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보고서<503>
1. 산행지 : 삼 성 산(三聖山, 해발 481m, 국기봉 477m)
서울특별시 관악구, 동작구, 금천구. 경기도 안양시
2. 산행일 : 2014년 7월 15일(화)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1명)
4. 산행로
발산역(12:00)→등촌중학교(12:15 / 버스)→관악산입구(13:15 / 버스)→
산행 출발(13:15 / [직진] 삼성산 성지-2.72Km / [좌측] 서울대-0.2Km)→
가재샘약수터(13:21)→
이정표(물레방아 / 13:24 / [직진] 호수공원 / [후] 서울대-0.72Km / [우측] 삼성산 성지-2.23Km)→
이정표(13:25 / [직진] 삼성산 성지-2.16Km / [후] 서울대-0.79Km)→
배드민턴장(13:28)→
이정표(13:29 / [우측] 서울둘레길[삼성산 성지]-1.96Km / [후] 서울둘레길[서울대]-0.98Km / [좌측] 돼지바위)→
이정표(13:32 / [좌측] 서울둘레길[삼성산 성지]-1.85Km / [후] 서울둘레길[서울대]-1.1Km / [직진] 약수암)→
전망대(13:37)→
이정표(13:38 / [직진] 삼성산 성지-1.57Km / [후] 서울대-1.38Km)→
이정표(쉼터 / 배드민턴장 / 13:39 / [우측] 서울둘레길[삼성산 성지]-1.5Km / [후] 서울둘레길[서울대]-1.45Km)→
이정표(쉼터 / 13:40 / [직진] 삼성산 성지-1.45Km / [후] 서울대-1.5Km)→
이정표(K72 돌산 / 13:41 / [후] 서울둘레길[서울대]-1.56Km / [좌측] 서울둘레길[삼성산 성지]-1.39Km / [직진] 신우초등학교)→
돌산 국기봉(13:44)→
이정표(K72 돌산 / 13:47)→
이정표(K71 용화배트민턴 / 13:48)→
이정표(13:48 / [우측] 서울둘레길[삼성산 성지]-1.29Km / [후] 서울둘레길[서울대]-1.65Km / [직진] 호랑이골)→
이정표(13:49 / [직진] 칼바위[국기봉]-1.2Km / [후] 돌산 국기봉-0.3Km / [후] 서울둘레길[서울대]-1.7Km / [우측] 서울둘레길[삼성산 성지]-1.24Km / [우측] 보덕사/샘말공원-0.7Km)→
이정표(K64 용암천 / 14:01)→
이정표(14:07 / [직진] 삼막사-2.7Km / [후] 관악산입구-2.4Km / [좌측] 폭포정-0.5Km / [우측] 제2야영장-0.3Km)→
이정표(K63 곰바위 / 14:14)→
칼바위 국기봉(14:17)→
산불감시용 CCTV(14:26)→
이정표(K78 제1야영장 / 14:31 / [직진] 삼막사-2.2Km / [후] 국기봉-400m / [좌측] 삼거리-700m / [우측] 활터-1.5Km)→
이정표(K61 운동장바위 위 / 14:37)→
이정표(14:42 / [직진] 삼막사-1.6Km / [후] 시흥-1.5Km / [좌측] 철쭉동산-1.4Km)→
이정표(삼-5 깔딱고개 삼거리 / 14:52 / [직진] 국기봉-0.3Km / [직진] 삼성산-1.2Km / [직진] 삼막사-0.9Km / [후] 호압사-1.8Km / [좌측] 서울대-3.5Km / [좌측] 호수공원-2.3Km)→
이정표(K48 국기봉 / 14:58)→
깃대봉(15:00)→
