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록(2020년대)/산행기록(2021년)

북악산(서울 종로, 2021.01.01) - 제1209회

mouner(마우너) 2021. 1. 1. 22:46

산행보고서<1209>

 

 

1. 산행지 : 북 악 산(北岳山, 백악산[白岳山], 해발 342m)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북구

 

2. 산행일 : 2021년 1월 1일(금)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1명)

 

4. 산행로

발산역(12:50)→경복궁역(13:28 / 시내버스)

→자하문고개(13:39)→산행 출발(13:39)

→창의문(13:42)

→이정표(13:42 / [직진] 경복궁역-3000m / [후] 부암동 백석동천-2000m / [후] 세검정-1000m)

→창의문 안내소(13:43)

→자북정도 표지석(13:48)

→돌고래 쉼터(13:52 / [직진] 백악마루-1.3Km)

→백악 쉼터(13:59 / [직진] 백악마루-300m / [후] 창의문-650m)

→이정표(14:04 / [우측] 백악마루-20m / [후] 창의문-1.5Km / [직진] 숙정문-1.6Km)

→북악산(백악산 / 해발 342m / 14:06)

→1․21사태 소나무(14:11)

→청운대(해발 293m / 14:13 / [직진] 숙정문-1.2Km / [후] 백악마루-430m)

→이정표(120-북악산-06 / 14:16 / [직진] 곡장-370m / [직진] 화장실-100m / [후] 북악산 정상-390m / [후] 창의문-1,000m / [좌측] 청운대안내소-180m)

→이정표(장승 / 14:17 / [직진] 한양도성 곡장-250m / [후] 화장실-50m / [후] 청운대-160m)

→이정표(14:20 / [직진] 숙정문-700m / [후] 백악마루-980m / [좌측] 백악 곡성-40m)

→이정표(14:24 / [우측] 백악 촛대바위-20m / [후] 백악마루-1.2Km / [직진] 숙정문-460m)

→촛대바위(14:25)

→숙정문(14:30)

→숙정문 안내소(14:36 / [좌측] 팔각정 / [후] 숙정문 / [우측] 말바위 쉼터 / [직진] 삼청터널)

→삼청각 쉼터(14:38)

→수고해다리(14:40)

→이정표(성북천 발원지 / 14:41 / [직진] 팔각정-950m / [후] 삼청각-330m / [우측] 호경암-1,180m)

→쉼터(14:50)

→성북전망대(14:53 / [직진] 북악팔각정 / [후] 북악하늘 나들길 / [후] 삼청공원 / [후] 숙정문)

→이정표(출입문 / 14:55 / [직진] 산책로 연결 / [후] 성북동/숙정문)

→북악팔각정(14:57)

→이정표(15:01 / [직진] 창의문 / [후] 북악팔각정 / [우측] 평창동)

→이정표(15:04 / [직진] 창의문 / [직진] 한양도성 백악구간 / [후] 북악팔각정 / [우측] 평창동)

→이정표(4번 출입문 / 15:05 / [후] 북악팔각정-560m / [좌측] 북악산 정상-1,180m / [좌측] 한양도성 곡장-390m / [좌측] 북악산 4번 출입문)

→쉼터(15:07)

→이정표(15:09 / [우측] 백사실계곡[별서터]-320m / [후] 산책로 휴게소 / [후] 북악팔각정[약수터] / [직진] 창의문)

→이정표(15:10 / [직진] 약수터/별서터-280m / [후] 북악팔각정-1,000m / [우측] 서울예고/평창숲길-810m)

→약수터(15:15)

→이정표(15:16 / [좌측] 백사실계곡/별서터-400m / [후] 약수터/북악팔각정-60m / [직진] 신영동-950m)

→이정표(15:17 / [우측] 백사실[별서터]-400m / [후] 북악스카이웨이-450m)

→이정표(15:18 / [좌측] 백사실계곡[별서터]-350m / [후] 북악팔각정[약수터]-130m / [우측] 신영동-880m)

→이정표(도롱뇽 서식처 / 15:20 / [우측] 백석동천[부암동]-120m / [후] 약수터-270m / [좌측] 능금마을-230m)

→이정표(15:22 / [직진] 백석동천-120m / [후] 능금마을-280m / [후] 북악스카이웨이[팔각정]-1,350m / [우측] 백사실[별서터]-230m)

