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보고서<1599>
1. 산행지 : 북 한 산(문수봉[文殊峰] 727m, 나한봉[羅漢峰] 681m)
서울특별시 종로구, 은평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2. 산행일 : 2024년 6월 1일(토) / 당일산행
3. 산행자 : 푸른산하산악회 개별산행(총 6명)
4. 산행로
발산역(08:35)→경복궁역(09:16 / 시내버스)
→구기동 현대빌라(10:00 / 시내버스)→산행 출발(10:01)
→북한산국립공원 구기분소(10:48 / 간식)
→구기탐방지원센터(10:51 / [직진] 대남문-2.5Km / [직진] 문수사-2.4Km / [직진] 승가사-1.6Km)
→박새교(10:58)→버들치교(11:00)→적송교(11:03)→귀룽교(11:04)
→이정표(해발 242m / 북한 03-01 / 11:07 / [직진] 대남문 / [후] 구기탐방지원센터)→우정교(11:11)
→이정표(11:14 / [직진] 대남문-1.8Km / [직진] 문수사-1.7Km / [후] 구기탐방지원센터-0.7Km / [좌측] 승가사-0.9Km)→돌단풍교(11:20)
→이정표(해발 308m / 북한 03-02 / 11:23 / [직진] 대남문 / [후] 구기탐방지원센터)
→철쭉교(11:24)→국수교(11:26)→고광교(11:29)
→이정표(해발 420m / 북한 03-03 / 11:41 / [직진] 대남문 / [후] 구기탐방지원센터)
→이정표(11:44 / [직진] 대남문-0.9Km / [후] 구기탐방지원센터-1.6Km)
→이정표(해발 537m / 북한 03-04 / 12:09 / [직진] 대남문 / [후] 구기탐방지원센터)
→이정표(12:13 / [직진] 대남문-0.3Km / [후] 구기분소-2.2Km / [좌측] 문수사-0.2Km)
→대남문(해발 656m[683m] / 북한 03-05 / 12:29 / [좌측] 비봉-2.2Km / [후] 구기분소-2.5Km / [우측] 대성문-0.3Km)
→문수봉(해발 727m[708m] / 북한 01-07 / 12:43 / [직진] 비봉탐방지원센터 / [후] 대남문)→점심(12:55)
→청수동 암문 안전쉼터(북한-24 / 13:34)
→청수동 암문(해발 694m / 13:36 / [직진] 의상봉-2.7Km / [좌측] 비봉-2.2Km / [좌측] 삼천탐방지원센터-4.2Km / [우측] 대남문-0.3Km)
→이정표(715봉 / 13:40 / [직진] 의상봉-2.6Km / [후] 대남문-0.4Km / [우측] 행궁지 입구-1.5Km / [우측]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5.1Km)
→나한봉(13:55)
→이정표(북한 56-07 / 해발 657m / 14:02 / [직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 [후] 청수동 암문)
→이정표(14:06 / [직진] 가사당 암문-1.9Km / [직진] 의상봉-2.2Km / [후] 대남문-0.8Km)
→이정표(14:19 / [직진] 가사당 암문-1.5Km / [직진] 의상봉-1.8Km / [후] 대남문-1.2Km)
→부왕동 암문 안전쉼터(북한-23 / 14:32 / [직진] 용출봉-0.7Km / [후] 나한봉-1.8Km)
→이정표(14:33 / [좌측] 삼천탐방지원센터-2.8Km / [후] 대남문-1.5Km / [직진] 의상봉-1.5Km / [우측] 부왕사지-0.5Km)
→이정표(북한 53-02 / 해발 335m / 15:03 / [직진] 삼천사 / [후] 부왕동 암문)
→이정표(15:11 / [직진] 삼천사-1.2Km / [우측] 삼천사지-0.1Km)
→이정표(15:13 / [우측] 삼천탐방지원센터-1.9Km / [후] 부왕동 암문-0.9Km / [좌측] 대남문-2.3Km)
→이정표(15:19 / [직진] 삼천탐방지원센터-1.7Km / [후] 부왕동 암문-1.1Km / [후] 대남문-2.5Km / [좌측] 비봉)
