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록(2010년대)/산행기록(2011년)

관악산(서울 관악, 2011.02.12) - 347회

mouner(마우너) 2011. 2. 28. 21:30

산 행 보 고 서 <347>

 

 

1. 산행지 : 관악산(해발 632m)

서울특별시 관악구.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동안구. 경기도 과천시

 

2. 산행일 : 2011년 2월 12일(토) / 당일산행

 

3. 산행자 : 제143회 세무대학동문산악회 정기산행(총 2명)

동기 이재훈

 

4. 산행로 

발산역(08:00)

→사당역(08:55 / 지하철 / 0:55)→산행 출발(09:00)

→등산로 입구(09:10 / 0:10)

→관악체력장(09:20 / 0:10 / [직진] 연주대-3.7Km / [좌측] 관음사-0.2Km / 사당역-1.3Km)

→관음사(09:22)

→관악체력장(09:27)

→이정표(09:40 / 0:15 / [직진] 연주대-3.4Km / 관음사-0.6Km / [좌측] 약수터-250m / 사당전철역)

→국기봉(09:45 / 0:05)

→국기봉 조망데크(09:50 / 0:05)

→이정표(09:52 / [직진] 정상 연주대 / 하산길 사당역 / 국기봉 조망데크)

→이정표(10:00 / 0:10 / [직진] 연주대-2.7Km 80분 / 사당역-2.2Km / 관음사-1.3Km)

→헬기장(10:02)

→데크(10:04 / [직진] 연주대-2.8Km / [우측] 낙성대 / 사당역-2.2Km)

→이정표(10:08 / [직진] 연주대-2.4Km / 사당역-2.6Km)

→이정표(10:09 / [직진] 연주대-2.3Km 50분 / 사당역-2.7Km / [우측] 낙성대-3Km / [우측] 서울시 과학전시관 / [우측] 낙성대공원 전철역)

→이정표(K6 하마바위 / 10:10 / 0:10)

→이정표(K8 마당바위 / 10:15 / 0:05 / 간식)

→이정표(10:42 / [직진] 정상 연주대 / 해태상(상) 조망데크 / 하산길 사당역)

→이정표(K10 헬기장(하) / 10:45 / 0:10)

→삼각점(공터 / 10:55 / 0:10)

→헬기장(10:57)

→이정표(K11 헬기장 / 10:58 / [직진] 연주암-1.2Km 50분)

→데크(11:00 / 0:05)

→이정표(4-5 삼거리 / 11:05 / [직진] 연주대-600m 20분 / [좌측] 연주암-1Km 40분 / 사당 전철역)

→관악문(K-20 관악문(하) / 지도바위 / 11:10 / 0:05)

→이정표(K21 관악문(상) / 11:17)

→관악산 정상(해발 632m / K22 연주대 / 11:25 / 0:15 / [직진] 제3깔딱고개-400m 20분 / 관악문-500m 30분 / 점심)→출발(11:45)

→연주대 포토존(11:50 / 0:05)

→이정표(K23 말바위 / 12:15 / 0:05 / 간식)

→이정표(K32 제3깔딱고개 / 12:20 / 0:05 / [우측] 제4야영장-1.7Km 30분 / 연주암-150m 10분)

→이정표(깔딱고개(하) / 12:30 / 0:10 / [우측] 서울대 공대-1Km / 연주대-0.8Km)

→돌탑(공터 / 12:40 / 0:10)

→이정표(K31 연주샘 / 12:45 / 0:05)

→이정표(K30 공학관(상) / 서울대공대 삼거리 / 12:50 / 0:05 / 제4야영장-500m 10분 / [좌측] 제4쉼터-0.7Km / 서울대 공대-0.3Km)

→서울대(도로 / 12:55 / 0:05)

→서울대입구(13:25 / 0:30)

→서울대입구 전철역(13:35 / 버스 / 0:10)→점심→출발(14:20)

→발산역(15:10 / 지하철 / 0:50)

※ 총산행시간 : 4시간 25분

※ 총산행거리 : 6.8Km + α

 

5. 교통편

⇒ 발산역에서 사당역까지 지하철 이용(0:55 소요 / 1,100원

⇒ 서울대입구에서 서울대입구 전철역까지 5513번 시내버스 이용(0:10 소요 / 900원)

