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 247

범부채(2018.08.16 기준)

범부채 품 명 ㅇ 범부채(Blackberry Lily) 범부처, 사간(射干), 오선(烏扇), 황원(黃遠), 야간(夜干) - 범부채 : 꽃잎에 나 있는 붉은색 얼룩무늬가 호랑이 털가죽처럼 보이고 처음 싹이 나면서부터 질서 있게 퍼지며 자라는 모양이 부채꼴 같다하여 유래 분 류 ㅇ 백합목 > 붓꽃과 > 범부채속 특 징 ㅇ 여러해살이풀 ㅇ 7~8월에 개화 ㅇ 지름 5~6cm로 수평으로 퍼지고 황적색 바탕에 짙은 반점이 있으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이 1~2회 갈라져서 한군대에 몇 개의 꽃이 달리고 밑 부분에 4~5개의 포가 있음 ㅇ 포는 좁은 달걀모양이며 둔두이고 길이 1cm 정도로서 막질이며 꽃자루는 길이 1~4cm ㅇ 꽃덮이 조각은 6개이고 타원형 ㅇ 수술은 3개이고 씨방은 하위, 암술대는 곧게 서며 3갈래..

벌깨덩굴(2018.05.26 기준)

품 명 ㅇ 벌깨덩굴(Nettleleaf Meehania) 벌개덩굴, 줄방아나물, 미한화(美漢花) 분 류 ㅇ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꿀풀목 > 꿀풀과 > 벌깨덩굴속 특 징 ㅇ 여러해살이풀 ㅇ 4~6월에 개화 ㅇ 꽃줄기는 높이 15~30cm, 잎이 5쌍쯤 마주남 ㅇ 꽃줄기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한쪽을 향해 보라색 꽃이 개화 ㅇ 꽃받침은 길이 1cm 정도로 끝이 5갈래로 갈라짐 ㅇ 꽃부리는 자줏빛이 돌고 길이 4~5cm이며 판통이 길고 갑자기 부품 ㅇ 화관의 윗입술은 2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아랫입술은 3갈래로 갈라짐 ㅇ 수술은 4개이며 뒤에 있는 2개가 김 비 고 촬영지역 ㅇ 고동산/화야산 : 2016.04.30 ㅇ 설악산 : 2017.05.27 ㅇ 소백산 : 2018.05.26 ㅇ 안산 : 2016.05.0..

벌개미취(2018.09.17 기준)

품 명 ㅇ 벌개미취(Montane Aster) 고려쑥부쟁이(Korean Starwort), 별개미취 분 류 ㅇ 초롱꽃목 > 국화과 > 참취속 특 징 ㅇ 여러해살이풀 ㅇ 6~10월에 개화 ㅇ 지름 4~5cm의 연한 자주색 꽃 ㅇ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13mm, 지름 8mm ㅇ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길이 4~5mm, 너비 1.5mm로서 긴 타원형 ㅇ 혀꽃의 꽃부리는 길이 26mm, 너비 3.5~4mm ㅇ 한국특산식물 비 고 ㅇ 유사종 : 쑥부쟁이, 구절초 촬영지역 ㅇ 가현산 : 2017.09.10/2018.09.17 ㅇ 개화산 : 2016.08.07/2017.09.09/2017.09.23/2018.09.04 ㅇ 북악산 : 2017.10.02 ㅇ 안산 : 2016.06..

뱀딸기(2019.04.27 기준)

뱀딸기 품 명 ㅇ 뱀딸기 용토주(龍吐珠), 지매(地매), 사매(蛇매), 배암딸기, 잠매(蠶매), 큰배암딸기, 홍실뱀딸기, 사과초(蛇果草), 야양매(野楊매), 추과사매(皺果蛇매) - 뱀딸기 : 뱀이 먹는 딸기라는 뜻 분 류 ㅇ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뱀딸기속 특 징 ㅇ 여러해살이풀 ㅇ 4~5월에 노란색의 오판화가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대 끝에 1개씩 달림 ㅇ 꽃받침 조각은 달걀꼴 ㅇ 떡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다시 얕게 3개로 갈라지는데 꽃받침보다 크며 꽃받침과 더불어 털이 있음 ㅇ 꽃잎은 길이 5~10mm의 넓은 달걀꼴 ㅇ 6월에 지름 1cm(7~14mm) 정도의 둥근 수과가 달려 붉게 익는데 작은 알갱이들이 다닥다닥 붙어 뭉쳐 있음 비 고 ㅇ 유사종 : 양지꽃 촬영지역 ㅇ 개..

배롱나무(2018.08.29 기준)

배롱나무 품 명 ㅇ 배롱나무(Crape Myrtle) 백일홍나무, 간지럼나무, 紫微(자미) - 배롱나무 : 백일홍의 소리가 변해서 배롱으로 되었다고 추정 - 백일홍나무 : 붉은빛을 띠는 수피 때문에 유래. 국화과에 속하는 백일홍과는 무관 - 간지럼나무 : 줄기를 간지럽히면 간지러운 듯 가지가 흔들리는 것에서 유래 분 류 ㅇ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도금양목 > 부처꽃과 > 배롱나무속 특 징 ㅇ 7~9월에 원추꽃차례로 붉은색 꽃 개화 ㅇ 수술은 30~40개로서 가장자리의 6개가 길며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가 수술 밖으로 나옴 비 고 촬영지역 ㅇ 개화산 : 2014.08.08 ㅇ 안산 : 2014.08.20/2018.08.29 ㅇ 인왕산 : 2014.07.13 ㅇ 촬영일자 : 2014년 7월 13일 ㅇ ..

