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록(2020년대)/산행기록(2024년)

예봉산/적갑산(경기 남양주, 2024.01.06) - 제1534회

mouner(마우너) 2024. 1. 6. 19:30

산행보고서<1534>

 

 

1. 산행지 : 예봉산(禮峯山, 해발 683m), 적갑산(해발 560m)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조안면

 

2. 산행일 : 2024년 1월 6일(토) / 당일산행

 

3. 산행자 : 푸른산하산악회 개별산행(총 7명)

 

4. 산행로

발산역(07:43)→팔당역(09:31 / 지하철)→산행 출발(09:42)

→만남의집(식당 / 09:50)

→예봉산 표지석(10:33)

→이정표(10:36 / [좌측] 예봉산[정상]-2.00Km / [후] 팔당역-0.88Km / [직진] 율리봉-2.70Km)

→이정표(10:39 / [직진] 예봉산-1.97Km / [후] 팔당역-0.91Km)

→이정표(10:40 / [직진] 예봉산-1.94Km / [후] 팔당역-0.94Km)

→이정표(10:47 / [직진] 예봉산-1.66Km / [후] 팔당역-1.22Km)

→이정표(쉼터 / 10:58 / [우측] 예봉산[정상]-1.43Km / [후] 팔당2리 회관-1.29Km / [후] 팔당역-1.45Km)

→이정표(11:10 / [직진] 예봉산-1.18Km / [후] 팔당역-1.70Km)

→이정표(11:25 / [직진] 예봉산-0.91Km / [후] 팔당역-1.97Km)

→이정표(쉼터 / 11:44 / [직진] 예봉산-0.73Km / [후] 팔당역-2.15Km)

→전망대(11:49)

→이정표(예봉산 삼거리 / 11:57 / [직진] 정상-0.25Km / [후] 팔당1리[계단 있음]-2.0Km / [우측] 팔당1리[계단 없음]-2.3Km)

→이정표(휴게소 / 12:11 / [직진] 0.18Km / [후] 팔당1리-2.1Km)

→이정표(12:11 / [직진] 예봉산-0.18Km / [후] 팔당역-2.70Km)

→예봉산(현위치 1-5 예봉산 정상 / 해발 683m / 12:19 / [좌측] 적갑산-1.70Km / [후] 팔당역-2.88Km / [우측] 율리봉-700m)→하산(12:21)

→억새밭(12:43 / 점심 / 13:49 출발)

→예봉산 활공장(13:57)

→철쭉 군락지(14:08)

→물푸레나무 군락지(14:11)

→적갑산(14:20 / [좌측] 3.5Km / [후] 예봉산-1.7Km / [직진] 새재고개-1.9Km)

→송전탑(51번 / 15:19)

→도곡리 등산로 입구(15:33)

→어룡마을 표지석(15:43)

→도심역(16:04)→발산역(17:58 / 지하철)

※ 총산행시간 : 6시간 21분

※ 총산행거리 : 8.76Km

 

5. 교통편

⇒ 발산역을 출발(07:51 탑승)하여 공덕역(08:18 도착, 08:28 탑승, 지하철 5호선)을 거쳐 팔당역(경의중앙선)까지 지하철 이용(1:40 소요 / 1,400원 + 800원)

⇒ 도심역을 출발(16:17 탑승)하여 공덕역(17:18 도착, 17:23 탑승, 경의중앙선)을 거쳐 발산역(지하철 5호선)까지 지하철 이용(1:32 소요 / 1,400원 + 700원)

 

6. 산행비 : 교 통 비 4,300원

 

7. 산 행

경의중앙선의 팔당역에서 도로를 따라 좌측으로 가다가 팔당2리(예봉산 입구) 표지석이 있는 삼거리 갈림길에서 다시 좌측으로 가게 되면 굴다리를 통과. 식당들이 있는 마을길을 지나 예봉산(좌측)과 율리봉(우측) 방면 갈림길 이정표와 등산안내도 등이 있는 곳에서 좌측의 예봉산 방면으로 들어서면서부터 본격적인 산행 시작.

