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보고서<1362>
1. 산행지 : 남 산(南山, 금오봉[金鰲山] 468/471m)
경상북도 경주시
2. 산행일 : 2022년 6월 12일(일) / 당일산행
3. 산행자 : 좋은사람들산악회 정기산행(총 32명)
4. 산행로
발산역(05:40)→합정역(06:10 / 지하철)→출발(06:30)
→삼릉 주차장(10:58)→산행 출발(10:58)
→삼릉탐방지원센터(11:00)
→이정표(11:04 / [우측] 삼릉-60m / [우측] 상선암-1.35Km / [우측] 금오봉-2.35Km / [후] 삼릉 주차장-0.25Km / [직진] 삼불사-500m)
→이정표(11:05 / [좌측] 상선암-1.3Km / [좌측] 금오봉-2.3Km / [후] 삼불사-550m / [후] 삼릉 주차장-0.3Km)
→삼릉계 제1사지 탑재(11:10)
→이정표(경주 05-01 / 해발 117m / 11:11 / [직진] 금오봉 / [후] 삼릉 주차장)
→삼릉계 제2사지(11:13)
→이정표(11:14 / [좌측] 삼릉계 제2사지 석조여래좌상 / [좌측] 마애관음보살상-50m / [후] 삼릉 주차장-0.75Km / [직진] 상선암-0.85Km / [직진] 금오봉-1.85Km)
→이정표(11:14 / [직진] 상선암-0.8Km / [직진] 금오봉-1.8Km / [후] 삼릉 주차장-0.8Km)
→이정표(11:17 / [좌측] 삼릉계곡 선각 육존불-0.02Km / [후] 삼릉 주차장-0.9Km / [직진] 상선암-0.7Km / [직진] 금오봉-1.7Km)
→삼릉계곡 선각 육존불(11:18)
→이정표(경주 05-02 / 해발 178m / 11:23 / [직진] 상선암-0.5Km / [직진] 금오봉-1.5Km / [후] 삼릉 주차장-1.1Km)
→삼릉계 석조여래좌상(제6사지 / 11:26)
→이정표(11:32 / [좌측] 상선암-0.35Km / [좌측] 금오봉-1.35Km / [후] 삼릉계 석조여래좌상-40m / [우측] 삼릉 주차장-1.25Km)
→이정표(경주 05-03 / 해발 262m / 11:38 / [직진] 금오봉 / [후] 삼릉 주차장)
→상선암(제9사지 / 11:43)
→이정표(11:50 / [직진] 금오봉-0.95Km / [후] 상선암-0.1Km / [후] 삼릉주차장-1.7Km)
→이정표(11:51 / [우측] 금오봉-0.9Km / [후] 상선암 / [후] 삼릉 주차장-1.65Km / [직진] 삼불사-1.6Km)
→삼릉계 제9사지 마애여래상(11:53)
→바둑바위(11:59)
→이정표(12:02 / [직진] 금오봉-0.8Km / [후] 삼불사-1.5Km / [후] 삼릉 주차장-1.8Km)
→이정표(경주 05-04 / 해발 402m / 12:10 / [직진] 금오봉 / [후] 삼릉주차장)
→이정표(경주 05-05 / 해발 440m / 12:15 / [직진] 금오봉 / [후] 삼릉 주차장)
→이정표(12:17 / [직진] 금오봉-0.1Km / [후] 상선암-0.9Km / [후] 삼릉 주차장-2.5Km / [좌측] 통일전 주차장-4.0Km / [좌측] 화장실-100m)
→금오봉(12:19 / [후] 삼릉 주차장-2.6Km / [후] 포석정 주차장-4.7Km / [후] 약수계곡 마애입불상-0.4Km / [우측] 약수골 입구-1.5Km / [직진] 고위봉-4.6Km / [직진] 통일전 주차장-4.2Km / [직진] 용장마을-3.5Km)
→이정표(12:27 / [직진] 상선암-0.9Km / [직진] 삼릉 주차장-2.5Km / [후] 금오봉-0.1Km / [우측] 화장실-100m / [우측] 통일전 주차장-4.0Km)
→이정표(경주 05-05 / 해발 440m / 12:29 / [직진] 삼릉 주차장 / [후] 금오봉)
→이정표(경주 05-04 / 해발 402m / 12:33 / [직진] 삼릉 주차장 / [후] 금오봉)