이정표(15:04 / [직진] 삼막사 / [후] 제1야영장)→
이정표(K47 거북바위 / 원격우량관측장치 / 15:11 / [직진] 무너미고개-1.4Km / [후] 호압사-2.2Km / [좌측] 서울대-4.3Km / [우측] 삼막사-0.5Km)→
이정표(K44 삼성산 초소 / 15:16)→
통신기지(15:21)→
삼성산(해발 481m / 15:23)→
이정표(삼-6 국기봉 밑 사거리 / 15:32 / [직진] 삼막사 국기봉-0.2Km / [후] 통신탑-0.6Km / [좌측] 상불암-0.2Km / [우측] 삼막사-0.5Km)→
국기봉(해발 477m / 15:36)→
이정표(15:45 / [후] 상불암-600m / [좌측] 칠성각-50m)→
삼귀자(15:48)→
삼막사(15:50)→
반월암(15:54)→
마애부도(15:56)→
이정표(K47 거북바위 / 15:59 / [좌측] 서울대-4.3Km / [후] 삼막사-0.5Km / [좌측] 호압사-2.2Km / [직진] 무너미고개-1.4Km)→
이정표(16:08 / [직진] 주차장-3.9Km / [직진] 제4야영장-1.2Km / [직진] 무너미삼거리-500m)→
이정표(K46 제2삼거리[상] / 16:10)→
이정표(K41 삼거리 약수터 / 16:15 / [좌측] 호수공원-2.1Km / [좌측] 4야영장-0.7Km / [후] 삼막사-1.5Km / [후] 삼성산-1.8Km / [우측] 무너미고개-0.4Km)→
약수터(16:17)→
이정표(K51 용천주 / 16:23)→
이정표(제4야영장 / 16:26 / [직진] 호수공원-1.4Km / [후] 무너미고개-900m / [우측] 연주대-1.6Km)→
약수정(16:30)→
이정표(K28 아카시아동산 / 16:35 / [직진] 제1광장[호수공원] / [후] 제4야영장-400m)→
이정표(16:36 / [직진] 호수공원-0.5Km / [후] 제4야영장-0.8Km / [좌측] 모자봉-0.4Km)→
이정표(K27 아카시아숲 / 16:41)→
호수공원(16:44)→
이정표(16:47 / [직진] 관악산 주차장 / [좌측] 제1광장 삼성산 / [우측] 연주대)→
이정표(16:54 / [직진] 서울둘레길[서울대]-0.72Km / [후] 호수공원 / [좌측] 서울둘레길[삼성산 성지]-2.23Km)→
가재샘약수터(16:56)→
관악산 만남의 쉼터(16:59 / [우측] 서울둘레길[서울대]-0.23Km / [후] 서울둘레길[삼성산 성지]-2.72Km)→
관악산입구(17:00)→등촌중학교(18:15 / 버스)→발산역(18:30 / 버스)
※ 총산행시간 : 3시간 45분
※ 총산행거리 : 11.4Km(트랭글 기준)
5. 교통편
⇒ 발산역에서 등촌중학교까지 605번 시내버스 이용(0:15 소요 / 1,050원)
⇒ 등촌중학교에서 관악산입구까지 6514번 시내버스 이용(1:00 소요 / 환승 할인 + 200원 추가)
⇒ 관악산입구에서 등촌중학교까지 6514번 시내버스 이용(1:15 소요 / 1,050원)
⇒ 등촌중학교에서 발산역까지 605번 시내버스 이용(0:15 소요 / 환승 할인 + 200원)
6. 산행비 : 교 통 비 2,500원
7. 산 행
관악산 입구 버스정류장을 출발, 만남의 쉼터를 지나 관악산 둘레길 2구간 이정표를 따라 10분여 도로를 걷게 되면 가재샘약수터를 지나 수도시설(좌측)과 물레방아(우측)가 있는 곳에서 우측의 등산로로 진입.