박주가리(2018.09.01 기준)

박주가리 품 명 ㅇ 박주가리 세사등(細絲藤), 고환(苦丸), 노아등, 뢰과 - 박주가리 : 열매의 모양이 조그맣고 못생긴 박과 같다고 하여 유래 분 류 ㅇ 현화식물물 > 목련강 > 용담목 > 박주가리과 > 박주가리속 특 징 ㅇ 여러해살이풀 ㅇ 7~8월에 연한 자주색 꽃 개화 ㅇ 넓은 종처럼 생긴 꽃부리가 수레바퀴살처럼 5개로 깊게 갈라져 끝이 뒤쪽으로 말리는데 안쪽에 털이 빽빽이 남 ㅇ 갈라진 꽃부리 조각은 넓은 댓잎피침형 ㅇ 녹색의 꽃받침은 5조각으로 깊게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송곳처럼 끝이 날카로움 ㅇ 9~10월에 표주박처럼 생긴 골돌과를 맺음 비 고 촬영지역 ㅇ 안산 : 2018.08.05/2018.08.23/2018.08.29/2018.09.01 ㅇ 촬영일자 : 2018년 8월 5일 ㅇ 촬영장소..

바위취(구실바위취, 2018.07.14 기준)

바위취 품 명 ㅇ 바위취(Saxifraga stolonifera) 불이초(佛耳草), 천하엽(天荷葉), 왜호이초(虎耳草), 등이초, 석하엽(石荷葉) - 바위취 : 바위 위에 자라는 취라는 데서 유래 - 호이초 : 잎의 모양이 호랑이의 귀처럼 생겼다고 하여 유래 분 류 ㅇ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범의귀목(장미목) > 범의귀과 > 범의귀속 특 징 ㅇ 여러해살이풀 ㅇ 5월에 개화 ㅇ 꽃대는 높이 20~40cm ㅇ 원뿔모양 꽃차례로 길이 10~20cm, 짧은 홍자색의 샘털 ㅇ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며 꽃잎도 5개로서 위의 3개는 길이 3mm정도 이고 연한 홍색 바탕에 짙은 홍색 반점 ㅇ 아래쪽 열편은 백색이고 길이 10~20mm로서 반점이 없으며 대형으로 피침형 ㅇ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2개 비 고..

민들레(2019.04.29 기준)

품 명 ㅇ 민들레(Dandelion) 복공영(僕公英), 황화지정(黃花地丁), 포공영(蒲公英), 금잠초(金簪草), 지정(地丁), 안질방, 금잠채, 문들레, 안질방이, 안진방이 분 류 ㅇ 국화과 특 징 ㅇ 여러해살이풀 ㅇ 4~5월에 개화(흰색, 노란색) ㅇ 여러 개의 낱꽃이 모여 피는 겹꽃으로 두상화서(頭狀花序) ㅇ 혀모양(설상화)의 낱꽃에는 수술 5개, 암술 1개가 있으며 꽃받침은 털 모양으로 변형 ㅇ 씨앗은 긴 타원형으로 관모(털)가 붙어 있고, 이 씨앗들이 모여 솜털처럼 보송보송한 열매가 됨 비 고 ㅇ 유사종 : 민들레(토종민들레), 흰민들레, 산민들레, 서양민들레 - 토종민들레 : 꽃받침(총포)이 뒤로 졎혀져 있지 않고 잎이 날카롭게 갈라지지 않음 - 서양민들레 : 우리 주변에 피어 있는 대부분(귀화..

미역취(2018.10.24 기준)

미역취 품 명 ㅇ 미역취(goldenrod) 돼지나물, 대패독(大敗毒), 만산황(滿山黃), 야황국(野黃菊), 일지황화(一枝黃花), 황화자(黃花仔), 야황채(野黃菜) - 미역취 : 나물 맛이 마치 미역 맛과 비슷해서 유래 대가 나오기 전 잎자루가 축 늘어진 모습이 미역을 연상시켜서 유래 분 류 ㅇ 초롱꽃목 > 국화과 > 미역취속 특 징 ㅇ 여러해살이풀 ㅇ 7~10월에 개화 ㅇ 산방상 총상꽃차례로 황색 꽃 개화 ㅇ 꽃의 지름은 12~14mm 비 고 촬영지역 ㅇ 가야산 : 2018.10.24 ㅇ 개화산 : 2016.10.01 ㅇ 마래산 : 2015.10.22 ㅇ 백련산 : 2016.10.03 ㅇ 북악산 : 2017.10.02 ㅇ 상봉산 : 2017.09.28 ㅇ 새별오름 : 2017.10.22 ㅇ 설악산 : ..

미나리냉이(2019.04.29 기준)

품 명 ㅇ 미나리냉이(white-flowered-bittercress) 승마냉이, 미나리황새냉이 분 류 ㅇ 현화식물문 > 목련강 > 풍접초목(양귀비목) > 십자화과 > 황새냉이속 특 징 ㅇ 여러해살이풀 ㅇ 4~7월에 개화 ㅇ 지름 5~8mm의 흰색 십자 모양 꽃부리가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총상으로 달림 비 고 촬영지역 ㅇ 고동산/화야산 : 2016.04.30 ㅇ 상봉산/은석산 : 2015.05.06 ㅇ 안산 : 2019.04.22/2019.04.29 ㅇ 촬영일자 : 2015년 5월 6일 ㅇ 촬영장소 : 상봉산/은석산 은석사 앞 ㅇ 촬영일자 : 2015년 5월 6일 ㅇ 촬영장소 : 상봉산/은석산 은석사 앞 ㅇ 촬영일자 : 2015년 5월 6일 ㅇ 촬영장소 : 상봉산/은석산 상동리 방면 하산로 ㅇ 촬영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