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록(2010년대)/산행기록(2015년)

상봉산(충남 천안, 2015.12.12) - 제625회

mouner(마우너) 2016. 1. 6. 07:46

산행보고서<625>

 

1. 산행지 : 상봉산(上峯山, 해발 220m/230m)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병천면

 

2. 산행일 : 2015년 12월 12일(토)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1명)

 

4. 산행로 

발산역(12:15)→영등포역(12:50 / 지하철)→출발(12:57)→천안역(13:55 / 기차)

→한국기술교육대학교(14:45 / 시내버스)→산행 출발(14:47)

→가암마을회관(가전4리 경로당 / 14:49)

→이정표(14:50 / [우측] 은석사 / [직진] 보문사)

→이정표(14:56 / [우측] 은석사)

→임도(15:06)

→상봉산(해발 220m / 15:19 / [직진] 병천-1.2Km / [후] 은석사-2.3Km)→하산(15:27)

→이정표(15:31 / [직진] 숙소 / [후] 정상 / [우측] 종합운동장)

→갈림길(15:33 / 우측)

→갈림길(15:34 / 직진)

→쉼터(15:37 / 휴식)

→등산로 입구(16:01)→생활관(16:05)

연수원(09:20)→천안역(09:50 / 자가용)→출발(10:07)→영등포역(11:07 / 기차)→발산역(12:00 / 시내버스)

※ 총산행시간 : 1시간 20분

※ 총산행거리 : 3.03Km(트랭글 기준)

 

5. 교통편

⇒ 발산역을 출발하여 신길역(5호선)을 경유하여 영등포역까지 지하철 이용(0:35 소요 / 1,250원 + 100원)

⇒ 영등포역에서 천안역까지 무궁화호 기차 이용(12:57 출발 / 13:55 도착 / 5,700원)

⇒ 천안역에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입구까지 401번 시내버스 이용(0:40 소요 / 1,350원)

⇒ 관세국경관리연수원에서 천안역까지 자가용 이용(0:30 소요)

⇒ 천안역에서 영등포역까지 새마을호 기차 이용(10:07 출발 / 11:07 도착 / 8,400원)

⇒ 영등포역에서 발산역까지 88번 시내버스 이용(0:50 소요 / 1,250원)

 

6. 산행비 : 교 통 비 18,050원

 

7. 산 행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입구에서 산행 출발. 가전4리 표지석이 있는 곳에서 포장도로를 따라 가게 되면 가암마을회관(가전4리 경로당)을 지나게 되며 이후 은석사 방면 이정표를 따라 이동. 이후 축사를 지나 은석사 방면 이정표를 따라 우측 방면의 임도를 따라 오르게 되면 상봉산 입구에 도착. 우측의 등산로를 따라 들어서게 되면 급경사 오르막 길이 시작되고, 15분여 급경사 구간을 오르게 되면 해발 220m의 상봉산 정상에 도착. 철봉 등의 운동시설과 상봉정이 있는 곳으로 상봉정 아래로 관세국경관리연수원의 종합운동장이 조망되고, 우측으로는 멀리 독립기념관과 흑성산이 조망.

상봉산 정상에서 반대편으로 내려서게 되면 철봉이 있는 공터를 지나 종합운동장과 숙소 방면 삼거리 갈림길. 갈림길에서 숙소 방면으로 들어서게 되면 완만한 능선길이 이어지다가 병천의용소방대의 산불조심 이정표가 있는 곳으로 우측으로 하산. 경사진 계단길 등을 내려서게 되면 긴 의자 등이 있는 쉼터를 지나 관세국경관리연수원의 숙소가 있는 등산로 입구에 도착.

 

 

<가전4리 표지석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건너편>

 

<가암마을회관과 가전4리 경로당>

 

<보문사와 은석사 방면 이정표>

 

<은석사와 대원선원 방면 이정표>

 

<우측의 은석사 방면 이정표와 임도>

 

<은석사 방면으로 이어지는 임도>

 

<관세국경관리연수원과 해양경찰학교의 산불조심 이정표>

 

<임도에서 상봉산으로 오르는 급경사 등산로>

 

<상봉산 정상 이정표>

 

<상봉산 정상의 운동시설물>

 

<상봉산 정상의 이정표>

 

<상봉산 정상의 상봉정>

 

<상봉산 정상에서 내려다 본 관세국경관리연수원 방면 전경>

 

<상봉산 정상에서 바라본 독립기념관과 흑성산 방면 전경>

 

<상봉공원 안내문>

 

<평행봉 등의 운동시설이 있는 공터>

 

<좌측의 생활관과 우측의 종합운동장 방면 갈림길>

 

<좌측의 병천과 우측의 연수원 방면 갈림길>

 

<연수원 방면으로 내려가는 하산로>

 

<연수원 방면 하산로의 작은 돌탑들>

 

<중턱 쉼터의 의자들>

 

<연수원으로 내려가는 계단길>

 

<등산로 입구의 이정표>

 

<연수원의 등산로 안내문>

 

<트랭글 산행기록>

 

<트랭글 네이버 산행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