2011년 집중호우에 쓰러진 나무들을 활용해 제작했다는 장승들을 지나 배드민턴장 입구에서 좌측 계단길로 올라서면 돼지바위 이정표가 있는 곳. 이곳에서 우측의 삼성산 성지 방면으로 들어서면 길게 이어지는 계단을 오르게 되며 이후 서울대학교와 관악산 정상인 연주대가 한눈에 보이는 전망 좋은 전망대 바위(좌측)를 지나고 등산로 좌우로 쉼터와 배드민턴장을 거쳐 잠시 오르게 되면 K72 돌산 이정표가 있는 사거리 갈림길. 갈림길에서 우측 방면으로 암릉구간을 100여미터 오르게 되면 태극기가 휘날리는 해발 239m의 돌산 국기봉(관악산입구 ~ 30분)
국기봉에서 다시 사거리 갈림길로 내려온 뒤 계속해서 삼성산 성지 방면으로 걷게 되면 K71 용화배트민턴 이정표와 호랑이골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게 되고 다음 삼거리 갈림길에서 정면의 국기봉 칼바위 방면으로 산행. 점차 경사진 오르막 길을 10분여 오르게 되면 K64 용암천 이정표가 있는 곳으로 이후 출입금지 현수막부터는 5분여 급경사의 암릉구간. 폭포정(좌측)과 제2야영장(우측) 방면 사거리 갈림길에서 삼막사 방면으로 들어서면 로프가 설치된 급경사 오르막 구간이 시작되고 K63 곰바위 이정표를 지나 위험지역 안내문이 있는 곳을 거쳐 급경사 암릉구간을 5분여 올라서면 칼바위 국기봉(돌산 국기봉 ~ 30분)
국기봉을 지나 우측의 급경사 우회로, 위험지역 안내문, 샛길 폐쇄 안내 현수막, 좌측의 급경사 철제계단 우회로를 지나게 되며 CCTV를 거쳐 완만한 능선길을 5분여 걷게 되면 K78 제1야영장(칼바위 국기봉 ~ 15분)
제1야영장에서 좌측의 삼막사 방면으로 완만한 오르막 길이 이어지고 이정표 등을 확인할 수는 없었으나 트랭글 앱에서 장군봉이라고 하는 곳을 지나면서 완만한 내리막 길 시작. K61 운동장바위 위 이정표를 지나 철쭉동산 갈림길(좌측)까지 경사진 내리막 길이 이어지다가 다시 오르막 길이 시작되며 깔딱고개 삼거리를 지나 경사진 돌계단과 로프가 설치된 암릉구간을 오르게 되면 K48 국기봉 이정표(제1야영장 ~ 30분).
실제 태극기가 걸려 있는 곳(깃대봉)까지 갔다가 다시 내려와 완만한 능선길을 걷게 되면 K47 거북바위. 거북바위에서부터 좌측의 포장도로를 따라 완만한 오르막 길을 오르게 되면 K44 삼성산 초소를 거쳐 통신기지 입구에 도착하게 되며 철조망을 따라 우측으로 우회하게 되면 해발 481m의 삼성산 정상에 도착(국기봉[깃대봉] ~ 25분)
정상에서 능선길을 따라 특이한 모양의 기암괴석들이 이어지고 국기봉 사거리(좌측 상불암, 우측 삼막사)를 지나 암릉구간을 잠시 오르게 되면 해발 477m의 삼성산(삼막사 국기봉) 표지석에 도착(삼성산 ~ 15분)
국기봉에서 다시 사거리 방면으로 암릉구간을 내려오다가 좌측의 내리막 길로 내려서면 칠성각 갈림길(좌측)부터는 돌계단길이 시작되고 삼귀자를 거쳐 삼막사에 도착(국기봉 ~ 15분)
삼막사 불이문부터는 우측의 경사진 포장도로를 따라 걷게 되며 반월암과 마애부도를 거쳐 다시 K47 거북바위에 도착(삼막사 ~ 10분)
거북바위에서는 서울대 방면 이정표를 따라 긴 계단길을 내려서게 되며 돌계단길과 완만한 등산로를 따라 K46 제2삼거리(상)를 거쳐 K41 삼거리 약수터에 도착(거북바위 ~ 15분)
이후 계곡을 따라 완만한 등산로가 이어지며 약수터와 K51 용천주, 제4야영장, 약수정, K28 아카시아동산, K27 아카시아숲을 거쳐 호수공원에 도착(삼거리 약수터 ~ 30분)
