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록(2020년대)/산행기록(2024년)

지리산(경남 함양, 2024.05.04) - 제1590회

mouner(마우너) 2024. 5. 6. 00:31

산행보고서<1590>

 

 

1. 산행지 : 지 리 산(천왕봉 1,915m)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2. 산행일 : 2024년 5월 3일(금)~ 5일(일) / 1박 3일

 

3. 산행자 : 수원처음처럼산악회 개별산행(총 10명)

 

4. 산행로

발산역(22:00)→수원시청역(23:32 / 지하철)→출발(00:35)

→추성주차장(05:00 / 전세버스)→산행 출발(06:15)

→칠선계곡 탐방지원센터(06:16)

→이정표(06:23 / [직진] 두지동-1.2Km / [직진] 선녀탕-3.0Km / [후] 추성주차장-0.3Km)

→이정표(06:26 / [직진] 두지동-1.0Km / [후] 추성주차장-0.5Km / [후] 지리산둘레길[벽송사]-2.2Km)

→이정표(지리[경남] 09-01 / 해발 437m / 06:26 / [직진] 천왕봉 / [후] 추성동)

→칠선계곡 탐방로(장구목 / 06:34)

→이정표(지리[경남] 09-02 / 해발 496m / 06:38 / [직진] 천왕봉 / [후] 추성동)

→두지동(06:45)→두지교(06:46)

→이정표(06:47 / [직진] 비선담-2.3Km / [직진] 천왕봉-8.2Km / [후] 추성-1.5Km / [우측] 백무동-2.7Km)→칠선교(06:53)

→이정표(지리[경남] 09-04 / 해발 594m / 07:02 / [직진] 천왕봉 / [후] 추성동)

→칠성동 옛마을CAFE(07:04)

→이정표(07:07 / [직진] 비선담-1.4Km / [직진] 천왕봉-7.3Km / [후] 추성-2.4Km)

→이정표(지리[경남] 09-05 / 해발 637m / 07:14 / [직진] 천왕봉 / [후] 추성동)

→이정표(지리[경남] 09-06 / 해발 649m / 07:25 / [직진] 천왕봉 / [후] 추성동)

→이정표(선녀탕 / 해발 620m / 07:28 / [직진] 마폭포-4.7Km / [직진] 천왕봉-6.3Km / [후] 추성-3.4Km)

→이정표(옥녀탕 / 해발 650m / 07:34 / [직진] 칠선폭포-1.9Km / [직진] 마폭포-4.6Km / [직진] 천왕봉-6.2Km / [후] 추성리-3.5Km)

→이정표(지리[경남] 09-07 / 해발 657m / 07:34 / [직진] 천왕봉 / [후] 추성동)

→이정표(비선담 / 해발 710m / 07:41 / [직진] 비선담통제소-0.4Km / [직진] 칠선폭포-1.5Km / [직진] 마폭포-4.2Km / [직진] 천왕봉-5.8Km / [후] 추성마을-3.9Km)

→비선교(07:42)

→비선담 안전쉼터(07:43)

→이정표(지리[경남] 09-08 / 해발 729m / 07:46 / [직진] 천왕봉 / [후] 추성동)

→이정표(지리[경남] 09-09 / 해발 795m / 07:58 / [직진] 천왕봉 / [후] 추성동)

→상원교(07:59)

→이정표(지리[경남] 09-10 / 해발 835m / 08:12 / [직진] 천왕봉 / [후] 추성동)

→칠선폭포(08:29)

→이정표(지리[경남] 09-11 / 해발 897m / 08:35 / [직진] 천왕봉 / [후] 추성동)

→이정표(지리[경남] 09-12 / 해발 961m / 08:49 / [직진] 천왕봉 / [후] 추성동)

→삼층폭포(09:02)

→이정표(지리[경남] 09-13 / 해발 1,041m / 09:11 / [직진] 천왕봉 / [후] 추성동)

