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보고서<1077>
1. 산행지 : 관악산(연주대 해발 629m)
2. 산행일 : 2020년 2월 1일(토)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1명)
4. 산행로
발산역(08:40)→서울대입구역(09:30 / 지하철)→서울대 제2공학관(10:01 / 시내버스)→산행 출발(10:02)→건설환경종합연구소 앞(10:06 / [좌측] 등산로 입구 / [좌측] 화장실)→이정표(쉼터 / 10:13 / [후] 서울대(공대)-0.3Km / [직진] 연주대-1.86Km / [우측] 제4쉼터-0.7Km)→토끼바위(10:29)→제3왕관바위(K24 / 10:34 / [우측] 연주대-800m)→자운암 국기봉(10:43)→헬기장(10:59)→관악산 정상(현위치 1-9-1 연주대2 / 해발 629m / 11:02 / [직진] 사당역-5.1Km / [후] 과천향교-3.2Km)→이정표(11:11 / [후] 연주대 / [우측] 관악사지)→이정표(K21 관악문[상] / 11:12)→관악문(K20 관악문[하] / 11:18)→이정표(관악문 아래 사거리 / 11:24 / [후] 연주대-0.3Km[600m] / [우측] 과천향교-2.8Km / [우측] 관악사지 / [우측] 연주암-1Km)→이정표(11:29 / [직진] 남현동[사당역] / [후] 연주대 정상 / [후] 연주암)→데크 쉼터(11:30)→이정표(11:32 / [직진] 하산길[사당역] / [후] 정상[연주대] / [후] 정상부 조망데크)→이정표(K11 헬기장 / 11:32 / [우측] 파이프능선)→이정표(11:34 / [직진] 남현동[사당역] / [후] 연주대 정상 / [후] 과천시)→이정표(11:39 / [직진] 남현동/인헌동 / [후] 연주대[정상] / [후] 연주암)→이정표(K10 헬기장[하] / 11:43)→이정표(11:45 / [직진] 해태상[상] 조망데크 / [직진] 하산길[사당역] / [후] 정상[연주대])→이정표(K9 해태상[상] / 11:46)→갈림길(11:48)→관악사(서울대 기숙사 / 12:12)→낙성대역(12:22 / 마을버스)→발산역(13:15 / 지하철)
※ 총산행시간 : 2시간 9분
※ 총산행거리 : 5.7Km
5. 교통편
⇒ 발산역에서 영등포구청역(지하철 5호선)을 거쳐 서울대입구역(지하철 2호선)까지 지하철 이용(0:50 소요 / 1,250원 + 200원)
⇒ 서울대입구역에서 서울대 제2공학관까지 5511번 시내버스 이용(0:21 소요 / 환승 할인 + 100원)
⇒ 서울대 관악사에서 낙성대역까지 관악02 마을버스 이용(0:10 소요 / 900원)
⇒ 낙성대역에서 영등포구청역(지하철 2호선)을 거쳐 발산역(지하철 5호선)까지 지하철 이용(0:53 소요 / 환승 할인 + 350원 + 300원)
6. 산행비 : 교통비 3,100원
7. 산 행
서울대입구역에서 5511번 시내버스를 타고 종점인 제2공학관에서 내렸으나 건물 신축으로 인해 과거 등산로는 폐쇄되어 이전 정류장인 건설환경종합연구소 앞으로 이동하여 화장실과 등산로 입구 이정표를 따라 산행 출발.
완만한 등산로를 따라 오르다가 우측의 제4쉼터와 연주대 방면 이정표가 있고 산불진화장비 보관함과 테이블 2개가 있는 쉼터에서 정면으로 들어서면 자운암 능선이라고 하는 급경사의 암릉구간 시작. 토끼바위와 다양한 모양의 기암괴석들과 제3왕관바위, 자운암 국기봉 등을 지나게 되면 대형 헬기장을 거쳐 해발 629m의 관악산 정상인 연주대에 도착.
