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록(2020년대)/산행기록(2024년)

설악산(흘림골, 2024.08.31) - 제1640회

mouner(마우너) 2024. 9. 3. 01:02

산행보고서<1640>

 

 

1. 산행지 : 설 악 산(등선대 1,002m)

강원도 양양군 서면

 

2. 산행일 : 2024년 8월 31일(토) / 당일산행

 

3. 산행자 : 푸른산하산악회 개별산행(총 4명)

 

4. 산행로

발산역(05:48)→사당역(06:38 / 지하철)→출발(07:00)

→오색 주차장(11:30 / 자가용)

→흘림골 탐방지원센터(12:00 / 고속버스)→산행 출발(12:01)

→칠형제교(12:14)

→이정표(해발 772m / 설악 08-07 / 12:16)

→이정표(해발 770m / 12:24 / [직진] 등선대-0.6Km / [후] 흘림골 탐방지원센터-0.6Km)

→여심폭포(12:30)

→이정표(여심폭포 쉼터 / 해발 839m / 설악 08-06 / 12:30)

→등선대 쉼터(등선대 안전쉼터 / 등선대 고개 쉼터 / 12:52)

→이정표(해발 956m / 설악 08-05 / 12:52)

→이정표(12:52 / [직진] 용소삼거리-1.9Km / [직진] 오색약수터 탐방지원센터-4.6Km / [후] 흘림골 탐방지원센터-1.0Km)

→등선대(13:00)

→등선대 안전쉼터(13:20 / 점심)→하산(13:55)

→등선폭포(등선폭포교 / 14:12)

→출렁다리(14:15)

→이정표(14:16 / [직진] 용소삼거리-1.5Km / [직진] 오색약수터 탐방지원센터-4.2Km / [후] 등선대-0.5Km / [후] 흘림골 탐방지원센터-1.4Km)

→이정표(해발 769m / 설악 08-04 / 14:16)

→촛대바위교(14:20)→십이폭포 쉼터(14:40)

→이정표(14:53 / [직진] 용소삼거리-1.0Km / [후] 흘림골 탐방지원센터-1.9Km)

→이정표(해발 602m / 설악 08-02 / 14:53)

→십이폭포(십이폭포교 / 14:54)

→이정표(14:57 / [직진] 용소삼거리-0.6Km / [직진] 오색약수터 탐방지원센터-3.3Km / [후] 등선대-1.4Km / [후] 흘림골 탐방지원센터-2.3Km)

→주전폭포교(15:00)

→이정표(해발 537m / 설악 08-01 / 15:05)

→주전폭포(15:06)

→산불감시초소(15:16)

→이정표(용소폭포 삼거리 / 15:17 / [직진] 약수터 탐방지원센터-2.7Km / [후] 흘림골 탐방지원센터-3.1Km / [좌측] 용소폭포 탐방지원센터-0.5Km)

→이정표(해발 462m / 설악 07-06 / 15:19 / [직진] 오색약수터 / [후] 용소폭포 탐방지원센터)

→금강문교(15:23)

→이정표(해발 452m / 설악 07-05 / 15:24 / [직진] 오색약수터 / [후] 용소폭포 탐방지원센터)

→전망대교(15:26)

→선녀교(15:31)

→이정표(해발 419m / 설악 07-04 / 15:34 / [직진] 오색약수터 / [후] 용소폭포 탐방지원센터)

→선녀탕(15:36)

→이정표(15:37 / [직진] 오색약수터 탐방지원센터-1.8Km / [후] 용소폭포 탐방지원센터-1.4Km)

→오색 제2약수(15:41)

→이정표(해발 385m / 설악 07-03 / 15:43 / [직진] 오색약수터 / [후] 용소폭포 탐방지원센터)

→독주암교(15:46)

→성국사교(15:49)

→오색석사(성국사 / 15:50)

→이정표(15:53 / [직진] 오색약수터 탐방지원센터-0.7Km / [후] 용소폭포 탐방지원센터-2.5Km)

→이정표(해발 371m / 설악 07-02 / 15:53 / [직진] 오색약수터 / [후] 용소폭포 탐방지원센터)