이후부터는 넓은 도로를 따라 물레방아(갈림길), 가재샘약수터, 만남의 쉼터를 거쳐 관악산 입구에 도착(호수공원 ~ 15분)
<서울둘레길 안내도 - 등산로 입구>
<관악산 둘레길 제2구간 안내도>
<가재샘약수터 안내문과 말라버린 약수터>
<삼성산 성지 방면 이정표(물레방아 앞)>
<갈림길의 물레방아>
<서울둘레길 안내도(물레방아 앞)>
<삼성산 성지 방면 이정표>
<2011년 집중호우에 유실된 나무로 만들었다는 장승들>
<장승 이용 안내문>
<장승들 이후 만나게 되는 배드민턴장>
<돼지바위 입구의 갈림길 이정표>
<배드민턴장 이후 계속되는 계단길>
<삼성산 성지 방면 갈림길 이정표>
<바위 전망대 이용 안내문>
<서울대와 관악산이 조망되는 바위 전망대>
<바위 전망대에서 바라본 관악산 연주대 방면 전경>
<삼성산 성지 방면 이정표>
<삼성산 성지 방면 이정표>
<돌산 국기봉 아래의 쉼터>
<삼성산 성지 방면 이정표>
<삼성산 성지 방면 갈림길 이정표(돌산 국기봉 입구)>
<현위치 K72 돌산 이정표와 돌산 국기봉 이용 안내문>
<돌산 국기봉의 태극기>
<돌산 국기봉에서 바라본 서울대와 관악산 연주대 방면 전경>
<돌산 국기봉에서 바라본 삼성산 방면 전경>
<돌산 국기봉 아래의 운동시설>
<돌산(국기봉) 입구 사거리>
<돌산 국기봉 입구의 서울둘레길 안내도>
<현위치 K71 용화배트민턴 이정표>
<삼성산 성지 방면 이정표>
<칼바위 국기봉 방면의 갈림길 이정표>
<칼바위 방면으로 오르는 급경사 구간>
<칼바위 방면 능선의 기암괴석들>
<칼바위 방면 능서의 기암괴석들>
<현위치 K64 용암천 이정표>
<출입금지 안내 현수막>
<칼바위와 곰바위 방면으로 오르는 암릉구간>
<능선의 기암괴석들>
<삼막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
<곰바위 방면으로 오르는 급경사 구간>
<현위치 K63 곰바위 이정표>
<곰바위 이후의 기암괴석들>
<칼바위 직전의 위험지역 안내문>
<칼바위 국기봉으로 오르는 암릉구간>
<칼바위 국기봉으로 오르는 암릉구간>
<칼바위 국기봉의 태극기>
<칼바위 국기봉 우측으로 우회하는 급경사 등산로>
<멀리서 바라본 칼바위 국기봉>
<칼바위 위험지역 안내문과 샛길폐쇄 안내 현수막>
<칼바위 이후 능선의 기암괴석들>
<칼바위 이후 능선의 CCTV>
<제1야영장 방면으로 가는 완만한 등산로>
<삼막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제1야영장)>
<현위치 K78 제1야영장 이정표>
<제1야영장 부근에 핀 원추리꽃>
<운동장바위 부근에서 발견한 등골나무꽃>
<운동장바위 부근에서 발견한 등골나무꽃>
<현위치 K61 운동장바위 위 이정표>
<장군봉 이후 내려가는 등산로>
<철쭉동산과 삼막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
<좌측의 철쭉고개 방면 하산로>
<장군봉 이후 다시 시작되는 오르막 길>
<현위치 삼-5 깔딱고개 삼거리 이정표>
<삼성산과 삼막사 방면 이정표>
<국기봉 우측으로 우회하는 계단길>
<국기봉으로 오르는 암릉구간과 로프들>
<현위치 K48 국기봉(깃대봉) 이정표>
<국기봉(깃대봉)의 태극기>
<국기봉(깃대봉)에서 바라본 관악산 연주대 방면 전경>
<국기봉(깃대봉)에서 바라본 삼성산 정상의 통신기지 방면 전경>
<국기봉에서 바라본 장군봉 방면 전경>
<국기봉 아래에 설치된 로프들>
<국기봉 앞의 삼막사 방면 이정표>
<현위치 K47 거북바위 이정표>
<거북바위 앞의 원격우량관측장치>