→이정표(북한 58-02 / 해발 232m / 15:19 / [직진] 삼천탐방지원센터 / [후] 문수봉)
→이정표(15:30 / [직진] 삼천탐방지원센터-1.6Km / [후] 비봉-2.2Km / [후] 대남문-2.6Km)
→이정표(15:34 / [직진] 삼천탐방지원센터-1.4Km / [후] 비봉-2.4Km / [후] 대남문-2.8Km)
→삼천사(15:42)
→이정표(15:54 / [직진] 삼천탐방지원센터-0.6Km / [후] 삼천사-0.2Km / [후] 부왕동 암문-2.2Km / [후] 대남문-3.6Km / [좌측] 사모바위-2.3Km / [좌측] 비봉-2.8Km)
→이정표(북한 58-01 / 해발 98m / 15:54 / [직진] 삼천탐방지원센터 / [후] 문수봉)
→이정표(16:05 / [후] 비봉-3.4Km / [후] 대남문-4.2Km)
→삼천탐방지원센터(16:06)
→이정표(삼천사 입구 / 16:08 / [직진] 북한산 둘레길[효자동] / [직진] 여기소마을 경로당-1.2Km / [후] 화장실-0.3Km / [좌측] 북한산 둘레길[불광동] / [좌측] 진관사 입구-0.5Km)
→하나고 버스정류장(16:15)→연신내역(16:37 / 시내버스 / 뒤풀이)→출발(19:15)→마포구청역(19:35 / 지하철)→발산역(20:09 / 지하철)
※ 총산행시간 : 6시간 13분
※ 총산행거리 : 8.62Km
5. 교통편
⇒ 발산역에서 경복궁역까지 601번 시내버스 이용(0:34 소요 / 1,500원)
⇒ 경복궁역에서 구기동 현대빌라까지 7212번 시내버스 이용(0:19 소요 / 환승 할인 + 200원)
⇒ 하나고(진관사 입구)에서 연신내역까지 7211번 시내버스 이용(0:22 소요 / 1,500원)
⇒ 연신내역을 출발(19:18 승차)하여 마포구청역까지 지하철 6호선 이용(0:17 소요 / 1,400원)
⇒ 마포구청역에서 발산역까지 601번 시내버스 이용(0:18 소요 / 환승 할인 + 200원)
6. 산행비
교 통 비 4,800원
물품구입 2,600원
합 계 7,400원
7. 산 행
구기동 현대빌라(구기타운)에서 하천을 따라 걷게 되면 북한산국립공원 구기분소를 지나 구기탐방지원센터에 도착. 이후 계곡을 따라 완만한 등산로가 시작되며 박새교, 버들치교, 귀룽교, 우정교 등의 다리를 지나게 되면 승가사(좌측)와 대남문(직진) 방면 갈림길인 구기계곡 삼거리 안전쉼터에 도착.. 이후 대남문 방면으로 경사진 오르막 길이 시작되며 절개지를 지나 문수사(좌측) 방면 갈림길을 지나면서 계단길을 오르게 되면 해발 683m의 대남문에 도착.
대남문에서 좌측의 성곽을 따라 경사진 오르막을 오르게 되면 해발 727m의 문수봉에 도착하게 되며 이후 성곽을 따라 다시 내려서면 청수동 암문(해발 694m). 청수동 암문에서 경사진 오르막 길을 잠시 오르게 되면 우측의 행궁지와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가 있는 715봉(성랑지)에 도착. 715봉에서 의상봉 방면으로 급경사 암릉구간을 내려섰다가 다시 오르막 구간을 잠시 오르게 되면 해발 681m의 나한봉.
나한봉을 내려선 뒤 경사진 계단길을 지나 나월봉을 우측으로 우회하게 되며 계속해서 암릉구간과 급경사 나무 계단길 등을 내려서게 되면 부왕동 암문에 도착. 부왕동 암문에서 좌측의 삼천사와 삼천탐방지원센터 방면으로 하산. 완만한 돌계단길과 계곡길 등을 내려서게 되면 우측의 삼천사지 방면 갈림길, 좌측의 대남문 방면 갈림길, 좌측의 비봉 방면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삼천사에 도착. 부왕동 암문에서 2Km 거리로 1시간 10분여 소요.
이후 완만한 포장도로를 따라가게 되면 좌측의 비봉과 사모바위 방면 등산로(응봉능선) 입구, 미타교, 식당가를 지나 삼천탐방지원센터에 도착하게 되며 계속해서 도로를 따라 하나고와 진관사 입구 버스정류장에 도착하여 산행 마무리.
