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보고서<1553>
1. 산행지 : 지 리 산(바래봉 1,165m/1,167m)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2. 산행일 : 2024년 2월 17일(토) / 당일산행
3. 산행자 : 푸른산하산악회 정기산행(총 15명)
4. 산행로
발산역(05:45)→사당역(06:40 / 지하철)→출발(07:00)
→전라북도교육청 학생수련원 주차장(10:52 / 전세버스)→산행 출발(10:56)
→학생수련원(11:00)
→백두대간 생태교육장(트리하우스 / 11:05 / [우측] 세걸산-3.9Km / [후] 전라북도 학생교육원-0.5Km)
→이정표(11:13 / [우측] 전망대-95m / [후] 트리하우스-150m / [직진] 솔뫼쉼터[데크로드]-320m / [좌측] 관리사무소-60m)
→이정표(11:17 / [직진] 세동치-1.7Km / [후] 전북학생수련원-0.1Km)
→이정표(지리[전북] 22-01 / 해발 711m / 11:17 / [직진] 세동치 / [후] 학생수련원)
→이정표(지리[전북] 22-02 / 해발 781m / 11:25 / [직진] 세동치 / [후] 학생수련원)
→이정표(임도 / 11:37 / [직진] 세동치-1.2Km / [후] 전북학생수련원-0.6Km)
→이정표(지리[전북] 22-03 / 해발 912m / 11:49 / [직진] 세동치 / [후] 학생수련원)
→이정표(11:53 / [직진] 세동치-0.8Km / [후] 전북학생수련원-1.0Km)
→이정표(지리[전북] 22-04 / 해발 988m / 12:00 / [직진] 세동치 / [후] 학생수련원)
→이정표(지리[전북] 22-05 / 해발 1,107m / 12:22 / [직진] 세동치 / [후] 학생수련원)
→세동치(해발 1,107m / 12:24 / [좌측] 바래봉-5.1Km / [후] 전북학생수련원-1.8Km / [우측] 정령치-4.3Km)
→이정표(지리[전북] 19-09 / 해발 1,108m / 12:24 / [우측] 고리봉 / [좌측] 팔랑치)→봉우리(12:33)
→이정표(국가지점번호 / 12:54 / 점심)
→이정표(지리[전북] 19-10 / 해발 1,440m / 13:51 / [직진] 팔랑치 / [후] 세동치)
→이정표(지리[전북] 19-11 / 해발 1,086m / 14:00 / [직진] 팔랑치 / [후] 세동치)
→이정표(부운치 해발 1,061m / 14:00 / [직진] 바래봉-3.0Km / [후] 세걸산-2.6Km / [후] 정령치-6.4Km / [우측] 부운마을-3.0Km)
→헬기장(삼각점 / 14:10)
→이정표(지리[전북] 19-12 / 해발 1,038m / 14:18 / [직진] 팔랑치 / [후] 세동치)
→이정표(14:21 / [직진] 바래봉-2.3Km / [후] 정령치-7.1Km / [좌측] 산덕 임도-0.6Km)
→이정표(지리[전북] 19-13 / 해발 1,004m / 14:24 / [직진] 팔랑치 / [후] 세동치)
→이정표(지리[전북] 19-14 / 해발 995m / 14:27 / [직진] 팔랑치 / [후] 세동치)
→이정표(지리[전북] 19-15 / 해발 1,018m / 14:35 / [직진] 팔랑치 / [후] 세동치)
→팔랑치(해발 989m / 14:39 / [직진] 바래봉-1.5Km / [후] 정령치-7.9Km / [우측] 팔랑마을-2.0Km)
→이정표(지리[전북] 19-16 / 해발 1,035m / 14:55 / [직진] 바래봉 삼거리 / [후] 팔랑치)
→이정표(지리[전북] 19-17 / 해발 1,060m / 15:02 / [직진] 바래봉 삼거리 / [후] 팔랑치)
→이정표(바래봉 삼거리 / 15:08 / [우측] 바래봉-0.6Km / [후] 산철쭉 군락지-0.9Km / [후] 정령치-8.8Km / [좌측] 용산주차장-4.2Km)