→이정표(지리[경남] 09-14 / 해발 1,128m / 10:10 / [직진] 천왕봉 / [후] 추성동)→점심

→이정표(지리[경남] 09-15 / 해발 1,212m / 10:55 / [직진] 천왕봉 / [후] 추성동)

→이정표(지리[경남] 09-16 / 해발 1,381m / 11:13 / [직진] 천왕봉 / [후] 추성동)

→마폭포(11:19)

→이정표(지리[경남] 09-17 / 해발 1,467m / 11:39 / [직진] 천왕봉 / [후] 추성동)

→이정표(지리[경남] 09-18 / 해발 1,650m / 12:17 / [직진] 천왕봉 / [후] 추성동)

→이정표(지리[경남] 09-19 / 해발 1,817m / 12:47 / [직진] 천왕봉 / [후] 추성동)

→이정표(지리[경남] 01-52 / 해발 1,915m / 13:02 / [직진] 천왕봉 / [후] 노고단)

→천왕봉(13:07)

→이정표(지리[경남] 01-52 / 해발 1,915m / 13:30 / [직진] 노고단 / [후] 천왕봉)

→칠선계곡 상단 안전쉼터(13:35)

→통천문(지리[경남] 01-51 / 해발 1,814m / 13:42 / [직진] 노고단 / [후] 천왕봉)

→이정표(13:42 / [직진] 장터목대피소-1.2Km / [직진] 세석대피소-4.6Km / [후] 천왕봉-0.5Km)

→이정표(13:51 / [직진] 장터목대피소-1.0Km / [후] 천왕봉-0.7Km)

→이정표(지리[경남] 01-50 / 해발 1,756m / 14:17 / [직진] 노고단 / [후] 천왕봉)

→제석봉(해발 1,808m / 14:20 / [직진] 장터목대피소-0.6Km / [후] 천왕봉-1.1Km)

→제석봉 안전쉼터(14:20 / [직진] 장터목대피소-700m / [후] 칠선계곡 상단-800m)

→이정표(지리[경남] 01-49 / 해발 1,708m / 14:34 / [직진] 노고단 / [후] 천왕봉)

→장터목대피소(14:38 / [우측] 백무동-5.8Km / [후] 천왕봉-1.7Km / [직진] 세석대피소-3.4Km / [좌측] 중산리-5.3Km)

→이정표(지리[경남] 10-11 / 해발 1,653m / 15:01 / [직진] 백무동 / [후] 장터목)

→이정표(15:01 / [직진] 백무동-5.3Km / [후] 장터목대피소-0.5Km)

→이정표(지리[경남] 10-10 / 해발 1,637m / 15:08 / [직진] 백무동 / [후] 장터목)

→이정표(지리[경남] 10-09 / 해발 1,522m / 15:45 / [직진] 백무동 / [후] 장터목)

→이정표(15:50 / [직진] 백무동-4.3Km / [후] 장터목대피소-1.5Km / [후] 천왕봉-3.2Km)

→이정표(지리[경남] 10-08 / 해발 1,467m / 15:56 / [직진] 백무동 / [후] 장터목)

→이정표(16:05 / [직진] 백무동-3.6Km / [후] 장터목대피소-2.2Km)

→이정표(지리[경남] 10-07 / 해발 1,377m / 16:06 / [직진] 백무동 / [후] 장터목)

→이정표(지리[경남] 10-06 / 해발 1,307m / 16:15 / [직진] 백무동 / [후] 장터목)

→소지봉 안전쉼터(16:16 / [직진] 참샘-400m / [후] 장터목대피소-2.8Km)

→이정표(16:16 / [직진] 백무동-3.0Km / [후] 장터목대피소-2.8Km)

→참샘(참샘 안전쉼터 / 16:33 / [직진] 백무동-2.6Km / [후] 장터목대피소-3.2Km / [후] 천왕봉-4.9Km)

→참샘 안전쉼터(16:33 / [직진] 백무동 야영장-2.6Km / [후] 소지봉-400m)

