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보고서<1432>
1. 산행지 : 화 악 산(華岳山, 중봉 해발 1.446.1m)
경기도 가평군 북면.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2. 산행일 : 2023년 2월 19일(일) / 당일산행
3. 산행자 : 푸른산하산악회 정기산행(총 15명)
그린별 들국화 마우너 미소천사 미카 민들레 소나무 윤마리 이슬 일어나 추분 페트릭 포비 하늘 하니비
4. 산행로
발산역(05:40)→사당역(06:28 / 지하철)
→관청리(08:55 / 전세버스)
→산행 출발(09:13 / [좌측] 가마소폭포-1.2Km / [좌측] 중봉[화악산]-5.7Km)
→이정표(09:22 / [후] 관청교-300m)
→이정표(중봉 2-1 / 09:24 / [직진] 중봉-5.25Km / [후] 버스정류장-0.45Km / [우측] 종합안내판-0.55Km)
→이정표(중봉 2-2 / 09:36 / [직진] 중봉-4Km / [후] 관청리-1.0Km / [좌측] 포토존-10m)
→이정표(중봉 2-3 / 09:49 / [직진] 중봉-3.80Km / [후] 포토존-200m / [후] 관청리-1.20Km / [우측] 애기봉-2.0Km)
→이정표(중봉 2-4 / 10:07 / [직진] 중봉 정상-3.0Km / [후] 관청리-2.0Km / [우측] 중봉 정상-3.3Km / [우측] 애기봉-3.3Km)
→이정표(중봉 2-10 / 10:31 / [직진] 중봉-2.6Km / [후] 관청리-2.2Km)
→이정표(중봉 2-11 / 11:15 / [직진] 중봉-2.3Km / [후] 관청리-3.0Km)
→이정표(중봉 1-5 / 11:57 / [우측] 중봉 정상-1.6Km / [후] 관청리-3.7Km / [좌측] 적목리 가림[약속의 섬]-3.8Km)
→이정표(중봉 1-6 / 12:52 / [우측] 중봉 정상-0.5Km / [후] 적복리 가림[약속의 섬]-4.9Km / [직진] 삼팔교-6Km / [직진] 석룡산 정상-3.6Km)
→이정표(중봉 2-7 / 13:09 / [직진] 중봉 정상-200m / [후] 적목리 가림-5.5Km / [후] 관청리-5.0Km / [우측] 애기봉-3.4Km)
→이정표(중봉 2-8 / 13:11 / [직진] 중봉 정상-100m / [후] 애기봉-3.5Km)
→이정표(중봉 2-9 / 13:13 / [직진] 중봉 정상-50m / [후] 애기봉-3.6Km)
→이정표(중봉 3-11 / 13:15 / [직진] 중봉 정상 / [후] 애기봉-3.6Km / [후] 관청리-5.2Km / [우측] 화악리 건들내-5.9Km)
→중봉(13:16 / 점심)→하산(14:35)
→이정표(중봉 3-10 / 14:38 / [직진] 화악리 건들내-5.7Km / [후] 중봉 정상-0.2Km / [후] 애기봉-3.8Km / [후] 관청리-5.4Km)
→이정표(중봉 3-9 / 14:52 / [직진] 실운현-3.2Km / [후] 중봉 정상-0.7Km / [우측] 화악리 건들내-5.2Km)
→이정표(사거리 갈림길 / 15:30 / [직진] 공군 제8979부대-2.6Km / [후] 제8386부대)
→화악터널(15:54)→쉼터(15:56)→출발(16:00)→한림송어횟집(16:28 / 뒤풀이)→출발(17:55)→사당역(19:55 / 전세버스)→발산역(20:55 / 지하철)
※ 총산행시간 : 6시간 42분
※ 총산행거리 : 9.97Km(트랭글 에러, 실제 12.61Km)
5. 교통편
⇒ 발산역을 출발(05:48 탑승)하여 영등포구청역(06:04, 지하철 5호선)을 거쳐 사당역(지하철 2호선)까지 지하철 이용(0:40 소요 / 1,000원 + 200원)
⇒ 사당역을 출발(07:00)하여 서울-양양고속도로→화도TG(07:40)→대성리역(07:50)을 거쳐 관청리까지 전세버스 이용(1:55 소요)
⇒ 화악터널을 출발(16:00)하여 한림송어횟집(16:28 도착, 17:55 출발)→대성리역(18:45)을 거쳐 사당역까지 전세버스 이용(0:28 + 2:00 소요)
⇒ 사당역을 출발하여 영등포구청역(20:22, 지하철 2호선)을 거쳐 발산역(지하철 5호선)까지 지하철 이용(1:00 소요 / 1,250원 + 200원)
6. 산행비
산 행 비 30,000원
물품구입 5,700원
교 통 비 2,650원
합 계 38,350원
7. 산 행
관청리에서 반야사, 중봉(화악산), 가마소폭포 방면 이정표를 따라 마을길을 걷기 시작. 도로가 끝나면서 비포장의 임도가 시작되고 포토존을 지나면서 본격적인 산행 시작. 우측의 애기봉 방면 갈림길(중봉 2-3 이정표)을 지나 다시 우측의 애기봉, 중봉 정상 방면 삼거리 갈림길(중봉 2-4 이정표)에서 중봉 정상 방면으로 계곡을 따라 직진. 잣나무 숲을 지나면서 경사진 오르막 길이 시작되고 로프와 나무 계단 등을 오르게 되면 좌측의 적목리에서 오르는 등산로와 만나는 삼거리 갈림길(중봉 1-5 이정표)에 도착. 계속해서 우측의 중봉 정상 방면으로 경사진 오르막 길(로프 등 설치)을 오르게 되면 삼팔교와 석룡산 정상 방면 등산로와 만나는 삼거리 갈림길(중봉 1-6 이정표)을 지나면서 잠시 짧은 암릉구간 등을 지난 뒤 완만한 능선길 시작. 이후 우측의 애기봉 방면 등산로와 만나는 삼거리 갈림길(중봉 2-7 이정표) 등을 지나 한반도의 중심이라고 하는 해발 1,446.1m의 화악산 중봉에 도착. 관청리에서 5.2Km 거리로 4시간여 소요.
화악산 중봉에서 좌측의 화악리 건들내 방면으로 급경사 내리막 길을 내려서게 되면 좌측의 화악산 정상(군부대)과 화악터널 방면으로 연결되는 도로와 만나게 되며 이후 도로를 따라 하산. 우측의 화악리 건들내(5.2Km) 방면 삼거리 갈림길(중봉 3-9 이정표)에서 계속해서 실운현 방면으로 도로를 따라 내려가게 되면 좌측의 넓은 공터를 지나 공군 제8979부대 방면 등과 갈라지는 사거리 갈림길에 도착. 사거리 갈림길에서 좌측의 임도를 따라가다가 우측의 경사진 등산로로 내려서게 되면 넓은 공원의 화악터널 입구에 도착. 중봉 정상에서 1시간 20분여 소요.
8. 산행 사진
<관청리 등산로 입구의 이정표>