⇒ 서울대입구 전철역에서 발산역까지 지하철 이용(0:50 소요 / 1,100원)

 

6. 산행비 

교 통 비 3,100원

물품구입 3,500원

합 계 6,600원

 

7. 산 행 

사당역 4번 출구에서 우측 골목길로 들어서 10분여 걷게 되면 등산안내도와 등산로 이정표가 있는 등산로 입구. 이정표 방향을 따라 경사진 오르막 길이 시작되며 10분여 오르게 되면 넓은 공터의 관악체력장. 좌측에 위치한 관음사를 둘러보고 다시 관악체력장으로 돌아와 연주대 방면으로 오르기 시작.

작은 봉우리에 올라선 뒤 이정표를 지나면서부터는 급경사의 암릉지대가 국기봉까지 이어진다. 10분여 소요. 태극기가 휘날리고 있는 국기봉 이후부터 조망데크까지는 급경사의 철제계단길.

이정표를 지난 뒤 다시 암릉 오르막 길을 오르게 되며 헬기장과 데크를 지나 국기 게양대가 있는 하마바위에 도착. 하마바위 부근에서 잠시 쉬었다가 다시 출발. 마당바위와 헬기장 그리고 데크를 지나게 되면 삼거리 갈림길로 좌측은 연주암 방면. 연주대 방면은 급경사의 오르막 길로 관악문을 통과하게 되면 한반도 형상의 지도바위를 만나게 되며 ‘동절기 통행금지’ 이정표를 지나면서 급경사의 암릉코스를 오르게 되면 관악산 정상에 도착.

해발 632m의 정상에서 점심 식사후 좌측의 연주대 포토존 방면으로 내려섰다가 다시 우측의 암릉코스를 따라 말바위를 지나게 되면 제3깔딱고개. 이곳에서 우측의 제4야영장 방면 급경사 내리막 길을 10여분 내려서면 이후 완만한 내리막 길이 이어지고 돌탑 2기와 연주샘 등을 지나 서울대학교 교내에 도착. 깔딱고개에서 첫 급경사 구간과 연주샘 부근에는 아직까지 눈이 많이 쌓여 있고 빙판구간도 있으므로 아이젠 착용 필요. 학교 내부를 운행하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등이 있으나 서울대 입구까지 도보

 

ㅇ 관악산공원 안내도(사당역 방면) 

 

ㅇ 등산로 입구 이정표

 

ㅇ 관음사 명부전

 

ㅇ 관음사 불교방송대탑

 

ㅇ 관음사 범종각과 범종

 

ㅇ 관음사 대웅전과 미륵대불

 

ㅇ 관음사 대웅전

 

ㅇ 관악체력장 방면 이정표

 

ㅇ 관악체력장과 헬기장

 

ㅇ 이정표(관악체력장)

 

ㅇ 이정표(관악체력센터)

 

ㅇ 등산로 중턱의 기암괴석

 

ㅇ 중턱에서 내려다 본 서울시내

 

ㅇ 중턱에서 내려다 본 서울시내 

 

ㅇ 중턱에서 바라본 남태령 방면

 

ㅇ 중턱에서 올려다 본 국기봉

 

ㅇ 이정표(관음사 - 연주대 - 약수터 갈림길)

 

ㅇ 이정표(관음사 - 사당전철역 - 연주대 갈림길)

 

ㅇ 국기봉 오르는 암릉구간

 

ㅇ 국기봉의 위험 표지판

 

ㅇ 국기봉의 태극기

 

ㅇ 국기봉에서 내려다 본 서울대방면

 

ㅇ 국기봉에서 바라본 주위 전경

 

ㅇ 국기봉에서 내려다 본 관음사와 서울시내

 

ㅇ 국기봉 위에서 내려다 본 철제계단과 국기봉

 

ㅇ 국기봉 위에서 바라본 연주대 방면

 

ㅇ 국기봉 위에서 바라본 삼성산 방면 전경

 

ㅇ 이정표(국기봉 조망데크 - 하산길 - 정상 방면)

 

ㅇ 이정표(사당역 - 연주대)

