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록(2020년대)/산행기록(2024년)

관악산(경기 과천, 2024.12.21) - 제1674회

mouner(마우너) 2024. 12. 25. 00:15

산행보고서<1674>

 

 

1. 산행지 : 관 악 산(해발 573m)

서울특별시 관악구. 경기도 과천시

 

2. 산행일 : 2024년 12월 21일(토) / 당일산행

 

3. 산행자 : 푸른산하산악회 정기산행(총 16명)

 

4. 산행로

발산역(08:05)→사당역(08:51 / 지하철)→산행 출발(09:08)

→이정표(서울둘레길 11-1 / 09:14 / [직진] 서울둘레길[관악산공원 입구]-5.2Km / [후] 서울둘레길[사당역 갈림길]-500m)

→이정표(서울둘레길 11-2 / 09:16 / [우측] 연주대 / [후] 서울둘레길[사당역 갈림길]-700m / [직진] 서울둘레길[관악산공원 입구]-5.0Km)

→관악체력단련장(09:28 / [직진] 연주대-3.7Km / [좌측] 관음사-0.2Km)

→이정표(서울둘레길 11-5 / 09:34 / [직진] 연주대-4.2Km / [후] 서울둘레길[사당역 갈림길]-1.2Km / [우측] 서울둘레길[관악산공원 입구]-4.5Km)

→이정표(09:37 / [좌측] 연주대 / [우측] 전망대 / [후] 남현동[사당역])

→이정표(09:41 / [직진] 연주대[정상] / [직진] 연주암 / [후] 남현동[관음사])

→이정표(09:45 / [우측] 연주대-3.4Km / [우측] 관등정 / [후] 관음사-0.6Km)

→이정표(현위치 G4 관음사 국기봉 아래 / 09:45)

→이정표(운동시설 / 09:47 / [직진] 연주대-3.3Km / [후] 관음사-0.7Km / [우측] 사당역-1.3Km)

→이정표(관등정 / 09:48 / [좌측] 연주대-3.2Km / [후] 관음사-0.8Km / [우측] 인헌고등학교-1.0Km)

→이정표(현위치 G5 관등정 / 09:48)

→이정표(09:52 / [좌측] 연주대 / [후] 남현동[사당역] / [직진] 국기봉)

→관음사 국기봉(09:57)

→관악산공원 우수경관 전망대(10:01)

→이정표(10:08 / [직진] 연주대[정상] / [직진] 연주암 / [후] 남현동/인헌동)

→이정표(10:10 / [직진] 연주대 / [후] 남현동[사당역])

→이정표(10:18 / [직진] 연주대 / [후] 남현동[사당역])

→이정표(현위치 G7 선유천 헬기장 / 10:20)

→이정표(10:20 / [우측] 사당역-2.5Km / [후] 관음사-1.3Km / [좌측] 연주대-2.5Km)

→ 선유천 국기봉(10:31)

→이정표(선유천 헬기장 / 10:39 / [우측] 연주대-2.5Km / [좌측] 사당역-2.5Km / [좌측] 관음사-1.3Km)

→데크(상봉약수 공용기지국 / 10:42)

→이정표(10:42 / [직진] 연주대-2.4Km / [후] 사당역-2.6Km / [우측] 낙성대역-2.?Km)

→이정표(10:47 / [우측] 연주대 / [후]사당역 / [직진] 파이프능선)

→이정표(현위치 G8 파이프능선 가는길 / 10:48)

→이정표(10:48 / [직진] 연주대-2.3Km[50분] / [후] 사당역-2.7Km / [우측] 낙성대역)

→이정표(현위치 K6 하마바위 / 10:50)

→똥바위(10:52)

→이정표(현위치 K8 마당바위 / 10:58)

→이정표(현위치 K9 해태상[상] / 11:01)

→이정표(11:02 / [직진] 정상[연주대] / [후] 해태상[상] 조망데크 / [후] 하산길[사당역])

→이정표(해태상 조망데크 / 11:04 / 점심)→출발(11:48)

→이정표(현위치 G19 손바닥 나무[상] / 11:49)