→이정표(지리[전북] 19-18 / 해발 1,079m / 15:08 / [우측] 바래봉 / [좌측] 용산리)
→이정표(15:16 / [좌측] 바래봉-0.3Km / [좌측] 월평마을-5.2Km / [후] 용산주차장-4.6Km / [후] 정령치-9.2Km)
→전망대 데크(15:21)
→바래봉(해발 1,165m / 15:27 / [후] 용산주차장-4.8Km / [후] 정령치-9.4Km / [직진] 월평마을-5.0Km)→하산(15:40)
→전망대 데크(15:45)
→이정표(15:48 / [우측] 용산주차장-4.6Km / [우측] 정령치-9.2Km / [후] 바래봉-0.3Km / [후] 월평마을-5.2Km)
→샘터(식수대 / 15:51)
→이정표(지리[전북] 19-18 / 해발 1,079m / 15:54 / [직진] 용산리 / [후] 바래봉)
→이정표(바래봉 삼거리 / 15:54 / [우측] 용산주차장-4.2Km / [후] 바래봉-0.6Km / [좌측] 산철쭉 군락지-0.9Km / [좌측] 정령치-8.8Km)
→이정표(지리[전북] 19-19 / 해발 1,014m / 16:00 / [직진] 용산리 / [후] 바래봉)
→바래봉5 안전쉼터(16:00)
→이정표(지리[전북] 19-20 / 해발 957m / 16:05 / [직진] 용산리 / [후] 바래봉)
→바래봉4 안전쉼터(16:05)
→이정표(16:05 / [직진] 용산주차장-3.2Km / [후] 바래봉-1.6Km / [후] 정령치-9.8Km)
→바래봉3 안전쉼터(16:09)
→이정표(지리[전북] 19-21 / 해발 947m / 16:10 / [직진] 용산리 / [후] 바래봉)
→바래봉2 안전쉼터(16:13)
→이정표(지리[전북] 19-22 / 해발 947m / 16:14 / [직진] 용산리 / [후] 바래봉)
→바래봉1 안전쉼터(16:17)
→이정표(지리[전북] 19-23 / 해발 868m / 16:20 / [직진] 용산리 / [후] 바래봉)
→바래봉 탐방로 입구(운봉 아래 / 16:26)
→이정표(16:33 / [직진] 용산주차장-1.3Km / [후] 바래봉-3.5Km)
→이정표(16:33 / [직진] 용산-2.4Km / [후] 바래봉-3.5Km / [우측] 화신-3.0Km)
→전망대 데크(16:40)
→바래봉 운지사 삼거리 안내소(16:46 / [우측] 용산-1.5Km / [후] 바래봉-4.2Km)
→용산주차장(용산마을 / 허브밸리 / 16:59)→운봉(17:20 / 뒤풀이)→사당역(21:40 / 전세버스)→발산역(22:45 / 지하철)
※ 총산행시간 : 6시간 3분
※ 총산행거리 : 13.90Km
5. 교통편
⇒ 발산역을 출발(05:55 탑승)하여 영등포구청역(06:10 도착, 06:16 탑승, 지하철 5호선)을 거쳐 사당역(지하철 2호선)까지 지하철 이용(0:44 소요 / 1,120원 + 200원)
⇒ 사당역을 출발하여 경부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순천 전주고속도로→오수TG를 거쳐 전라북도 학생수련원 주차장까지 전세버스 이용(3:52 소요)
⇒ 운봉 용산주차장을 출발하여 운봉(뒤풀이)→남원TG→광주 대구고속도로→남원IC→순천 완주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천안 논산고속도로→경부고속도로를 거쳐 사당역(21:40)까지 전세버스 이용(3:20 소요)
⇒ 사당역을 출발(21:51 탑승)하여 영등포구청역(22:12 도착, 22:18 탑승, 지하철 2호선)을 거쳐 발산역(22:33, 지하철 5호선)까지 지하철 이용(0:42 소요 / 1,400원 + 200원)
6. 산행비
산 행 비 60,000원
교 통 비 2,920원
물품구입 2,980원
합 계 65,900원
7. 산 행
전라북도 교육청 학생수련원 입구 주차장에서 산행 시작.