→이정표(지리[경남] 10-05 / 해발 1,137m / 16:39 / [직진] 백무동 / [후] 장터목)

→이정표(지리[경남] 10-04 / 해발 987m / 16:46 / [직진] 백무동 / [후] 장터목)

→하동바위(16:53 / [직진] 백무동-1.8Km / [후] 참샘-0.8Km / [후] 장터목대피소-4.0Km / [후] 천왕봉-5.7Km)

→이정표(지리[경남] 10-03 / 해발 834m / 16:57 / [직진] 백무동 / [후] 장터목)

→이정표(17:03 / [직진] 백무동-1.2Km / [후] 장터목대피소-4.6Km)

→이정표(지리[경남] 10-02 / 해발 701m / 17:06 / [직진] 백무동 / [후] 장터목)

→이정표(17:10 / [직진] 백무동-0.7Km / [후] 장터목대피소-5.1Km)

→이정표(지리[경남] 10-01 / 해발 603m / 17:14 / [직진] 백무동 / [후] 장터목)

→백무동 야영장(17:18 / [직진] 백무동-0.3Km / [후] 장터목대피소-5.8Km / [후] 천왕봉-7.2Km)

→이정표(17:23 / [후] 장터목대피소-5.8Km / [좌측] 가내소폭포-2.7Km / [좌측] 세석대피소-6.5Km)

→백무동 탐방지원센터(17:25)

→다샘펜션(18:00 / [후] 백무동 야영장-0.4Km / [우측] 두지동-2.7Km / 숙박)

다샘펜션(08:22)→인월(두꺼비집 / 08:50 / 전세버스 / 아침)→출발(09:47)→수원시청역(13:35 / 전세버스)→발산역(15:27 / 지하철)

※ 총산행시간 : 11시간 2분(산행시간 9시간 19분)

※ 총산행거리 : 16.9Km

 

5. 교통편

⇒ 발산역을 출발(22:06 탑승)하여 신길역(22:25 하차 / 지하철 5호선 / 22:33 탑승)→수원역(23:22 하차 / 지하철 1호선 / 23:27 탑승)을 거쳐 수원시청역(수인분당선)까지 지하철 이용(1:26 소요 / 1,400원 + 700원)

⇒ 수원시청역을 출발하여 칠선계곡 추성주차장까지 전세버스 이용(4:25 소요)

⇒ 백무동(다샘펜션)에서 인월(두꺼비집)까지 전세버스 이용(0:28 소요)

⇒ 인월을 출발하여 수원시청역까지 전세버스 이용(3:48 소요)

⇒ 수원시청역을 출발(13:57 탑승)하여 수원역(14:01 하차 / 수인분당선 / 14:06 탑승)→신길역(14:55 하차 / 지하철 1호선 / 15:00 탑승)을 거쳐 발산역(지하철 5호선)까지 지하철 이용(1:21 소요 / 1,400원 + 700원)

 

6. 산행비

산 행 비 80,000원

교 통 비 4,200원

합 계 84,200원

 

7. 산 행

칠선계곡 입구인 추성주차장에서 산행 출발. 주차장 옆의 칠선계곡 탐방지원센터를 지나 마을길을 따라 오르게 되면 추성마을 유래 안내문을 만나게 되며 선녀탕과 두지동 방면 이정표를 따라가게 되면 칠선계곡 안내도를 지나 칠선계곡 탐방로 입구인 장구목에 도착.

이후 두지동의 두지동 마을 조형물, 마을 쉼터, 칠선계곡(추성-비선담) 탐방로 현황 안내도, 두지교를 지나 백무동 방면(우측) 삼거리 갈림길에서 비선담과 천왕봉 방면으로 들어서면서부터 본격적인 등산로 시작. 이후로는 칠선계곡을 따라 완만한 등산로가 이어지며 2012년 새로 설치되었다는 칠선교(출렁다리), 칠선동 옛마을 CAFE, 선녀탕, 옥녀탕, 비선담, 비선교, 비선담 안전쉼터를 통과. 이곳부터 칠선계곡 특별보호구역으로 5~6월, 9~10월의 주말(금, 토, 일)에 60명의 예약인원만 출입이 허용. 비선담 안전쉼터에는 통제 인원이나 시설은 없으며 상원교 상단부에 칠선계곡 특별보호구역 예약제 운영 안내문과 함께 출입문이 설치.