→이정표(현위치 K10 헬기장[하] / 11:50)

→이정표(11:54 / [직진] 연주대[정상] / [직진] 연주암 / [후] 남현동/인헌동)

→이정표(헬기장 / 12:02 / [직진] 연주대 정상 / [직진] 과천시 / [후] 남현동[사당역])

→이정표(K11-1 파이프능선 / 12:04)

→이정표(현위치 K11 헬기장 / 12:04)

→이정표(12:05 / [직진] 정상[연주대] / [직진] 정상부 조망데크 / [후] 하산길[사당역])

→데크(12:06)

→이정표(12:07 / [직진] 연주대 정상 / [직진] 연주암 / [후] 남현동[사당역])

→헬기장(12:13)

→이정표(용마골 삼거리 / 12:29 / [직진] 용마골 입구-1.5Km / [후] 연주대-1.4Km)

→이정표(4코스 두번째 봉우리 / 12:48 / [직진] 과천향교-2.4Km / [후] 연주대-0.8Km)

→이정표(4코스 첫번째 봉우리 / 13:18 / [직진] 과천향교-1.4Km / [후] 연주대-1.8Km)

→이정표(13:23 / [직진] 천혜수 탐방로[무당바위 약수터]-300m / [후] 마당바위-1Km / [좌측] 천혜수 탐방로[과천교회]-900m)

→산불감시초소(13:24)

→이정표(4코스 산불감시초소 / 13:28 / [직진] 과천향교-0.9Km / [후] 연주대-2.3Km)

→이정표(13:34 / [좌측] 천혜수 탐방로[과천향교]-500m / [후] 천혜수 탐방로[과천교회]-1,200m)

→이정표(무당바위 약수터 / 13:34 / [직진] 과천향교-0.5Km / [후] 연주대-2.7Km)

→이정표(13:47 / [직진] 천혜수 탐방로[과천향교]-220m / [후] 천혜수 탐방로[산불감시탑]-500m)

→이정표(관악산 입구 / 13:48 / [좌측] 정부청사역-1.1Km / [우측] 연주대-3.2Km)

→이정표(13:48 / [좌측] 과천[과천향교]-220m / [좌측] 천혜수 탐방로[과천교회]-600m / [후] 천혜수 탐방로[산불감시탑]-600m / [우측] 연주대-2.9Km / [우측] 연주암-2.56Km / [우측] 관악산-2.4Km)

→이정표(13:50 / [직진] 과천향교-150m / [후] 연주대-2.97Km / [후] 연주암-2.63Km / [후] 관악사-2.48Km / [좌측] 화장실)

→과천향교(13:51 / [우측] 화장실-120m / [후] 연주대-3.1Km / [후] 연주암-2.78Km / [후] 관악사-2.63Km)

→이정표(13:52 / [우측] 정부과천청사역-800m / [후] 천혜수 탐방로[산불감시탑]-830m / [후] 연주암-2.7Km / [좌측] 화장실-30m / [좌측] 천혜수 탐방로[과천교회]-350m / [좌측] 문원체육공원-1.1Km)

→정부과천청사역(14:08 / 뒤풀이)→사당역(17:06 / 뒤풀이)→발산역(20:00 / 지하철)

※ 총산행시간 : 5시간

※ 총산행거리 : 8.41Km

 

5. 교통편

⇒ 발산역을 출발(08:11 탑승)하여 영등포구청역(08:25 하차 / 08:30 탑승 / 지하철 5호선)을 거쳐 사당역(08:51, 지하철 2호선)까지 지하철 이용(0:40 소요 / 1,400원 + 200원)

⇒ 정부과천청사역을 출발(16:53 탑승)하여 사당역까지 지하철 4호선 이용(0:13 소요 / 1,400원)

⇒ 사당역을 출발(19:06 탑상)하여 영등포구청역(19:29 하차 / 19:34 탑승 / 지하철 2호선)을 거쳐 발산역(19:52 하차 / 지하철 5호선)까지 지하철 이용(0:46 소요 / 1,400원 + 200원)

 

6. 산행비

물품구입 4,200원

교 통 비 4,600원

산 행 비 30,000원

합 계 38,800원

 

7. 산 행

사당역 4번 출구에서 주택가를 지나 관음사 방면으로 산행 시작.

