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산(서울 강서, 2015.01.03) - 제541회
산행보고서<541>
1. 산행지 : 개화산(開花山, 해발 131m)
서울특별시 강서구
2. 산행일 : 2015년 1월 3일(토)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1명)
4. 산행로
발산역(13:00)→방화근린공원(13:15 / 자가용)→산행 출발(13:16)
→이정표(13:17 / [우측] 강서둘레길-70m / [좌측] 삼정중학교-290m / [직진] 심정쉼터-300m)
→강서둘레길 시작지점(13:18 / [좌측] 약사사/개화산 정상 / [후] 방화근린공원 정문)
→쉼터(13:22)
→이정표(운동시설 / 13:24 / [직진] 약사사-290m / [후] 방화근린공원-500m)
→이정표(13:26 / [우측] 약사사-170m / [좌측] 방원중학교-800m)
→약사사(13:28)
→개화산 전망대(13:31 / [좌측] 봉화정-90m / [후] 약사사-165m / [후] 방화역-1,650m / [직진] 상사마을-450m)
→봉화정(봉수대 / 13:34 / [후] 약사사-220m / [후] 방화역-1,590m)
→쉼터(13:37)
→이정표(13:38 / [직진] 아라뱃길 전망대-130m / [좌측] 약사사-400m / [후] 봉화정-220m / [우측] 부석신대마을-350m)
→아라뱃길 전망대(13:40)→이정표(13:41 / [직진] 숲속쉼터-160m / [후] 봉화정-380m / [우측] 마을보호수-130m)
→숲속쉼터(13:43 / [직진] 신선바위-160m / [후] 아라뱃길 전망대-300m / [우측] 내촌마을-250m)
→신선바위(13:45)
→이정표(13:49 / [직진] 하늘길 전망대-450m / [우측] 호국충혼비/미타사-100m / [우측] 개화역-820m / [후] 신선바위-250m)
→이정표(13:51 / [직진] 하늘전망대-220m / [좌측] 약사사-700m / [후] 신선바위-450m / [우측] 개화역-700m)
→하늘길 전망대(13:55)
→이정표(13:56 / [직진] 방화역-860m / [후] 하늘길 전망대-80m / [좌측] 약사사-800m / [우측] 개화산역-830m)
→이정표(13:58 / [좌측] 방화역-820m / [좌측] 화장실-165m / [후] 하늘길전망대-170m / [직진] 개화산역-800m)
→이정표(화장실 / 14:01 / [좌측] 약사사-730m / [후] 하늘길전망대-320m / [우측] 방화역-620m)
→개화사(14:02)
→풍산 심씨묘역(14:04)
→이정표(14:06 / [우측] 방화역-500m / [우측] 심정이 심은 은행느티나무-100m / [후] 하늘길전망대-700m / [좌측] 개화산약수터-150m)
→이정표(14:07 / [직진] 방화근린공원-400m / [후] 하늘길전망대-800m / [좌측] 약사사-520m)
→심정쉼터(14:08)
→이정표(14:10 / [우측] 방화근린공원-200m / [후] 심정쉼터-100m / [좌측] 약사사-420m)
→약수터(14:18)→이정표(14:19 / [우측] 방화역-700m / [후] 심정쉼터-120m / [좌측] 강서둘레길)
→이정표(14:19 / [우측] 삼정중학교-290m / [후] 심정쉼터-300m / [좌측] 강서둘레길-70m)
→방화근린공원 입구(14:20)→출발(14:21)→발산역(14:38 / 자가용)
※ 총산행시간 : 1시간 4분
※ 총산행거리 : 3.78Km(트랭글 기준)
5. 교통편
⇒ 발산역에서 방화근린공원까지 자가용 이용(0:15 소요 / 5.4Km)
⇒ 방화근린공원에서 발산역까지 자가용 이용(0:15 소요 / 5.4Km)
6. 산행비 : 해당사항 없음
7. 산 행
방화근린공원의 강서둘레길 시작지점에서 좌측의 약사사/개화산 정상 방면의 계단길로 산행 출발.
계단 오르막 길을 5분여 오르게 되면 작은 쉼터(좌측)를 지나 운동시설이 있는 곳에 도착. 이후 우측의 숲길을 내려서면 포장도로(방원중~약사사)로 우측으로 포장도로를 잠시 걷게 되면 약사사. 약사사 우측 담장을 따라 계단길을 잠시 오르게 되면 헬기장으로 우측은 개화산 전망대. 데크에 올라서면 방화대교, 하늘공원 등이 조망되고 데크에는 겸재 정선의 그림과 실제 전경을 비교한 안내문 등이 설치.