이후 칠선폭포(이정표 없음, 지리[경남] 09-11 이정표 부근)와 삼층폭포(이정표 없음, 지리[경남] 09-13 이정표 아래)를 지나면서부터 경사진 오르막 길이 이어지며 지리(경남) 09-16 이정표와 마폭포(이정표 없음)를 지나면서부터는 계곡을 벗어나 경사진 숲길의 시작. 대형 주목과 단풍취, 나도옥잠화, 얼레지, 박쥐나물 군락을 지나 나무 계단길을 오르게 되면 급경사의 너덜지대와 철제 계단을 거쳐 제석봉~천왕봉 사이의 등산로(지리[경남] 01-52 이정표)에 합류. 이후 좌측 방면으로 5분여 오르게 되면 해발 1,915m의 천왕봉 정상에 도착. 추성주차장에서 9.7Km 거리로 6시간 50분 소요.

천왕봉에서 장터목 방면으로 하산하게 되면 칠선계곡 상단 안전쉼터, 통천문, 제석봉을 지나 장터목 대피소에 도착하게 되며 이후 대피소 우측의 백무동 방면으로 하산. 완만한 하산로를 따라 소지봉(안전쉼터), 참샘(안전쉼터), 하동바위를 지나 백무동 야영장에 도착하게 되며 이후 좌측의 한신계곡 방면 등산로 갈림길, 백무동 탐방지원센터를 지나 백무동(상가)에 도착. 천왕봉에서 7.5Km 거리로 4시간여 소요.

 

8. 산행 사진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 탐방지원센터>

 

<추성마을의 유래 안내문>

 

<등산로에서 바라본 칠선계곡 입구 전경>

 

<추성주차장에서 선녀탕과 두지동 방면 이정표>

 

<추성주차장에서 두지동 방면 이정표>

 

<추성동 등산로 입구의 칠선계곡 안내도>

 

<지리(경남) 09-01 이정표>

 

<칠선계곡 탐방로 입구 이정표(장구목)>

 

<장구목의 탐방로 안내도>

 

<지리(경남) 09-02 이정표>

 

<장구목에서 두지동 방면 등산로의 뽀리뱅이>

 

<두지동 마을 안내도>

 

<두지동 마을의 조형물>

 

<두지동 마을쉼터 전경>

 

<두지동마을의 지리산 칠선계곡 탐방로 현황 안내문>

 

<두지동에서 선녀탕 방면 등산로의 두지교>

 

<두지동에서 선녀탕 방면 등산로에 핀 불두화>

 

<추성에서 천왕봉 비선담과 백무동 방면 갈림길 이정표>

 

<두지동에서 선녀탕 방면 등산로에 핀 미나리냉이>

 

<두지동에서 선녀탕 방면 등산로의 칠선교 전경>

 

<두지동에서 선녀탕 방면 등산로의 칠선교 현황 안내문>

 

<두지동에서 선녀탕 방면 등산로의 칠선교>

 

<칠선교에서 내려다 본 계곡 전경>

 

<두지동에서 선녀탕 방면 칠선교 주변에 핀 고추나무꽃>

 

<지리(경남) 09-04 이정표>

 

<두지동에서 선녀탕 방면 등산로의 칠성동 옛마을 CAFE 이정표>

 

<두지동에서 선녀탕 방면 등산로의 광대수염>

 

<추성에서  비선담과 천왕봉 방면 이정표>

 

<두지동에서 선녀탕 방면 등산로에 핀 풀솜대>

 