도로를 따라 걷게 되면 학생수련원 입구를 지나 백두대간 생태교육장(트리하우스) 앞에 도착하게 되며 이후 이정표를 따라 우측의 세걸산 방면 진입. 이어 사거리 갈림길 이정표가 있는 곳에서 우측의 전망대 방면으로 데크 계단길을 올라선 뒤 세동치 방면 이정표를 따라 본격적인 산행 시작. 지리(전북) 22-01 이정표를 지나 오르막 길을 오르게 되면 임도를 지나 계속해서 세동치 방면으로 완만한 오르막 길의 연속. 지리(전북) 22-05 이정표를 지나 해발 1,107m의 삼거리 갈림길인 세동치에 도착. 학생수련원에서 1.8Km 거리로 1시간 30분여 소요.
세동치에서 좌측의 바래봉 방면으로 완만한 능선길이 이어지다가 작은 봉우리 이후 급경사 내리막 길과 능선길을 걷게 되면 해발 1,061m의 부운치에 도착. 세동치에서 2.1Km 거리. 부운치에서 계속해서 바래봉 방면으로 완만한 능선길이 이어지며 좌측의 산덕 임도 방면 갈림길, 철쭉 군락지, 데크 등산로 등을 지나 팔랑치에 도착. 이후로도 완만한 능선길이 이어지며 지리산 바래봉 훼손지 복원 안내문 등을 지나 바래봉 삼거리에 도착. 삼거리에서 우측의 바래봉 방면으로 임도를 따라 걷게 되며 바래봉 0.3Km 이정표를 지나면서부터 경사진 오르막 길을 오르게 되면 해발 1,165m의 바래봉 정상에 도착.
바래봉 정상에서 올라온 길을 따라 다시 내려선 뒤 바래봉 삼거리에서 우측의 용산 주차장 방면으로 하산. 하산로는 완만한 구간과 경사진 구간의 반복으로 바래봉 5번부터 1번까지 데크 안전쉼터를 지나게 되며 생태계 교란 야생생물 안내문이 있는 바래봉 탐방로 입구(운봉 아래), 화신(우측) 방면 갈림길 삼거리, 전망대 데크, 바래봉 운지사 삼거리 안내소 등을 지나면서부터는 임도가 시작되고 우측의 지리산 자생식물환경공원, 지리산 운봉 바래봉 철쭉 표지석 등을 지나 용산주차장에 도착.
8. 산행 사진
<연수원 주차장의 백두대간 생태교육장 체험 휴양시설 안내도>
<전라북도 학생교육원에서 세걸산 방면 이정표>
<백두대간 생태교육장 체험 휴양시설 건물 전경>
<트리하우스에서 전망대와 솔뫼쉼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등산로 입구의 입산시간 제한 안내문>
<전북 학생 수련원에서 세동치 방면 이정표>
<지리(전북) 22-01 이정표>
<지리(전북) 22-02 이정표>
<백두대간 생태교육장 체험 휴양시설 방면 이정표(임도)>
<전북 학생 수련원에서 세동치 방면 이정표>
<전북 학생 수련원에서 세동치 방면 중턱의 임도>
<지리(전북) 22-03 이정표>
<전북 학생 수련원에서 세동치 방면 이정표>
<전북 학생 수련원에서 세동치 방면 중턱의 숲속 전경>
<지리(전북) 22-04 이정표>
<지리(전북) 22-05 이정표>
<전북 학생 수련원에서 바래봉과 정령치 방면 갈림길 이정표(세동치)>
<세동치의 탐방로 안내도>
<세동치 부근 봉우리에서 바라본 지리산 주능선 방면 전경>
<세동치에서 부운치 방면 능선의 국가지점번호 이정표>
<지리(전북) 19-10 이정표>
<지리(전북) 19-11 이정표>
<정령치에서 바래봉과 부운마을 방면 갈림길 이정표(부운치)>
<부운치 부근의 공터 전경>
<부운치에서 팔랑치 방면 능선의 공터 전경>
<부운치에서 팔랑치 방면 능선의 삼각점>
<지리(전북) 19-12 이정표>