→이정표(해발 355m / 설악 07-01 / 15:57 / [직진] 오색약수터 / [후] 용소폭포 탐방지원센터)

→고래바위교(15:58)

→약수출렁교(16:02)

→약수터 탐방지원센터(16:03)

→이정표(16:05 / [직진] 화장실 / [직진] 숙박단지 / [직진] 일반상가 / [후] 선녀탕-2.2Km / [후] 용소폭포-2.9Km)

→오색약수(16:06)

→오색 주차장(16:19)→설악항(17:00 / 자가용 / 뒤풀이)→출발(19:00)→상봉역(22:10 / 자가용)→발산역(23:30 / 지하철)

※ 총산행시간 : 4시간 18분

※ 총산행거리 : 6.89Km

 

5. 교통편

⇒ 발산역을 출발(05:54 탑승)하여 영등포구청역(06:10 하차 / 06:15 탑승 / 지하철 5호선)을 거쳐 사당역(06:38 하차 / 지하철 2호선)까지 지하철 이용(0:44 소요 / 1,120원 + 200원)

⇒ 사당역을 출발(07:00)하여 올림픽도로→서울 양양고속도로를 거쳐 오색 주차장까지 자가용 이용(4:30 소요 / 교통 체증)

⇒ 오색(11:53 탑승)에서 흘림골 탐방지원센터까지 동서울행 고속버스 이용(0:07 소요 / 1,700원)

⇒ 오색에서 설악항까지 자가용 이용(0:32 소요)

⇒ 설악항을 출발(19:00 출발)하여 서울 양양고속도로를 거쳐 상봉역까지 자가용 이용(3:10 소요)

⇒ 상봉역을 출발(22:22 탑승)하여 군자역(22:30 하차 / 22:35 탑승 / 지하철 7호선)을 거쳐 발산역(23:30 하차 / 지하철 5호선)까지 자가용 이용(1:08 소요 / 1,400원 + 400원)

 

6. 산행비

물품구입 3,460원

교 통 비 3,120원

뒤 풀 이 50,000원

합 계 56,580원

 

7. 산 행

오색 주차장에 주차한 후 동서울행 시외버스를 이용해 흘림골 탐방로 입구까지 이동한 후 산행 출발.

흘림골탐방지원센터에서 예약을 확인한 후 등선대 방면으로 산행. 완만한 등산로와 경사진 계단길 등이 이어지며 칠형제교, 여심폭포를 지나 계속해서 경사진 계단길을 오르게 되면 등선대 쉼터(등선대고개 쉼터)에 도착.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1Km 거리로 50분여 소요. 쉼터에서 좌측 방면으로 경사진 오르막 길을 잠시 오르게 되면 등선대 정상에 도착.

등선대에서 등선대 쉼터로 다시 내려선 뒤 좌측의 용소삼거리와 오색약수터 탐방지원센터 방면으로 하산. 경사진 데크 계단길이 이어지며 등선폭포, 촛대바위교, 십이폭포(쉼터), 주전폭포(교)를 지나 용소폭포 삼거리(산불감시초소)에 도착. 등선대 쉼터에서 1.9Km 거리로 1시간 20분여 소요. 좌측의 용소폭포 탐방지원센터 방면으로 통제 중으로 계속해서 약수터 탐방지원센터(오색) 방면으로 하산. 이후 계곡으로 따라 완만한 등산로가 이어지며 금강문교, 전망대교, 선녀교, 선녀탕, 오색 제2약수터, 독주암교, 성국사교, 오색석사(성국사), 고래바위교, 약수터 탐방지원센터를 지나 오색약수에 도착. 용소폭포 삼거리에서 2.7Km 거리로 50분여 소요.