관음사 입구에서 우측의 연주대 방면 오르막 길로 오르게 되면 관악체력단련장에 도착하게 되며 이후부터 경사진 오르막 길의 연속. 이후 연주대 방면으로 오르막 길이 계속되며 우측의 관등정과 연주대 방면으로 들어서게 되면 운동시설이 있는 체력단련장을 지나 관등정에 도착. 관등정에서 좌측의 연주대 방면으로 계단길을 오르게 되며 다시 국기봉(정면) 방면 갈림길에서 좌측의 연주대 방면으로 경사진 계단길과 암릉구간을 오르게 되면 관음사 국기봉을 지나 관악산공원 우수경관 전망대(데크)에 도착.

데크에서 계단길을 내려선 이후 능선길과 계단 등을 오르내리게 되며 선유천 헬기장에서 우측으로 가게 되면 선유천 국기봉에 도착. 국기봉에서 헬기장으로 되돌아 온 뒤 우측의 연주대 방면으로 가게 되면 상봉약수 공용기지국과 데크 쉼터를 지나 좌측의 파이프능선 갈림길 입구에 도착. 갈림길에서 연주대 방면 능선길을 걷게 되면 하마바위, 마당바위를 지나게 되며 이후 해태상(상) 이정표가 있는 곳에서 기암괴석 뒤편에 위치한 헬기장과 데크에서 점심식사. 이후 G19 손바닥 나무(상) 이정표, K10 헬기장(하) 이정표를 지나 계단길을 오르게 되면 좌측의 파이프능선에서 오르는 등산로와 만나는 헬기장(K11)에 도착. 이후 데크 쉼터를 지나 계단길을 오른 뒤 좌측의 오르막 길을 오르게 되면 용마능선 갈림길인 헬기장에 오르게 되며 이후 좌측의 용마능선 방면으로 하산. 용마골 삼거리 이정표, 4코스 두번째 봉우리 이정표, 4코스 첫번째 봉우리 이정표, 마당바위, 산불감시초소, 무당바위 약수터를 거쳐 과천향교로 하산한 뒤 정부과천청사역 방면으로 이동.

 

8. 산행 사진

 

<서울둘레길 사당역에서 관악산 공원 입구 방면 이정표>

 

<관음사 입구의 관악산 등산 안내도>

 

<서울둘레길 사당역에서 관악산 공원 입구와 연주대 방면 이정표>

 

<관음사 방면 등산로 입구의 남현동 유아자연 배움터 안내문>

 

<사당역에서 관음사 국기봉 방면 등산로의 돌탑>

 

<관음사 부근의 관악체력단련장 전경>

 

<연주대와 관음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

 

<서울둘레길 사당역에서 연주대와 관악산 공원 입구 방면 갈림길 이정표>

 

<사당역에서 관음사 국기봉 방면 등산로의 설경>

 

<남현동 사당역에서 연주대와 전망대 방면 이정표>

 

<사당역에서 관음사 국기봉 방면 등산로에서 바라본 설경>

 

<남현동 관음사에서 연주대와 연주암 방면 이정표>

 

<관음사 국기봉 방면 전경>

 

<관음사에서 연주대와 관등정 방면 이정표>

 

<현위치 G4 관음사 국기봉 아래 이정표>

 

<관음사에서 연주대와 사당역 방면 갈림길 이정표>

 

<관음사에서 연주대와 인헌고등학교 방면 갈림길 이정표>

 

<사당역에서 관음사 국기봉 방면 등산로의 관등정 전경>

 

<사당역에서 관음사 국기봉 방면 등산로 계단길(관등정)>

 

<현위치 G5 관등정 이정표>

 

<남현동 사당역에서 연주대와 국기봉 방면 갈림길 이정표>

 

<관음사 국기봉의 태극기>

 

<관악산공원 우수 경관 전망대 안내도>

 