<지리(경남) 09-05 이정표>

 

<지리(경남) 09-06 이정표>

 

<추성에서 천왕봉과 마폭포 방면 이정표(선녀탕)>

 

<선녀탕 안내문>

 

<칠선계곡의 선녀탕 전경>

 

<칠선계곡의 선녀탕 전경>

 

<칠선계곡의 옥녀탕 전경>

 

<추성리에서 칠선폭포 마폭포 천왕봉 방면 이정표(옥녀탕)>

 

<지리(경남) 09-07 이정표>

 

<추성마을에서 미선담통제소 칠선폭포 마폭포 천왕봉 방면 이정표(비선담)>

 

<칠선계곡의 비선교>

 

<비선교에서 바라본 칠선계곡 전경>

 

<비선담 안전쉼터 건물>

 

<비선담 안전쉼터 이정표>

 

<비선담의 탐방로 안내도>

 

<비선담의 비선교 전경>

 

<지리(경남) 09-08 이정표>

 

<비선담에서 칠선폭포 방면의 칠선계곡 전경>

 

<비선담에서 칠선폭포 방면의 데크 등산로>

 

<비선담에서 칠선폭포 방면의 칠선계곡 전경>

 

<비선담에서 칠선폭포 방면 등산로의 칠선계곡 특별보호구역 안내문>

 

<비선담에서 칠선폭포 방면 등산로의 키스 나무>

 

<지리(경남) 09-09 이정표>

 

<칠선계곡의 상원교>

 

<칠선계곡의 상원교 전경>

 

<비선담에서 칠선폭포 방면 칠선교의 출입문과 안내문>

 

<지리(경남) 09-10 이정표>

 

<비선담에서 칠선폭포 방면의 칠선계곡 전경>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의 칠선폭포>

 

<지리(경남) 09-11 이정표>

 

<칠선폭포에서 삼층폭포 방면 등산로의 천남성>

 

<칠선폭포에서 삼층폭포 방면 등산로의 족도리풀>

 

<지리(경남) 09-12 이정표>

 

<칠선폭포에서 삼층폭포 방면 등산로 전경>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의 삼층(천)폭포>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의 삼층(천)폭포>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의 삼층(천)폭포>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의 삼층(천)폭포>

 

<지리(경남) 09-13 이정표>

 

<삼층폭포에서 마폭포 방면 등산로에 핀 매화말발도리>

 

<삼층폭포에서 마폭포 방면 등산로에 핀 매화말발도리>

 

<지리(경남) 09-14 이정표>

 

<지리(경남) 09-15 이정표>

 

<삼층폭포에서 마폭포 방면 등산로에 핀 구술붕이>

 

<삼층폭포에서 마폭포 방면 등산로의 바위떡풀>

 

<삼층폭포에서 마폭포 방면 등산로의 바위떡풀>

 

<삼층폭포에서 마폭포 방면 등산로에 핀 괭이눈>

 

<삼층폭포에서 마폭포 방면 등산로에 핀 괭이눈>

 

<지리(경남) 09-16 이정표>

 

<삼층폭포에서 마폭포 방면 등산로에 핀 철쭉>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계곡의 폭포>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의 마폭포(추정)>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의 고목>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의 단풍취 새싹>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의 단풍취>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의 급경사 등산로>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에 핀 족도리풀>

 

<지리(경남) 09-17 이정표>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에 핀 나도옥잠화>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에 핀 나도옥잠화>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에 핀 나도옥잠화>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에 핀 나도옥잠화>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에 핀 나도옥잠화>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에 핀 얼레지>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에 핀 얼레지>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에 핀 얼레지>

 

<지리(경남) 09-18 이정표>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에 핀 나도옥잠화>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의 고목>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에 핀 진달래꽃>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의 박쥐나물>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의 칠선계곡 탐방로 인식표>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급경사 등산로>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 중턱에서 바라본 중봉 방면 전경>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에 핀 진달래>

 