 

8. 산행 사진

 

<흘림골 탐방로 이정표>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의 탐방로 안내도>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바라본 주변 전경>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에 핀 단풍취>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에 핀 단풍취>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 계단길>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에서 바라본 주변 전경>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의 칠형제교>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의 설악 08-07 이정표>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의 고목>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이정표>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에 핀 초롱꽃>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에 핀 초롱꽃>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에 핀 송이풀>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에 핀 며느리밥풀>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에서 바라본 주변 전경>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의 여심폭포>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의 여심폭포 쉼터 이정표>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의 여심폭포 안내문>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의 설악 08-06 이정표>

 

<여심폭포 쉼터에서 바라본 주변 전경>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에 핀 오리방풀>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 계단길>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의 조형물>

 

<흘림골 탐방지원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 전경>

 

<등선대 쉼터에 핀 은분취>

 

<등선대 쉼터에 핀 은분취>

 

<등선대 쉼터 이정표>

 

<등선대 아래의 등선대 안전쉼터>

 

<흘림골탐방지원센터에서 용소삼거리와 오색약수터 탐방지원센터 방면 이정표(등선대 쉼터)>

 

<등선대 고개 쉼터 이정표>

 

<등선대 쉼터에서 등선대 방면 등산로에 핀 은분취>

 

<등선대에서 바라본 점봉산 방면 전경>

 

<등선대에서 바라본 한계령과 서북능선 방면 전경>

 

<등선대의 집게바위 방면 전경>

 

<등선대에서 바라본 한계령과 서북능선 방면 전경>

 

<등선대의 전망 안내도>

 

<등선대의 집게바위>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주변 전경>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생강나무 열매들>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생강나무 열매들>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계단길>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 주변 전경>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주변 전경>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등선폭포 안내문>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등선폭포교 이정표>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등선폭포 전경>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에 핀 꽃들>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전경>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탐방지원센터 방면 하산로 이정표>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설악 08-04 이정표>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촛대바위교 이정표>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촛대바위교>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계곡 전경>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십이폭포 쉼터>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십이폭포 쉼터에서 바라본 주변 전경>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 계단길>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출입금지 안내문>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계곡 전경>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계곡 전경>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계곡 전경>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설악 08-02 이정표>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십이폭포>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십이폭포교>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십이폭포 주변 전경>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십이폭포 전경>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탐방지원센터 방면 하산로 이정표>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주전폭포교>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주변 전경>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설악 08-01 이정표>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주전폭포 전경>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주전폭포 전경>

 

<등선대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주변 전경>

 

<용소폭포 삼거리의 산불감시초소>

 

<용소폭포 삼거리의 갈림길 이정표>

 

<용소삼거리 산불감시초소의 시외버스 시간표>

 

<용소삼거리의 설악 07-06 이정표>

 

<용소삼거리의 탐방로 안내도>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등산로의 작은 돌탑들>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등산로 주변의 계곡 전경>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등산로의 작은 돌탑들>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등산로의 금강문교>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등산로의 설악 07-05 이정표>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등산로의 주변 전경>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등산로의 전망대교>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등산로의 계곡 전경>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등산로의 계곡 전경>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등산로의 설악 07-04 이정표>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등산로의 선녀탕>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등산로의 선녀탕 안내문>

 

<용소폭포 탐방지원센터에서 오색약수 탐방지원센터 방면 하산로 이정표>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등산로 전경>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등산로의 오색 제2약수 이정표>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등산로의 설악 07-03 이정표>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등산로 주변의 기암괴석>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등산로의 독주암교>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등산로의 성국사교>

 

<오색석사(성국사) 건물 전경>

 

<오색석사 앞의 약수터>

 

<오색석사 앞의 삼층석탑>

 

<오색석사 앞의 삼층석탑 안내문>

 

<오색석사(성국사)의 실내 전경>

 

<용소폭포 탐방지원센터에서 오색약수터 탐방지원센터 방면 하산로 이정표>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설악 07-02 이정표>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설악 07-01 이정표>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 방면 하산로의 고래바위교>

 

<주전골 방면 등산로 입구의 철교>

 

<약수터 탐방지원센터 건물 전경>

 

<오색약수 입구의 주전골 안내문>

 

<용소폭포 선녀탕에서 일반 상가 방면 하산로 이정표>

 

<오색약수 입구의 표지석>

 

<오색리 오색약수 안내문>

 

<오색 약수와 안내문>

 

<오색 방면 도로변의 마가목 열매들>

 

<오색 방면 도로변의 마가목 열매들>

 

<트랭글 산행기록>

 

<트랭글 네이버 산행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