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록(2020년대)/산행기록(2023년)

북한산(경기 고양, 2023.03.05) - 제1438회

mouner(마우너) 2023. 3. 8. 01:00

산행보고서<1438>

 

 

1. 산행지 : 북 한 산(문수봉 727m)

서울특별시 은평구, 종로구. 경기도 고양시

 

2. 산행일 : 2023년 3월 5일(일) / 당일산행

 

3. 산행자 : 산이아름다운동행산악회 개별산행(총 12명)

 

4. 산행로

발산역(08:25)→마포구청역(08:45 / 시내버스)→불광역(09:05 / 지하철)

→삼천사 버스정류장(09:54)→산행 출발(09:54)

→이정표(삼천사 입구 / 10:06 / [우측] 화장실-0.3Km / [후] 북한산 둘레길[불광동] / [후] 진관사 입구-0.5Km / [좌측] 북한산 둘레길[효자동] / [좌측] 여기소마을 경로당-1.2Km)

→삼천탐방지원센터(10:09)

→이정표(10:13 / [직진] 비봉-3.4Km / [직진] 대남문-4.2Km)

→이정표(10:22 / [우측] 사모바위-2.3Km / [우측] 비봉-2.8Km / [후] 삼천탐방지원센터-0.6Km / [직진] 삼천사-0.2Km / [직진] 부왕동 암문-2.2Km / [직진] 대남문-3.6Km)

→이정표(10:42 / [직진] 사모바위-1.7Km / [후] 삼천사-0.8Km / [우측] 진관공원지킴터-0.9Km)

→이정표(북한 59-01 / 해발 299m / 10:43 / [직진] 사모바위 / [후] 삼천탐방지원센터)

→응봉(10:48)

→이정표(11:14 / [직진] 사모바위-0.9Km / [후] 삼천탐방지원센터-2.0Km)

→이정표(북한 59-02 / 해발 459m / 11:26 / [직진] 사모바위 / [후] 삼천탐방지원센터)

→이정표(북한 59-03 / 해발 542m / 11:44 / [직진] 사모바위 / [후] 삼천탐방지원센터)

→사모바위(11:47 / [좌측] 대남문-1.7Km / [후] 응봉능선 / [후] 진관공원지킴터-2.7Km / [후] 삼천탐방지원센터-3.3Km / [우측] 비봉-0.5Km / 점심)→출발(12:40)

→이정표(북한 60-03 / 해발 523m / 12:41 / [좌측] 삼천사 / [후] 사모바위)

→이정표(12:41 / [직진] 대남문-1.6Km / [후] 비봉-0.6Km / [좌측] 삼천탐방지원센터-3.2Km)

→승가봉(12:48)

→이정표(북한 01-04 / 해발 561m / 12:51 / [직진] 대남문 / [후] 비봉탐방지원센터)

→통천문(12:54)

→이정표(북한 01-05 / 해발 544m / 13:02 / [직진] 대남문 / [후] 비봉탐방지원센터)

→이정표(13:06 / [직진] 문수봉[어려움]-0.4Km / [후] 사모바위-1.1Km / [좌측] 문수봉[쉬움]-0.4Km / [좌측] 청수동 암문-0.3Km)

→연화바위(13:22)

→문수봉(13:32)

→청수동 암문(13:49)

→이정표(715봉 / 13:54 / [직진] 의상봉-2.6Km / [후] 대남문-0.4Km / [우측] 산성탐방지원센터-5.1Km / [우측] 행궁지 입구-1.5Km)

→나한봉(추정 / 14:01)

→이정표(북한 56-07 / 해발 657m / 14:06 / [직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 [후] 청수동 암문)

→이정표(14:08 / [직진] 가사당 암문-1.9Km / [직진] 의상봉-2.2Km / [후] 대남문-0.8Km)

→이정표(14:26 / [직진] 가사당 암문-1.5Km / [직진] 의상봉-1.8Km / [후] 대남문-1.2Km)

→부왕동 암문 안전쉼터(14:36)

→이정표(북한 56-06 / 해발 518m / 14:36 / [직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 [후] 청수동 암문)

→부왕동 암문(14:37 / [직진] 의상봉-1.5Km / [후] 대남문-1.5Km / [좌측] 삼천탐방지원센터-2.8Km / [우측] 부왕사지-0.5Km)

→쩍벌바위(성랑지 / 14:43)

→이정표(북한 53-01 / 해발 459m / 14:58 / [직진] 산영루 / [후] 부왕동 암문)

→이정표(부왕사지 / 15:03 / [후] 부왕동 암문-0.5Km / [후] 삼천탐방지원센터-3.3Km / [우측] 부황사)

→이정표(15:12 / [좌측] 산성탐방지원센터-2.9Km / [후] 부황사-0.5Km / [후] 부왕동 암문-0.9Km / [우측] 대남문-2.3Km)