8. 산행 사진
<북한산 국립공원 구기분소 전경>
<승가사 문수사 대남문 방면 이정표>
<자원활동가 센터와 (구)구기탐방지원센터 전경>
<구기동계곡의 박새교 주변 전경>
<구기동계곡의 버들치교>
<구기동계곡의 적송교>
<구기동계곡의 귀룽교>
<북한 03-01 이정표>
<구기동계곡의 우정교>
<구기계곡 삼거리 안전쉼터 이정표>
<문수사 대남문과 승가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
<구기동계곡의 돌단풍교>
<돌단풍교 옆의 돌단풍>
<북한 03-02 이정표>
<구기동계곡의 철쭉교>
<구기동계곡의 국수교>
<구기동계곡의 고광교>
<북한 03-03 이정표>
<구기탐방지원센터에서 대남문 방면 이정표>
<구기탐방지원센터에서 대남문 방면 절개지에서 바라본 보현봉>
<북한 03-04 이정표>
<구기분소에서 대남문과 문수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
<구기동계곡에서 대남문으로 오르는 계단길>
<대남문 전경>
<북한 03-05 이정표(대남문 앞)>
<구기분소에서 비봉과 대성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대남문)>
<대남문 현판>
<대남문에서 바라본 보현봉 방면 전경>
<북한 01-07 이정표(문수봉)>
<문수봉 정상 표지목>
<문수봉에서 바라본 보현봉 방면 전경>
<문수봉에서 바라본 비봉 방면 능선 전경>
<문수봉에서 바라본 백운대 방면 전경>
<청수동 암문 안전쉼터 이정표>
<청수동 암문의 갈림길 이정표>
<대남문에서 의상봉과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715봉)>
<715봉의 성랑지 이정표>
<715봉의 삼각점(서울 22)>
<715봉의 삼각점(서울 22) 안내문>
<715봉에서 바라본 문수봉 방면 전경>
<715봉 아래에서 바라본 나한봉과 의상능선 방면 전경>
<715봉 아래에서 바라본 비봉 방면 능선 전경>
<715봉 아래에서 바라본 나한봉과 의상능선 방면 전경>
<715봉 아래에서 바라본 백운대 방면 전경>
<나한봉 정상 표지목>
<나한봉에서 바라본 비봉 능선 방면 전경>
<나한봉에서 바라본 문수봉 능선 방면 전경>
<나한봉 부근에서 바라본 의상능선 전경>
<북한 56-07 이정표>
<나한봉에서 나월봉 방면으로 내려가는 계단길>
<대남문에서 가사당암문과 의상봉 방면 이정표>
<나월봉 부근에서 바라본 백운대 방면 전경>
<나월봉에서 부왕동 암문 방면 능선에 핀 금마타리꽃>
<대남문에서 의상봉과 가사당 암문 방면 이정표>
<나월봉에서 부왕동 암문 방면으로 내려가는 계단길>
<나월봉에서 부왕동 암문 방면 능선에 핀 참조팝나무꽃>
<부왕동 암문 안전쉼터 이정표>
<의상능선의 부왕동 암문>
<부왕동 암문의 갈림길 이정표>
<부왕동 암문에서 삼천사로 내려가는 계단길>
<부왕동 암문에서 삼천사 방면 하산로의 대형 기암괴석들>
<부왕동 암문에서 삼천사 방면 하산로에 핀 땅비싸리꽃>
<부왕동 암문에서 삼천사 방면 하산로에서 바라본 나월봉 방면 전경>
<북한 53-02 이정표>
<부왕동 암문에서 삼천사 방면 하산로 계곡의 돌단풍>
<부왕동 암문에서 삼천사 방면 하산로 계곡의 돌단풍>
<부왕동 암문에서 삼천사 방면 하산로에 핀 노루오줌>
<부왕동 암문에서 삼천사 방면 하산로에 핀 산목련>
<부왕동 암문에서 삼천사 방면 하산로에 핀 산목련>
<삼천사와 삼천사지 방면 갈림길 이정표>
<부왕동 암문에서 삼천탐방지원센터와 대남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
<부왕동 암문에서 삼천탐방지원센터와 비봉 방면 갈림길 이정표>
<북한 58-02 이정표>
<비봉과 대남문에서 삼천탐방지원센터 방면 하산로 이정표>
<비봉과 대남문에서 삼천탐방지원센터 방면 하산로 이정표>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안내문>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삼천사의 산령각 전경>
<삼천사의 대웅보전 현판>
<삼각산 삼천사 현판>
<삼천사에서 삼천탐방지원센터와 사모바위 방면 갈림길 이정표(응봉능선 입구)>
<북한 58-01 이정표>
<미타교에서 바라본 삼천사 아래 계곡 전경>
<비봉과 대남문 방면 이정표(삼천탐방지원센터 부근)>
<삼천탐방지원센터 현판>
<대동사-백운봉 암문-용암문 탐방로 통제 안내 현수막(삼천탐방지원센터)>
<북한산 둘레길 효자동과 불광동 방면 갈림길 이정표>
<삼천사 입구 표지석>
<트랭글 산행기록>
<트랭글 네이버 산행지도>
'산행기록(2020년대) > 산행기록(2024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왕산(서울 종로, 2024.06.04) - 제1601회 (1) | 2024.06.05 |
---|---|
계양산(인천 계양, 2024.06.02) - 제1600회 (3) | 2024.06.03 |
푯대산(천제봉, 경북 의성, 2024.05.29) - 제1598회 (1) | 2024.06.01 |
금수산 신선봉(충북 제천, 2024.05.26) - 제1597회 (2) | 2024.05.31 |
소백산(경북 영주, 2024.05.25) - 제1596회 (3) | 2024.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