<관음사 국기봉 전망대에서 바라본 선유천 국기봉 방면 전경>

 

<관음사 국기봉 전망대에서 바라본 선유천 국기봉 방면 전경>

 

<남현동 인헌동에서 연주대와 연주암 방면 이정표>

 

<관음사 국기봉 전망대에서 바라본 선유천 국기봉 방면 전경>

 

<남현동 사당역에서 연주대 방면 이정표>

 

<관음사 국기봉 전망대 방면 전경>

 

<남현동 사당역에서 연주대 방면 이정표>

 

<현위치 G7 선유천 헬기장 이정표>

 

<선유천 헬기장의 눈쌓인 전경>

 

<선유천 헬기장의 눈쌓인 소나무>

 

<선유천 국기봉의 태극기>

 

<상봉약수 공용기지국 시설물>

 

<상봉약수 공용기지국 옆의 데크 쉼터>

 

<사당역에서 연주대와 낙성대공원 방면 갈림길 이정표>

 

<사당역에서 연주대 방면 이정표(파이프능선 갈림길)>

 

<현위치 G8 파이프능선 가는길 이정표>

 

<하마바위 부근의 눈쌓인 소나무 한그루>

 

<현위치 K6 하마바위 이정표>

 

<하마바위에서 마당바위 능선의 똥바위>

 

<하마바위에서 마당바위로 오르는 계단길>

 

<마방바위 부근의 대형 기암괴석들>

 

<현위치 K8 마당바위 이정표>

 

<현위치 K9 해태상 상 이정표>

 

<해태상 조망데크와 사당역에서 연주대 정상 방면 이정표>

 

<눈쌓인 해태상 조망데크 전경>

 

<해태상 주변의 대형 기암괴석들>

 

<현위치 G19 손바닥 나무 상 이정표>

 

<현위치 K10 헬기장 하 이정표>

 

<남현동 인헌동에서 연주대와 연주암 방면 이정표>

 

<해태상 방면에서 연주대 방면으로 오르는 계단길>

 

<남현동 사당역에서 연주대와 과천시 방면 이정표>

 

<해태상 방면에서 연주대 방면 능선의 헬기장 전경>

 

<현위치 K11-1 이정표(파이프능선 방면 갈림길)>

 

<현위치 K11 헬기장 이정표>

 

<사당역에서 연주대와 정상부 조망데크 방면 이정표>

 

<해태상 방면에서 연주대 방면 능선의 조망데크>

 

<남현동 사당역에서 연주대와 연주암 방면 이정표>

 

<용마능선의 559봉에서 바라본 연주대 방면 전경>

 

<과천향교 방면 용마능선의 용마골 삼거리 이정표>

 

<과천향교 방면 용마능선의 4코스 두번째 봉우리 이정표>

 

<과천향교 방면 용마능선의 4코스 첫번째 봉우리 이정표>

 

<마당바위에서 천혜수 탐방로 무당바위 약수터와 과천교회 방면 갈림길 이정표>

 

<과천향교 방면 용마능선의 산불감시초소>

 

<과천향교 방면 용마능선의 4코스 산불감시초소 이정표>

 

<과천향교 방면 용마능선의 무당바위 약수터>

 

<무당바위 약수터에서 천혜수 탐방로 과천향교와 과천교회 방면 이정표>

 

<과천향교 방면 용마능선의 무당바위 약수터 이정표>

 

<과천향교 방면 용마능선의 대형 기암괴석>

 

<과천향교 방면 용마능선의 관악산 입구 이정표>

 

<천혜수 탐방로 산불감시탑에서 과천향교와 연주대 방면 갈림길 이정표>

 

<과천향교 방면 식당가의 통일기원 국조 단군상>

 

<연주대와 연주암에서 과천향교 방면 이정표>

 

<연주대와 관악사지 방면 이정표>

 

<연주대 연주암 관악사에서 화장실 방면 이정표>

 

<과천향교 입구 전경>

 

<연주암에서 정부과천청사역과 문원체육공원 방면 갈림길 이정표>

 

<트랭글 산행기록>

 

<트랭글 네이버 산행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