→이정표(북한 51-02 / 해발 301m / 15:17 / [직진] 북한동 역사관 / [후] 대남문)

→노적사 입구(15:18 / [후] 대남문-2.4Km)

→중성문(15:21)

→이정표(북한 51-01 / 해발 241m / 15:25 / [직진] 북한동 역사관 / [후] 대남문)

→이정표(법용사 / 15:27 / [직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1.9Km / [후] 대남문-3.3Km / [좌측] 법용사 / [좌측] 국녕사-0.6Km / [좌측] 의상봉-1.1Km)

→선봉사(15:30)

→이정표(북한동 역사관 / 15:32 / [후] 북한산 대피소-2.5Km / [후] 대남문-3.7Km / [후] 백운대[완만한 길]-4.1Km / [우측] 원효봉-1.2Km / [우측] 백운대[가파른 길]-2.6Km)

→무량사(15:39)

→대서문(15:44)

→이정표(15:47 / [직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0.6Km / [후] 백운대-3.6Km / [우측] 자연관찰로)

→용암사 입구(15:48)

→이정표(15:52 / [직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0.3Km / [후] 백운대-4.0Km / [좌측] 의상봉-1.2Km)

→이정표(15:55 / [직진] 산성탐방지원센터-0.1Km / [직진] 북한산 둘레길[진관동] / [후] 백운대[대서문길]-4.2Km / [우측] 북한산 둘레길[교현리] / [우측] 백운대[계곡길]-4.0Km)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15:57)

→주차장(16:02 / 뒤풀이)→출발(18:00)→독립문역(18:51 / 시내버스)→발산역(19:50 / 시내버스)

※ 총산행시간 : 6시간 7분

※ 총산행거리 : 11.0Km

 

5. 교통편

⇒ 발산역에서 마포구청역까지 601번 시내버스 이용(0:23 소요 / 1,200원)

⇒ 마포구청역에서 불광역까지 지하철 6호선 이용(0:20 소요 / 환승 할인 + 50원 + 100원)

⇒ 불광역에서 하나고 삼천사 입구까지 7211번 시내버스 이용(0:16 소요 / 환승 할인 + 100원)

⇒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입구에서 독립문역까지 704번 시내버스 이용(0:41 소요 / 1,200원)

⇒ 독립문에서 발산역까지 601번 시내버스 이용(0:46 소요 / 환승 할인 + 300원)

 

6. 산행비

뒤 풀 이 30,000원

물품구입 3,950원

교 통 비 2,950원

합 계 36,900원

 

7. 산 행

하나고와 삼천사 입구 버스정류장에서 하차하여 삼천사 방면으로 산행 시작.

포장도로를 따라가게 되면 삼천탐방지원센터를 지나 식당가를 거쳐 삼천사 입구에서 우측의 사모바위와 비봉 방면 이정표를 따라 응봉능선으로 진입. 시작부터 경사진 오르막 길이 시작되고 우측의 진관공원지킴터(0.9Km) 방면 삼거리 갈림길을 지나 응봉 정상(이정표 등은 없음)에 도착. 삼천탐방지원센터에서 약 40분여 소요. 이후 경사진 오르막 구간과 암릉구간 등을 지나 사모바위에 도착.

사모바위에서 좌측의 대남문 방면으로 들어서게 되면 완만한 능선길이 이어지며 바로 좌측의 삼천탐방지원센터 방면 하산로 갈림길을 지나 해발 567m의 승가봉에 도착. 승가봉에서 바위길을 내려선 뒤 다시 완만한 능선길을 걷게 되면 통천문에 도착. 통천문 아래 암릉구간을 내려선 뒤 능선길을 잠시 걷게 되면 문수봉 입구의 갈림길에 도착하게 되며 이곳에서 정면의 어려운 코스로 들어서게 되면 급경사의 암릉구간. 쇠파이프 등의 안전시설물이 설치된 암릉구간을 올라서게 되면 연화바위 등을 지나 해발 727m의 문수봉에 도착.

문수봉에서 청수동 암문으로 내려선 뒤 715봉을 넘어 의상능선으로 산행. 개방된 나한봉을 올랐다가 능선길로 내려와 나월봉은 우측으로 우회하게 되면 부왕동 암문에 도착. 증취봉 아래의 쩔벌바위가 있는 성랑지까지만 갔다가 다시 부왕동 암문으로 되돌아 나와 좌측의 부왕사지 방면으로 하산. 부왕사지를 지나면서부터는 완만한 계곡길이 이어지며 우측의 대남문 방면 갈림길과 노적사 입구, 중성문, 좌측의 의상봉 방면 갈림길(법용사)을 지나 북한동 역사관이 있는 포장도로에 도착.

이후 도로를 따라 걷게 되면 무량사, 대서문, 용암사 입구(좌측), 좌측의 의상봉 방면 갈림길 등을 지나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에 도착하여 산행 마무리. 총 11Km 거리로 6시간 소요.