<거북바위 앞의 갈림길 이정표>
<거북바위에서 양쪽으로 갈라지는 포장도로(좌측이 정상 통신기지, 우측이 삼막사 방면)>
<현위치 K44 삼성산 초소 이정표>
<통신기지 앞에서 바라본 국기봉(삼막사) 방면 전경>
<통신기지 앞에서 바라본 통신탑>
<통신기지 철조망을 우회하는 등산로>
<삼성산(해발 481m) 정상 표지석 뒷면>
<삼성산(해발 481m) 정상 표지석 앞면>
<삼성산 정상에서 바라본 국기봉(삼막사) 방면 능선 전경>
<삼성산 정상 주변의 기암괴석들>
<삼성산 정상 주변의 기암괴석들>
<삼성산 정상 주변의 기암괴석들>
<능선에서 바라본 삼성산 정상과 통신기지 방면 전경>
<상불암 방면 이정표>
<현위치 삼-6 국기봉 밑 사거리 이정표>
<삼성산 국기봉(해발 477m) 표지석 앞면>
<삼성산 국기봉(해발 477m) 표지석 뒷면>
<국기봉에서 삼막사 방면으로 내려가는 암릉구간>
<국기봉 부근에 핀 원추리꽃>
<국기봉에서 삼막사로 내려가는 등산로>
<칠성각과 상불암 방면 갈림길 이정표>
<칠성각에서 삼막사로 내려가는 계단길>
<삼귀자와 안내문>
<삼귀자>
<삼귀자 앞의 칠성각과 산신각 방면 갈림길 이정표>
<삼막사 불이문>
<삼성산 삼막사 일주문(불이문)>
<전통사찰 삼막사 안내문>
<삼막사 불이문에서 거북바위로 올라가는 포장도로>
<삼막사 주변에 핀 나리꽃>
<반월암 입구의 표지석>
<마애부도 안내문>
<마애부도>
<거북바위에서 서울대 방면 갈림길 이정표>
<거북바위에서 내려가는 계단길>
<무너미고개 삼거리로 내려가는 돌계단길>
<무너미고개 삼거리 방면으로 내려가는 완만한 하산로>
<주차장과 제4야영장, 무너미삼거리 방면 이정표>
<현위치 K46 제2삼거리(상) 이정표>
<호수공원과 제4야영장 방면 갈림길 이정표(삼거리 약수터)>
<현위치 K41 삼거리 약수터 이정표>
<삼거리 이후의 약수터>
<약수터 이후의 계곡을 건너는 다리>
<호수공원 방면으로 내려가는 완만한 등산로>
<현위치 K51 용천주>
<제4야영장 부근에 핀 루드베키아>
<현위치 K29 제4야영장 이정표와 갈림길 이정표>
<제4야영장의 쉼터 테이블>
<호수공원 방면 이정표(제4야영장)>
<계곡을 건너는 큰 다리>
<등산로 우측에 위치한 약수정>
<아카시아동산 이정표 뒤편의 계곡>
<현위치 K28 아카시아동산 이정표>
<호수공원 방면 이정표 - 모자봉 방면 갈림길>
<현위치 K27 아카시아숲 이정표>
<호수공원의 쉼터>
<호수공원 안내도>
<관악산 주차장 방면 이정표 - 호수공원 입구>
<관악산 철쭉제 안내문>
<관악산 안내문>
<삼성산 성지 방면 갈림길 이정표 - 물레방아 삼거리>
<도로에 나온 도롱뇽>
<가재샘약수터 안내문>
<서울둘레길 서울대 방면 이정표>
<관악산 작은 만남의 쉼터>
'산행기록(2010년대) > 산행기록(2014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강산(인천 강화, 2014.07.21) - 제505회 (0) | 2014.07.25 |
---|---|
안산(서울 서대문, 2014.07.19) - 제504회 (0) | 2014.07.22 |
인왕산(서울 종로, 2014.07.13) - 제502회 (0) | 2014.07.14 |
가현산(경기 김포, 2014.07.06) - 제501회 (0) | 2014.07.10 |
설악산(강원 속초, 2014.07.04) - 제500회(2) (0) | 2014.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