→이정표(12:38 / [직진] 삼불사-1.5Km / [직진] 삼릉 주차장-1.8Km / [후] 금오봉-0.8Km)
→바둑바위(12:39)
→이정표(12:43 / [좌측] 삼릉 주차장-1.65Km / [좌측] 상선암 / [후] 금오봉-0.9Km / [우측] 삼불사-1.5Km)
→삼릉계곡 마야석가여래좌상(12:44)
→이정표(12:47 / [직진] 상선암-0.1Km / [직진] 삼릉 주차장-1.7Km / [후] 금오봉-0.95Km)
→상선암(12:49)
→이정표(경주 05-03 / 해발 262m / 12:53 / [직진] 삼릉 주차장 / [후] 금오봉)
→이정표(12:57 / [직진] 삼릉 주차장-1.25Km / [후] 상선암-0.35Km / [후] 금오봉-1.35Km / [우측] 삼릉계 석조여래좌상-40m)
→이정표(경주 05-02 / 해발 176m / 13:00 / [직진] 삼릉 주차장-1.1Km / [후] 상선암-0.5Km / [후] 금오봉-1.5Km)
→이정표(13:02 / [직진] 삼릉 주차장-0.9Km / [후] 상선암-0.7Km / [후] 금오봉-1.7Km / [우측] 삼릉계곡 선각 육존불-0.02Km)
→이정표(13:04 / [직진] 삼릉 주차장-0.8Km / [후] 상선암-0.8Km / [후] 금오봉-1.8Km)
→이정표(13:04 / [직진] 삼릉 주차장-0.75Km / [후] 상선암-0.85Km / [후] 금오봉-1.85Km / [우측] 마애관음보살상-50m / [우측] 삼릉계 제2사지 석조여래좌상)
→이정표(경주 05-01 / 해발 117m / 13:06 / [직진] 삼릉 주차장 / [후] 금오봉)
→이정표(13:11 / [우측] 삼불사-550m / [우측] 삼릉 주차장-0.3Km / [후] 상선암-1.3Km / [후] 금오봉-2.3Km)
→이정표(13:11 / [좌측] 삼릉 주차장-0.25Km / [후] 삼릉-60m / [후] 상선암-1.35Km / [후] 금오봉-2.35Km / [우측] 삼불사-500m)
→삼릉탐방지원센터(13:14)
→삼릉 주차장(13:15 / 점심)→출발(13:31)→석굴암 주차장(14:10)
※ 총산행시간 : 2시간 17분
※ 총산행거리 : 5.80Km
5. 교통편
⇒ 발산역을 출발(05:48) 영등포구청역(지하철 5호선, 06:03)을 경유하여 합정역(지하철 2호선)까지 지하철 이용(0:30 소요 / 1,000원 + 100원)
⇒ 합정역을 출발하여 경부고속도로→경주TG(10:50)를 거쳐 삼릉 주차장까지 전세버스 이용(4:28 소요)
⇒ 삼릉 주차장을 출발하여 석굴암 주차장까지 전세버스 이용(0:39 소요)
6. 산행비
산 행 비 15,500원(총 30,000원)
물품구입 1,500원
교 통 비 1,100원
합 계 18,100원
7. 산 행
삼릉 주차장에서 산행 출발. 삼릉탐방지원센터를 지나 삼불사 갈림길(직진)에서 우측의 삼릉과 상선암, 금오봉 방면으로 등산로가 이어지며 삼릉(우측)을 지나 완만한 소나무 숲길을 걷게 되면 제1사지 탑재 및 석재, 제2사지를 지나 등산로 좌측에 위치한 마애관음보살상, 삼릉계곡 선각 육존불, 석조여래좌상 등을 관람. 다시 우측의 주등산로에 합류한 뒤 경사진 오르막 길을 오르게 되면 상선암에 도착.
상선암 뒤편으로 다시 경사진 오르막 길을 오르게 되면 삼불사(좌측) 방면 갈림길을 지나자마자 좌측으로 망산, 벽도산 방면 등이 조망되는 넓은 암반의 바둑바위에 도착. 이후로는 바위길과 경사진 계단길을 지나 완만한 능선길이 이어지며 통일전 주차장(좌측) 방면 갈림길을 지나 해발 468m의 남산 정상인 금오봉에 도착.
금오봉에서 우측의 약수계곡 방면으로 하산하려고 했으나 안내산악회의 전세버스 출발시간이 촉박하여 올라온 길을 따라 다시 하산. 통일전 주차장(우측) 방면 갈림길, 바둑바위, 마애석가여래좌상을 거쳐 상선암에 도착한 뒤 완만한 등산로를 따라 삼릉탐방지원센터(주차장) 방면으로 하산.