<관청마을 버스정류장의 버스 노선도>

<관청마을의 주차장 안내문>

<관청교 방면 하산로 이정표>

<중봉과 종합 안내판 방면 갈림길 이정표(중봉 2-1)>

<관청마을에서 중봉으로 가는 임도 종점>

<포토존 입구의 이정표(중봉 2-2)>

<포토존 부근의 목재 다리>

<다리에서 내려다 본 포토존 앞의 계곡 전경>

<포토존 부근 다리에서 바라본 계곡 전경>

<중봉과 애기봉 방면 갈림길 이정표(중봉 2-3)>

<관청마을에서 중봉 방면 계곡 전경>

<중봉 정상과 애기봉 방면 갈림길 이정표(중봉 2-4)>

<관청마을에서 중봉 방면 등산로 전경>

<관청리에서 중봉 방면 이정표(중봉 2-10)>

<관청마을에서 중봉 방면 등산로 중턱의 잣나무 숲 전경>

<관청리에서 중봉 방면 이정표(중봉 2-11)>

<관청마을에서 중봉 방면 급경사 오르막 길>

<관청마을에서 중봉 방면으로 오르던 중 바라본 파란 하늘>

<관청마을에서 중봉 방면으로 오르는 나무 계단길>

<중봉 정상과 적목리 방면 갈림길 이정표(중봉 1-5)>

<관청리와 적목리 방면 갈림길 부근의 안부 쉼터>

<중봉 방면 능선에서 바라본 파란 하늘과 구름>

<중봉 방면 능선의 소나무 한그루>

<중봉 방면 능선의 상고대>

<중봉 방면 능선의 눈쌓인 기암괴석>

<중봉 방면 능선의 기암괴석>

<중봉 방면 능선에서 바라본 상고대와 파란 하늘>

<중봉 방면 능선의 암릉구간>

<중봉 정상과 석룡산 방면 갈림길 이정표(중봉 1-6)>

<중봉 방면 능선의 암릉구간>

<중봉 방면 능선에서 바라본 화악산 정상 방면 전경>

<중봉 방면 능선에서 바라본 화악산 정상 방면 설경>

<중봉 방면 능선 주변의 설경>

<중봉 정상 방면 능선의 설경>

<중봉 정상과 애기봉 방면 갈림길 이정표(중봉 2-7)>

<애기봉에서 중봉 정상 방면 이정표(중봉 2-8)>

<중봉 정상 아래의 고사목>

<애기봉에서 중봉 정상 방면 이정표(중봉 2-9)>

<화악리 건들내와 관청리 방면 갈림길 이정표(중봉 3-11)>

<중봉 정상에서 바라본 석룡산 방면 전경>

<중봉 정상의 안내문>

<중봉 정상 표지석>

<중봉 정상 표지석 뒷면(한반도의 중심)>

<중봉 정상에서 화악터널 방면 급경사 하산로>

<화악리 건들내 방면 하산로 이정표(중봉 3-10)>

<중봉 정상 아래에서 바라본 매봉 방면 전경>

<중봉 정상 아래 임도에서 바라본 화악산 정상 방면 전경>

<실운현과 화악리 건들내 방면 갈림길 이정표(중봉 3-9)>

<중봉에서 화악터널 방면 임도 전경>

<중봉에서 화악터널 방면 임도 좌측의 공터 전경>

<중봉과 매봉 사이의 사거리 갈림길>

<사거리 갈림길의 공군 제8386부대 이정표>

<매봉 공군 제8979부대 방면 이정표>

<화악터널 방면 하산로에서 바라본 화천 방면 도로 전경>

<화악터널 입구의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이정표>

<화악터널 전경>

<화악터널 입구의 정자 전경>

<트랭글 산행기록(추분)>

<트랭글 네이버 산행지도>

'산행기록(2020년대) > 산행기록(2023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산(서울 은평, 2023.02.26) - 제1434회 (0) | 2023.03.02 |
---|---|
월악산(충북 제천, 2023.02.25) - 제1433회 (0) | 2023.02.27 |
내변산(전북 부안, 2023.02.12) - 제1431회 (0) | 2023.02.20 |
수락산(서울 노원, 2023.02.11) - 제1430회 (0) | 2023.02.15 |
대둔산(전북 완주, 2023.02.05) - 제1429회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