 

 

 

<진관사 방면 표지석>

 

<삼천사 방면 표지석>

 

<삼천사 입구의 진관사 방면 이정표>

 

<삼천탐방지원센터 입구 전경>

 

<삼천탐방지원센터 입구의 탐방로 안내도>

 

<북한산 국립공원 안내도(삼천탐방지원센터)>

 

<비봉과 대남문 방면 이정표>

 

<사모바위 비봉과 대남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

 

<응봉 능선에서 바라본 의상봉 방면 전경>

 

<사모바위와 진관공원지킴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북한 59-01 이정표>

 

<응봉 정상 아래의 기암괴석들>

 

<응봉 정상의 기암괴석과 뒤로 보이는 의상봉 방면 전경>

 

<응봉에서 바라본 의상능선 방면 전경>

 

<삼천탐방지원센터에서 사모바위 방면 이정표>

 

<응봉능선에서 바라본 웨딩바위 방면 전경>

 

<북한 59-02 이정표>

 

<응봉 능선에서 바라본 의상능선 방면 전경>

 

<북한 59-03 이정표>

 

<사모바위에서 바라보는 북한산 전경 안내도>

 

<사모바위 전경>

 

<사모바위의 갈림길 이정표>

 

<사모바위 전경>

 

<북한 60-03 이정표>

 

<대남문과 삼천탐방지원센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승가봉에서 바라본 사모바위와 비봉 방면 전경>

 

<승가봉 정상 표지목>

 

<승가봉 아래의 암릉구간>

 

<북한 01-04 이정표>

 

<통천문에서 바라본 문수봉과 보현봉 방면 전경>

 

<통천문에서 내려가는 암릉구간>

 

<북한 01-05 이정표>

 

<문수봉과 청수동 암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

 

<문수봉의 암릉구간>

 

<문수봉 정상 아래의 연화바위>

 

<연화바위 부근에서 바라본 문수봉 정상 방면 전경>

 

<문수봉 정상 방면 전경(두꺼비바위)>

 

<문수봉 정상 표지목>

 

<문수봉에서 바라본 칠성봉 방면 전경>

 

<문수봉에서 바라본 연화바위 방면 전경>

 

<문수봉에서 바라본 보현봉 방면 전경>

 

<문수봉 정상 아래의 처녀치마>

 

<청수동 암문의 북한산성 안내문>

 

<의상봉과 행궁지 입구 방면 갈림길 이정표>

 

<715봉의 삼각점 안내문>

 

<715봉의 서울 22 삼각점 안내문>

 

<715봉 아래에서 바라본 나한봉 방면 전경>

 

<나한봉 정상 표지목>

 

<나한봉에서 바라본 715봉과 문수봉 방면 전경>

 

<북한 56-07 이정표>

 

<나한봉 정상 아래에서 바라본 나월봉 방면 전경>

 

<가사당 암문과 의상봉 방면 이정표>

 

<나월봉 부근의 기암괴석>

 

<나월봉 부근에서 바라본 나한봉 방면 능선 전경>

 

<나월봉 부근에서 바라본 나한봉 방면 전경>

 

<나월봉 아래에서 바라본 북한산 백운대 방면 전경>

 

<가사당 암문과 의상봉 방면 이정표(나월봉 우회구간)>

 

<부왕동 암문 안전쉼터 이정표>

 

<북한 56-06 이정표>

 

<의상봉과 부왕사지 방면 갈림길 이정표>

 

<증취봉 아래의 쩍벌바위>

 

<북한 53-01 이정표>

 

<부황사 방면 이정표>

 

<부왕사지 안내문>

 

<부왕사 안내문>

 

<태고사와 부황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

 

<산성탐방지원센터와 대남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

 

<북한 51-02 이정표>

 

<노적사 입구의 표지석>

 

<중성문 안내문>

 

<중성문 전경>

 

<북한 51-01 이정표>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와 의상봉 방면 갈림길 이정표(법용사 입구)>

 

<선봉사 입구의 표지석>

 

<백운대 원효봉과 백운대 대남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

 

<산성탐방지원센터 방면 하산로에서 바라본 원효봉 방면 전경>

 

<무량사 입구 전경>

 

<대서문 안내문>

 

<대서문 전경>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와 자연 관찰로 방면 갈림길 이정표>

 

<용암사 입구의 표지석>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와 의상봉 방면 갈림길 이정표>

 

<의상봉 입구의 탐방로 안내도>

 

<산성탐방지원센터와 백운대 방면 갈림길 이정표>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이정표>

 

<탐방지원센터 앞의 북한산 국립공원 이정표>

 

<탐방지원센터 입구의 북한산국립공원 표지석>

 

<트랭글 산행기록>

 

<트랭글 네이버 산행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