<지리(경남) 09-19 이정표>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 중턱에서 바라본 중봉 방면 전경>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급경사 계단길>

 

<칠선계곡에서 천왕봉 방면 등산로에 핀 진달래꽃>

 

<칠선계곡에서 오르는 등산로와 만나는 지점>

 

<칠선계곡 등산로 갈림길의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안내문>

 

<지리(경남) 01-52 이정표>

 

<천왕봉 아래의 현위치번호 지리 이정표>

 

<천왕봉 정상의 안내문>

 

<천왕봉 정상 표지석>

 

<천왕봉에서 통천문 방면 등산로 주변의 고사목>

 

<천왕봉에서 통천문 방면 등산로 주변의 고사목>

 

<통천문 옆의 기암괴석>

 

<천왕봉에서 장터목과 세석대피소 방면 이정표(통천문)>

 

<천왕봉에서 제석봉 방면 등산로에 핀 얼레지>

 

<천왕봉에서 제석봉 방면 등산로에 핀 얼레지>

 

<천왕봉에서 장터목대피소 방면 이정표>

 

<지리(경남) 01-50 이정표>

 

<천왕봉에서 장터목대피소 방면 이정표(제석봉)>

 

<제석봉 안전쉼터 이정표>

 

<제석봉에서 바라본 천왕봉 정상 방면 전경>

 

<지리(경남) 01-49 이정표>

 

<천왕봉에서 백무동과 세석대피소 중산리 방면 갈림길 이정표(장터목대피소)>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에 핀 개별꽃>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에 핀 현호색>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에 핀 괭이눈>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에 핀 괭이눈>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이정표(지리[경남] 10-11 이정표)>

 

<지리(경남) 10-10 이정표>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에 핀 얼레지>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에 핀 애기괭이밥>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에 핀 애기괭이밥>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에 핀 나도옥잠화>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에 핀 얼레지>

 

<지리(경남) 10-09 이정표>

 

<천왕봉과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 이정표>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 전경>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에 핀 제비꽃>

 

<지리(경남) 10-08 이정표>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 이정표>

 

<지리(경남) 10-07 이정표>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에 핀 구술붕이>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에 핀 구술붕이>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에 핀 구술붕이>

 

<지리(경남) 10-06 이정표>

 

<소지봉 안전쉼터 이정표>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 이정표>

 

<소지봉에서 참샘 방면 하산로에 핀 족도리풀>

 

<소지봉에서 참샘 방면 하산로의 얼레지 씨방>

 

<소지봉에서 참샘 방면 하산로에 핀 병꽃나무꽃>

 

<참샘 안전쉼터와 백무동 방면 하산로 이정표>

 

<참샘의 탐방로 안내도>

 

<참샘 안전쉼터 이정표>

 

<지리(경남) 10-05 이정표>

 

<참샘에서 하동바위 방면 하산로에 핀 개별꽃>

 

<참샘에서 하동바위 방면 하산로에 핀 개별꽃>

 

<지리(경남) 10-04 이정표>

 

<참샘에서 하동바위 방면 하산로>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의 하동바위>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의 하동바위 부근 목재 데크>

 

<참샘 장터목대피소 천왕봉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 이정표(하동바위)>

 

<지리(경남) 10-03 이정표>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 이정표>

 

<지리(경남) 10-02 이정표>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하산로 이정표>

 

<지리(경남) 10-01 이정표>

 

<천왕봉과 장터목대피소에서 백무동 방면 이정표>

 

<백무동 야영장 주변에 핀 개별꽃(?)>

 

<장터목대피소에서 세석대피소와 가내소폭포 방면 이정표>

 

<백무동 야영장의 탐방로 안내도>

 

<백무동 탐방지원센터 건물 전경>

 

<백무동 야영장에서 두지동 방면 이정표(다샘펜션 옆)>

 

<트랭글 산행기록>

 

<트랭글 네이버 산행지도>

 

<칠선계곡 탐방로 예약자 안내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