연주대에서 사당역 방면으로 새로 생긴 계단길을 따라 하산. 계단길을 지난 뒤 능선길이 시작되며 우측의 관악사지 방면 우회로 갈림길, 관악문, 우측의 파이프능선 방면 갈림길의 헬기장과 해태상(데크)을 지나자마 이정표는 없는 좌측의 갈림길 방면으로 하산. 자운암 능선과는 달리 암릉구간은 없이 완만한 내리막 길을 따라가게 되면 도중에 이정표는 없으며 해태상 데크 갈림길에서 20분여 만에 서울대 기숙사인 관악사에 도착. 관악사에서는 관악02번 마을버스를 이용하여 지하철 2호선인 낙성대역으로 이동 가능.
<제2공학관의 등산로 이전 안내문>
<등산로 입구인 건설환경종합연구소 앞 버스정류장의 노선도>
<자운암 능선 입구의 등산로 입구/화장실 이정표>
<연주대와 제4쉼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자운암 능선 입구)>
<자운암 능선 입구의 쉼터 테이블들>
<자운암 능선 입구의 산불진화 장비 보관함>
<자운암 능선의 암릉구간>
<자운암 능선의 기암괴석들>
<자운암 능선 중턱에서 바라본 자운암 국기봉(좌측)과 관악산 정상 방면 전경>
<현위치 K24 제3왕관바위 이정표>
<제3왕관바위 아래의 연주대 방면 이정표>
<현위치 K24 제3왕관바위 이정표>
<자운암 능선의 제3왕관바위 방면 전경>
<자운암 국기봉의 태극기와 관악산 정상의 시설물 전경>
<자운암 국기봉 아래의 기암괴석>
<자운암 국기봉의 암봉 전경>
<자운암 국기봉 아래의 기암절벽>
<관악산 정상 방면 자운암 능선의 암릉구간>
<관악산 정상 방면 자운암 능선의 암릉구간>
<관악산 정상 방면 등산로 전경>
<관악산 정상 아래의 소나무>
<관악산 정상 아래의 대형 헬기장>
<현위치 1-9-1 연주대2 이정표>
<관악산 정상의 표지석>
<관악산 정상의 안양 23 삼각점>
<안양 23 삼각점 안내문>
<관악산 정상에서 사당역 방면 암릉구간>
<관악산 정상에서 바라본 사당역 방면 암봉 전경>
<사당역 방면에서 바라본 관악산 정상 방면 전경과 시설물>
<연주대와 관악사지 방면 우회 등산로 이용 안내문>
<현위치 K21 관악문(상) 이정표>
<관악문 위의 지도바위>
<현위치 K20 관악문(하) 이정표>
<관악문 전경>
<연주대와 과천 관악사지 방면 우회 등산로 이용 안내문>
<관악문 아래 사거리 이정표>
<연주암과 연주대 방면 갈림길 이정표>
<남현동과 사당역 방면 하산로 이정표>
<사당역 방면 하산로의 쉼터 데크>
<사당역 방면 하산길 이정표>
<현위치 K11 헬기장 이정표>
<파이프능선 갈림길의 헬기장>
<헬기장의 파이프능선 이정표>
<남현동과 사당역 방면 하산로 이정표>
<사당역 방면 하산로의 안전시설물>
<사당역 방면 하산로 계단길>
<남현동과 인헌동 방면 하산로 이정표>
<사당역 방면 하산로 계단길>
<현위치 K10 헬기장(하) 이정표>
<해태상 조망데크와 사당역 방면 하산길 이정표>
<현위치 K9 해태상(상) 이정표>
<해태상 데크 아래 갈림길에서 좌측 방면 하산로>
<하산로 중턱에서 내려다 본 서울대 방면 전경>
<서울대 기숙사 방면 하산로 전경>
<하산로 중턱에서 바라본 선유천 국기봉 방면 전경>
<산행 종료지점인 서울대 기숙사의 축구장>
<서울대 기숙사 입구의 관악사 표지석>
<트랭글 산행기록>
<트랭글 네이버 산행지도>
'산행기록(2020년대) > 산행기록(2020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덕유산(경남 함양, 2020.02.08) - 제1079회 (0) | 2020.02.08 |
---|---|
예봉산(경기 남양주, 2020.02.02) - 제1078회 (0) | 2020.02.02 |
광교산(경기 수원, 2020.01.27) - 제1076회 (0) | 2020.01.27 |
안산(서울 서대문, 2020.01.24) - 제1075회 (0) | 2020.01.26 |
무등산(광주, 2020.01.18) - 제1074회 (0) | 2020.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