→이정표(15:23 / [후] 능금마을-400m / [우측] 백사실[별서터]-200m)

→백석동천 각자바위(15:23)

→이정표(15:25 / [직진] 백사실[별서터]-100m / [후] 백석동천-100m / [우측] 능금마을-450m)

→백사실(별서터 / 15:26)

→이정표(15:30 / [직진] 신영동[세검정]-500m / [후] 백사실계곡-200m / [후] 능금마을-550m)

→현통사(15:31)

→이정표(15:32 / [직진] 홍지문 / [후] 백사실계곡 / [후] 창의문 / [후] 세검정 계곡숲길)

→일붕조사문(15:35)

→신영정(15:38)

→탕춘대터 표지석(15:39)

→세검정(15:40)→상명대(15:42)

※ 총산행시간 : 2시간 4분

※ 총산행거리 : 6.38Km

 

5. 교통편

⇒ 발산역에서 경복궁역까지 601번 시내버스 이용(0:38 소요 / 1,200원)

⇒ 경복궁역에서 자하문고개까지 1020번 시내버스 이용(0:07 소요 / 환승 할인 + 200원)

 

6. 산행비 : 교통비 1,400원

 

7. 산 행

최규식 경무관의 동상 등이 있는 자하문고개에서 계단길을 올라서면 창의문 안내소. 안내소에서 출입증을 발급받아 성곽을 따라 급경사의 목제 계단길을 오르기 시작. 자북정도(紫北正道) 표지석을 지나 돌고래쉼터와 백악쉼터를 지나게 되면 북악산 정상 밑 갈림길로 급경사 오르막 길의 연속. 갈림길에서 오른쪽 오르막 길로 잠시 올라서면 해발 342m의 북악산 정상으로 정상에는 백악산(白岳山)이라 새겨진 표지석과 북악산 옛 모습으로 복원 안내 표지석이 설치.

북악산 정상에서 갈림길로 다시 내려선 뒤 우측의 성곽을 따라 경사진 계단길을 내려서게 되며 1․21사태 소나무를 지나 넓은 공터인 해발 293m의 청운대에 도착. 청운대에서 계단을 이용해 성곽 밖으로 내려서게 되면 청운대 안내소 방면 갈림길을 지나 다시 장승이 있는 곳에서 성곽 안으로 진입. 성곽을 따라 곡장까지 완만한 오르막 길이 이어지며 이후 다시 내리막 길을 내려서게 되면 촛대바위를 지나 숙정문에 도착.

숙정문에서 계단길을 따라 숙정문 안내소로 내려선 뒤 좌측의 팔각정 방면 이정표를 따라 다시 계단길을 오르기 시작. 중턱의 삼청각 쉼터를 지나 북악산의 유래 안내문을 지나게 되면 수고해다리, 성북천 발원지에 도착하게 되며 이곳에서 팔각정 방면으로 급경사 계단길의 연속. 급경사 계단길을 15분여 오르게 되면 서울시 선정 성북구 우수 조망명소 안내도가 있는 성북 전망대에 도착하게 되며 울타리를 따라 출입문을 통과하게 되면 북악팔각정에 도착. 숙정문 안내소에서 약 20분여 소요.

북악팔각정에서 북악스카이웨이 도로를 따라 창의문 방면으로 걷게 되며 우측의 평창동 방면 갈림길(2곳)과 4번 출입문을 지나 갈림길에서 우측의 백사실계곡(별서터) 방면으로 하산. 완만한 계단길과 능선길을 걷게 되면 우측의 서울예고(평창숲길) 방면 갈림길, 약수터, 신영동 방면 갈림길, 능금마을 갈림길을 지나 대형 바위에 백석동천이 새겨진 각자바위에 도착하게 되며 이후 우측의 별서터를 지나 현통사에 도착. 현통사부터는 주택가를 통과하게 되며 일붕조사문이 새겨진 바위와 신영정(정자), 탕춘대 터 표지석, 세검정(정자)을 지나 상명대 입구에 도착. 북악팔각정에서 40분여 소요.