<정령치에서 바래봉과 산덕 임도 방면 갈림길 이정표>
<부운치에서 팔랑치 방면 능선의 철쭉길>
<지리(전북) 19-13 이정표>
<지리(전북) 19-14 이정표>
<지리산 바래봉 훼손지 복원 안내문(부운치-팔랑치)>
<팔랑치 부근에서 바라본 바래봉 방면 능선 전경>
<지리(전북) 19-15 이정표>
<정령치에서 바래봉과 팔랑마을 방면 갈림길 이정표(팔랑치)>
<팔랑치 부근의 버들강아지>
<팔랑치 부근의 버들강아지>
<팔랑치의 탐방로 안내도>
<지리(전북) 19-16 이정표>
<지리(전북) 19-17 이정표>
<팔랑치에서 바래봉 방면 눈쌓인 등산로 전경>
<정령치에서 바래봉과 용산주차장 방면 갈림길 이정표>
<지리(전북) 19-18 이정표>
<정령치와 용산주차장에서 바래봉 방면 이정표>
<바래봉에서 바라본 지리산 전망 안내도>
<바래봉 정상 아래 전망대 데크에서 바라본 지리산 천왕봉 방면 전경>
<바래봉 정상 아래 전망대 데크에서 바라본 정령치 방면 전경>
<바래봉 정상의 이정표>
<바래봉 정상 표지석>
<바래봉에서 바라본 지리산 천왕봉 방면 전경>
<바래봉에서 용산주차장 방면 하산로 전경>
<바래봉에서 내려서는 데크 등산로 전경>
<바래봉에서 용산주차장과 정령치 방면 하산로 이정표>
<바래봉에서 용산주차장과 정령치 방면 하산로 갈림길 이정표>
<지리(전북) 19-19 이정표>
<바래봉5 안전쉼터 이정표>
<지리(전북) 19-20 이정표>
<바래봉4 안전쉼터 이정표>
<바래봉에서 용산주차장 방면 하산로 이정표>
<바래봉3 안전쉼터 이정표>
<바래봉2 안전쉼터 이정표>
<지리(전북) 19-22 이정표>
<바래봉1 안전쉼터 이정표>
<지리(전북) 19-23 이정표>
<운봉산악회의 철쭉샘 표지석>
<바래봉 탐방로 입구의 지리산 국립공원 안내도>
<바래봉 탐방로 입구 이정표(운봉)>
<운봉 입구의 지리산 국립공원 안내도>
<운봉 입구의 탐방로 안내도>
<바래봉에서 용산주차장 방면 하산로 이정표>
<바래봉에서 용산과 화신 방면 갈림길 이정표>
<바래봉 지리산 둘레길 안내도>
<바래봉에서 용산주차장 방면 하산로의 철쭉 전망대 데크>
<전라북도 대표 철쭉 관측 군락지 안내문>
<용산주차장 방면 등산로의 입산시간 제한 안내문>
<운봉로타리클럽의 바래봉 식수대 방면 이정표>
<바래봉에서 용산 방면 이정표와 안내소 건물>
<운지사 입구의 표지석>
<지리산 운봉 바래봉 철쭉 표지석>
<용산마을의 유래 안내문>
<용산주차장의 지리산 허브밸리 이정표>
<트랭글 산행기록>
<트랭글 네이버 산행지도>
'산행기록(2020년대) > 산행기록(2024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악산(충북 괴산, 2024.02.24) - 제1555회 (1) | 2024.02.25 |
---|---|
인왕산(서울 종로, 2024.02.22) - 제1554회 (1) | 2024.02.23 |
북한산(서울 강북, 2024.02.12) - 제1552회 (1) | 2024.02.14 |
계양산(인천 계양, 2024.02.09) - 제1551회 (1) | 2024.02.13 |
소백산(충북 단양, 2024.02.03) - 제1550회 (1) | 2024.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