 

ㅇ 이정표(관음사 방면)

 

ㅇ 헬기장과 뒤로 보이는 봉우리

 

ㅇ 헬기장 부근 데크

 

ㅇ 이정표(연주대 - 사당역 - 낙성대 갈림길)

 

ㅇ 이정표(연주대 - 사당역)

 

ㅇ 이정표(사당역 - 연주대)

 

ㅇ 이정표(사당역 - 낙성대역)

 

ㅇ 이정표(연주대 - 사당역 - 낙성대공원 갈림길)

 

ㅇ 봉우리 위의 안테나와 군 초소

 

ㅇ 이정표(K6 하마바위)

 

ㅇ 특이한 형상의 바위

 

ㅇ 이정표(K8 마당바위)

 

ㅇ 이정표(연주대 - 해태상 조망데크 - 사당역)

 

ㅇ 이정표(K10 헬기장 下)

 

ㅇ 삼각점

 

ㅇ 봉우리에서 내려다 본 서울시내

 

ㅇ 헬기장에서 바라본 관악산 정상

 

ㅇ 헬기장과 뒤로 보이는 관악산 정상

 

ㅇ 이정표(K11 헬기장)

 

ㅇ 이정표(연주대 - 정상부 조망데크 - 사당역)

 

ㅇ 데크 뒤로 보이는 관악산 정상

 

ㅇ 이정표(사당전철역 - 연주대)

 

ㅇ 이정표(사당전철역 - 연주암 - 연주대)

 

ㅇ 이정표(현위치 4-5 삼거리)

 

ㅇ 관악문으로 오르는 급경사 오르막 길

 

ㅇ 이정표(K20 관악문 下)

 

ㅇ 사당역 방면에서 바라본 관악문

 

ㅇ 관악문 이정표

 

ㅇ 연주암 방면에서 바라본 관악문

 

ㅇ 지도바위 이정표

 

ㅇ 한반도 모형의 지도바위

 

ㅇ 한반도 모형의 지도바위

 

ㅇ 지도바위에서 바라본 관악산 정상

 

ㅇ 기암괴석과 뒤로 보이는 관악산 정상

 

ㅇ 이정표(K21 관악문 上)

 

ㅇ 우회등산로 이용안내문

 

ㅇ 관악산 등산로 안내도

 

ㅇ 암봉과 뒤로 보이는 서울 시내

 

ㅇ 봉우리와 과천 경마장 방면

 

ㅇ 사당역방면 능선과 서울시내

 

ㅇ 삼성산 방면과 서울시내

 

ㅇ 급경사 오르막 구간

 

ㅇ 관악산 정상 방면 암릉지대

 

ㅇ 정상에서 바라본 기상관측소

 

ㅇ 연주대 안내문

 

ㅇ 관악산 정상 표지석

 

ㅇ 이정표(K22 연주대)

 

ㅇ 포토존에서 바라본 연주암

 

ㅇ 연주대 안내문

 

ㅇ 관악산 정상의 기상관측소 건물

 

ㅇ 기상관측소에서 깔딱고개 방면 암릉 하산로

 

ㅇ 특이한 형상의 기암괴석

 

ㅇ 이정표(K23 말바위)

 

ㅇ 말바위 부근에서 바라본 기상관측소와 연주암

 

ㅇ 이정표(제4야영장 - 연주암)

 

ㅇ 이정표(K32 제3깔딱고개)

 

ㅇ 깔딱고개로 오르는 급경사 계단길

 

ㅇ 이정표(깔딱고개 하단, 연주대 - 서울대 공대)

 

ㅇ 깔딱고개 밑의 얼어붙은 계곡길

 

ㅇ 돌탑 1기

 

ㅇ 돌탑 1기

 

ㅇ 이정표(K31 연주샘)

 

ㅇ 얼어붙은 연주샘

 

ㅇ 이정표(K30 공학관 上)

 

ㅇ 이정표(서울대 공대 삼거리, 연주대 - 서울대 공대 - 제4쉼터 갈림길)

 

ㅇ 서울대로 내려서는 등산로

 

 

 

□ 산행기록 홈페이지 보기(자세한 산행기록은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 미니홈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