완만한 오르막 길이 시작되고 몇 번의 예봉산 방면 이정표를 지나게 되면 팔당역 방면에서 오르는 길과 만나게 되는 삼거리 갈림길에 도착. 이곳에서부터는 우측 방면의 경사진 오르막 길을 오르게 되며 급경사 계단길을 오르면 넓은 공터의 쉼터와 전망대 데크에 도착. 이후 로프 등이 설치된 급경사 구간, 예봉산 삼거리 이정표, 계단길, 휴게소 이정표 등을 지나 해발 683m의 예봉산 정상에 도착. 팔당역에서 2.88Km 거리로 약 1시간 30분여 소요. 정상 직전 우측에는 강우레이더 관측소가 있고 정상 아래에는 막걸리 등을 파는 간이 휴게소가 있으며 정상에는 정상 표지석, 삼각점, 이정표, 강우레이더 관측소 안내문, 데크 쉼터, 망원경 등이 설치.

예봉산 정상에서 좌측의 적갑산 방면으로 하산. 경사진 내리막 길을 내려선 뒤 능선길을 20분여 걷게 되면 테이블 등이 있는 억새밭에 도착. 이후 능선길을 걷게 되면 예봉산 활공장을 지나게 되며 이후 철쭉 군락지, 물푸레나무 군락지 안내문 등을 지나 철문봉을 우측으로 우회하게 되면 해발 560m의 적갑산 정상에 도착. 적갑산 정상에서 좌측의 도심역 방면으로 급경사 내리막 길을 내려서게 되며 1시간여를 내려서게 되면 도곡리 마을에 도착. 이후 마을길을 따라 도심역까지 이동.

 

8. 산행 사진

<팔당역 입구 전경>

 

<예봉산 입구의 표지석>

 

<예봉산 마을 맛집 안내도>

 

<예봉산 정상과 율리봉 방면 갈림길 이정표>

 

<예봉산 입구의 예봉산 운길산 등산로 안내도>

 

<팔당역에서 예봉산 방면 이정표>

 

<팔당역에서 예봉산 방면 이정표>

 

<팔당역에서 예봉산 방면 이정표>

 

<팔당역과 팔당2리 회관에서 예봉산 방면 이정표>

 

<팔당역에서 예봉산 방면 이정표>

 

<예봉산 방면 이정표>

 

<팔당역에서 예봉산 방면 중턱에서 바라본 검단산 방면 전경>

 

<팔당역에서 예봉산으로 오르는 계단길>

 

<팔당역에서 예봉산 방면 중턱에서 바라본 팔당대교와 하남 방면 전경>

 

<팔당역에서 예봉산 방면 이정표>

 

<팔당역에서 예봉산 방면 중턱의 전망대 데크>

 

<팔당역에서 예봉산 방면 중턱에서 바라본 검단산과 팔당대교 방면 전경>

 

<예봉산 삼거리 이정표>

 

<팔당역에서 예봉산 정상 방면 등산로의 돌무덤>

 

<팔당역에서 예봉산 방면 이정표>

 

<팔당역에서 예봉산 정상 방면 중턱의 휴게소 이정표>

 

<팔당역에서 예봉산 정상으로 오르는 계단길>

 

<예봉산 정상의 강우레이더기지 시설 전경>

 

<예봉산 정상 표지석>

 

<예봉산산악회의 예봉산 정상 표지석>

 

<예봉산 정상 표지석>

 

<예봉산 정상의 삼각점>

 

<예봉산 정상의 현위치 1-5 예봉산 정상 이정표>

 

<적갑산과 율리봉 방면 이정표>

 

<예봉산 정상에서 바라본 철문봉과 적갑산 방면 전경>

 

<예봉산 정상에서 바라본 율리봉과 운길산 방면 전경>

 

<예봉산에서 적갑산 방면 능선의 억새밭 안내문>

 

<억새밭에서 바라본 예봉산 정상 방면 전경>

 

<예봉산 활공장 부근의 동국대학교 학술림 경고문>

 

<예봉산 활공장에서 바라본 주변 전경>

 

<예봉산 활공장에서 바라본 한강 방면 전경>

 

<예봉산 활공장에서 적갑산 방면 능선의 철쭉 군락지 안내문>

 

<예봉산 활공장에서 적갑산 방면 능선의 물푸레나무 군락지 안내문>

 

<예봉산 활공장에서 철문봉 우회로의 눈쌓인 설경>

 

<도심역과 새재고개 방면 갈림길 이정표>

 

<적갑산 정상 표지석>

 

<적갑산에서 도심역 방면으로 내려가는 급경사 하산로>

 

<적갑산에서 도심역 방면 하산로의 51번 송전탑>

 

<적갑산에서 도심역 방면 하산로 전경(도곡리)>

 

<어룡마을 입구의 표지석>

 

<트랭글 산행기록>

 

<트랭글 네이버 산행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