바위 안내소 가는 길 이정표>
<와룡공원 기점 이정표>
<말바위 쉼터 방면 이정표>
<말바위 쉼터 방면 하산로 전경>
<와룡공원 기점 안내 이정표>
<말바위 쉼터와 북악산 도시자연공원 방면 갈림길 이정표>
<말바위 쉼터 방면 이정표>
<서울시 선정 우수 조망명소 방면 이정표>
<북악 하늘길 등산로 안내도>
<말바위 안내소 가는 길 이정표>
<종로08 마을버스 정류장>
<서울 과학고 방면 하산로 이정표>
<서울 과학고 방면 하산로의 단풍>
<>
<서울 성곽 안내문>
<붉게 물든 단풍잎>
□ 산행기록 홈페이지 보기(자세한 산행기록은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산행기록(2010년대) > 산행기록(2010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산(서울 종로, 2010.12.11) - 제343회 (0) | 2010.12.19 |
---|---|
국사봉(인천 옹진, 2010.11.17) - 제342회 (0) | 2010.12.02 |
지리산(전남 구례, 2010.11.05~7) - 제340회-1(한신계곡 구간) (0) | 2010.12.02 |
호명산(경기 가평, 2010.10.17) - 제339회 (0) | 2010.10.28 |
수락산(경기 남양주, 2010.10.09) - 제338회 (0) | 2010.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