<삼릉주차장의 경주국립공원 남산지구 안내도>
<경주국립공원 남산지구 간판>
<삼릉탐방지원센터>
<삼릉 상선암 금오봉과 삼불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
<등산로 우측의 삼릉 전경>
<삼릉 주변의 소나무숲 전경>
<상선암과 금오봉 방면 이정표>
<삼릉 주변의 경주 남산 역사문화 탐방로 안내도>
<경주 남산 삼릉계 제1사지 탑재 및 석재 안내문>
<경주 남산 삼릉계 제1사지 탑재 및 석재>
<경주 05-01 이정표>
<경주 남산 삼릉계 제2사지 안내문>
<경주 남산 삼릉계 제2사지의 석조여래좌상>
<금오봉 상선암과 마애관음보살상 방면 갈림길 이정표>
<금오봉 상선암 방면 이정표>
<등산로 우측의 기도터>
<금오봉 상선암과 삼릉계곡 선각육존불 방면 갈림길 이정표>
<삼릉계곡 선각육존불>
<삼릉계곡 선각육존불 안내문>
<금오봉과 상선암 방면 이정표(경주 05-02)>
<경주 남산 삼릉계 삼층석탑 안내문>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안내문>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옆의 기도터>
<경주 남산 삼릉계 삼층석탑이 존재했던 곳 주변 전경>
<경주 남산 삼릉계 제6사지 안내문>
<경주 남산 삼릉계 제6사지에서 바라본 남산 정상 방면 전경>
<금오봉 상선암과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방면 갈림길 이정표>
<경주 남산 삼릉계 제9사지 마애여래상 안내문>
<경주 남산 삼릉계 제9사지 주변의 대형 기암괴석>
<경주 남산 삼릉계 제9사지에서 바라본 마애여래상 방면 전경>
<금오봉과 바둑바위 방면 중턱에서 바라본 주변 전경>
<바둑바위의 주변 경관 안내도>
<바둑바위에서 바라본 망산 방면 전경>
<바둑바위와 사진 엽서함>
<금오봉 정상 방면 이정표>
<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 안내문>
<바둑바위 부근 능선에서 내려다 본 마애석가여래좌상 방면 전경>
<바둑바위 부근 능선에서 바라본 금오봉 방면 전경>
<경주 05-04 이정표>
<바둑바위에서 금오봉 방면 능선길 전경>
<경주 05-05 이정표>
<금오봉과 통일전 주차장 방면 갈림길 이정표>
<금오봉 정상의 삼각점>
<남산과 망산의 유래 안내문>
<고위봉과 약수골 입구 방면 갈림길 이정표(금오봉 정상)>
<경주 남산(금오봉) 정상 표지석>
<삼릉주차장 상선암과 통일전 주차장 방면 갈림길 이정표>
<경주 05-05 이정표>
<금오봉에서 바둑바위와 상선암 방면 하산로 계단길>
<경주 05-04 이정표>
<금오봉에서 바둑바위와 상선암 방면 하산로 계단길>
<금오봉에서 바둑바위와 상선암 방면 하산로의 기암괴석과 소나무>
<삼릉주차장과 삼불사 방면 하산로 이정표>
<금오봉에서 상선암 방면 하산로의 바둑바위>
<삼릉주차장과 삼불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
<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 안내문(상선암 위)>
<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 부근에 핀 꽃>
<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상선암 위)>
<상선암과 삼릉주차장 방면 하산로 이정표>
<상선암 앞에 핀 자주달개비꽃>
<삼릉계곡 방면 하산로의 상선암>
<상선암에서 삼릉주차장 방면 하산로의 계단길>
<경주 05-03 이정표>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약사여래좌상 안내문>
<삼릉주차장과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방면 갈림길 이정표>
<삼릉주차장 방면 하산로 이정표(경주 05-02)>
<삼릉주차장과 삼릉계곡 선각육존불 방면 갈림길 이정표>
<삼릉주차장 방면 하산로 이정표>
<삼릉주차장과 마애관음보살상 방면 갈림길 이정표>
<경주 05-01 이정표>
<삼릉주차장 방면 소나무 숲길 전경>
<삼릉주차장 방면 소나무 숲길 전경>
<삼불사와 삼릉주차장 방면 하산로 이정표>
<삼릉주차장과 삼불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
<삼릉탐방지원센터 전경>
<트랭글 산행기록>
<트랭글 네이버 산행지도>
'산행기록(2020년대) > 산행기록(202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리산(경남 산청, 2022.06.18) - 제1364회 (0) | 2022.06.21 |
---|---|
토함산(경북 경주, 2022.06.12) - 제1363회 (0) | 2022.06.16 |
삼성산(경기 안양, 2022.06.11) - 제1361회 (0) | 2022.06.13 |
북한산(서울 강북, 2022.06.07) - 제1360회 (0) | 2022.06.10 |
사패산/도봉산(서울 도봉, 2022.06.07) - 제1359회 (0) | 2022.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