헬기장에서 우측의 한강 방면으로는 상사마을(450m)이며 좌측의 오르막 길로 잠시 오르게 되면 봉화정이 있는 넓은 공터. 봉화정 좌측으로 올라서면 태극기 게양대를 지나 내리막 숲길이 시작. 이후 사거리 갈림길(좌측 - 약사사, 우측 - 부석/신대마을)에서 정면의 아라뱃길 전망대 방면으로 들어서면 나무데크로 만들어진 등산로가 시작. 잠시 후 아라뱃길 전망대로 멀리 김포터미널과 배후단지가 조망. 이후 마을 보호수(우측) 갈림길에서 직진하게 되면 숲속 쉼터를 지나 신선바위. 신선바위 주변은 작은 공터로 주위 조망이 좋은 곳. 이후 완만한 능선길을 따라 내려가다가 미타사 입구 이정표를 지나 하늘길전망대 방면 완만한 능선길을 걷게 되면 김포공항과 강서공영차고지, 계양산 방면이 조망되는 하늘길 전망대.
계속하여 강서둘레길 이정표를 따라 완만한 능선길을 걷게 되면 공중화장실이 있는 도로(우측은 방화역, 좌측은 약사사 방면)를 건너 숲으로 들어서면 지붕 위에 세워진 개화사 이정표가 보이고 이후 풍산 심씨 묘역, 심정쉼터 등을 지나 방화근린공원에 도착.
<심정쉼터와 강서둘레길 시작지점 방면 갈림길 이정표>
<강서둘레길 안내도 - 시작지점>
<강서둘레길 시작지점>
<약사사와 개화산 정상 방면 이정표 - 강서둘레길 시작지점>
<중턱의 쉼터 의자들>
<약사사 방면 이정표와 운동시설>
<개화산 안내문>
<방원중학교와 약사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
<개화산 약사사 입구의 현수막>
<개화산 약사사 대웅전과 삼층석탑>
<약사사 삼층석탑 안내문>
<개화산 약사사 감로당 건물>
<상사마을과 봉화정 방면 갈림길 이정표>
<개화산 전망대 전경>
<개화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방화대교 방면 전경>
<봉화정 방면 이정표>
<봉화정 앞의 개화산 봉수대와 안내문>
<봉화정>
<강서둘레길 안내도 - 봉화정 앞>
<봉화정 뒤편의 공터와 테이블들>
<아라뱃길전망대와 약사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
<아라뱃길전망대에서 바라본 김포터미널 방면 전경>
<아라뱃길전망대 이정표>
<숲속쉼터와 마을 보호수 방면 갈림길 이정표>
<아라뱃길전망대에서 숲속쉼터로 이어지는 등산로>
<숲속쉼터 이정표>
<신선바위와 내촌마을 방면 갈림길 이정표>
<숲속쉼터에서 신선바위로 이어지는 데크 등산로>
<신선바위 아래의 기암절벽>
<신선바위 이정표와 쉼터 의자들>
<강서둘레길 안내도 - 신선바위>
<신선바위에서 하늘길전망대 방면으로 내려가는 계단길>
<호국충혼비와 미타사 안내문>
<우측의 개화역과 호국충혼비/미타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
<하늘길전망대와 개화역 방면 갈림길 이정표>
<좌측의 약사사 방면 오르막 계단길>
<우측의 개화역 방면 하산로 계단길>
<하늘길전망대 이정표>
<하늘길전망대에서 바라본 김포국제공항 방면 전경>
<하늘길전망대에서 바라본 강서공영차고지와 계양산 방면 전경>
<개화산 자락길 안내도 - 하늘길전망대>
<방화역과 약사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
<무장애숲길(자락길)과 방원중학교 방면 갈림길 이정표>
<개화산 자락길>
<방화역과 개화산역 방면 완만한 등산로>
<방화역과 개화산역 방면 갈림길 이정표>
<개화산역 방면 하산로의 돌탑>
<강서둘레길 안내도 - 화장실 옆>
<강서둘레길 이정표 - 화장실 옆>
<방화역과 약사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 - 화장실 옆>
<개화사 방면 강서둘레길 시작지점>
<등산로에서 내려다 본 개화사 방면 전경>
<풍산 심씨 묘역 안내문>
<방화역과 개화산 약수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약사사와 방화근린공원 방면 갈림길 이정표>
<심정쉼터 이정표와 테이블>
<방화근린공원과 약사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
<삼정중학교 뒤편의 쉼터>
<방화근린공원 입구의 약수터>
<강서둘레길과 방화역 방면 갈림길 이정표>
<방화근린공원의 쉼터>
<심정쉼터와 삼정중학교 방면 갈림길 이정표>
<산행지도 - 트랭글 네이버 지도>
<산행지도 - 트랭글>
<산행기록 - 트랭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