 

 

<자하문고개에서 창의문 방면 이정표>

 

<창의문 전경>

 

<자북정도 표지석>

 

<돌고래 쉼터의 백악마루 방면 이정표>

 

<백악 쉼터의 백악마루 방면 이정표>

 

<백악 쉼터에서 바라본 북한산 방면 전경>

 

<백악 쉼터에서 북악산 정상 방면 급경사 계단길과 성곽>

 

<백악 쉼터에서 북악산 정상 방면 급경사 계단길>

 

<백악마루와 숙정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

 

<백악산 정상 표지석>

 

<북악산 정상의 삿갓바위와 파란 하늘>

 

<북악산 정상 아래에서 바라본 청운대와 구진봉 방면 전경>

 

<1.21사태 소나무>

 

<청운대의 숙정문 방면 이정표>

 

<청운대 표지석>

 

<청운대 아래이 성곽길 전경>

 

<위치 안내판 120-북악산-06 이정표>

 

<곡장과 청운대 안내소 방면 갈림길 이정표>

 

<한양도성 곡장 방면 이정표>

 

<숙정문과 백악 곡성 방면 갈림길 이정표>

 

<백악 촛대바위와 숙정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

 

<백악 촛대바위 전경>

 

<숙정문 전경>

 

<숙정문 전경>

 

<숙정문에서 숙정문 안내소 방면 하산로 전경>

 

<숙정문 안내소에서 숙정문 방면 계단길 전경>

 

<숙정문 안내소의 북악산 탐방로 안내도>

 

<팔각정과 삼청터널 방면 갈림길 이정표>

 

<숙정문 안내소에서 삼청각 쉼터 방면 계단길>

 

<삼청각 쉼터 현판>

 

<북악산의 유래 안내문>

 

<수고해다리 안내문>

 

<성북천 발원지 안내문>

 

<팔각정과 호경암 방면 갈림길 이정표>

 

<성북천 발원지에서 팔각정 방면 계단길 전경>

 

<성북천 발원지에서 팔각정 방면 계단길 전경>

 

<성북천 발원지에서 팔각정 방면 등산로 중턱의 쉼터>

 

<북악팔각정 방면 이정표>

 

<성북전망대의 우수 조망명소 안내도>

 

<성북전망대 현판>

 

<성북전망대에서 팔각정 방면 등산로>

 

<성북전망대에서 팔각정 방면 등산로의 이정표>

 

<팔각정에서 성북전망대 방면 등산로 출입문>

 

<북악팔각정 입구의 이정표>

 

<창의문과 평창동 방면 갈림길 이정표>

 

<창의문과 평창동 방면 갈림길 이정표>

 

<북악산 정상과 한양도성 곡장 방면 이정표>

 

<창의문 방면 북악스카이웨이의 쉼터 전경>

 

<백사실계곡과 창의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

 

<북악스카이웨이에서 백사실계곡 방면 하산로 전경>

 

<약수터와 별서터 방면 이정표>

 

<바닥에 떨어진 서울예고와 평창숲길 방면 이정표>

 

<백사실계곡 방면 하산로 전경>

 

<백사실계곡 방면 하산로의 약수터 전경>

 

<백사실계곡 생태경관보전지역 안내문>

 

<백사실계곡과 신영동 방면 갈림길 이정표>

 

<백사실 별서터 방면 하산로 이정표>

 

<백사실계곡과 신영동 방면 갈림길 이정표>

 

<백사실계곡과 신영동 방면 갈림길 이정표>

 

<백석동천과 능금마을 방면 갈림길 이정표>

 

<능금마을 입구의 도롱뇽 서식처 안내문>

 

<능금마을 입구의 얼어붙은 계곡 전경>

 

<능금마을 입구의 얼어붙은 계곡 전경>

 

<백석동천과 백사실 방면 갈림길 이정표>

 

<백사실과 능금마을 방면 이정표>

 

<바위에 새겨진 백석동천>

 

<백석동천 안내문>

 

<백사실과 능금마을 방면 갈림길 이정표>

 

<백석동천 안내문>

 

<백석동천의 흔적들>

 

<백사실계곡 생태경관보전지역 안내문>

 

<백사실계곡 산책로 안내도>

 

<백사실계곡에서 세검정 방면 하산로 전경>

 

<신영동 세검정 방면 하산로 이정표>

 

<세검정 방면 하산로의 현통사 전경>

 

<현통사의 대웅보전 전경>

 

<현통사 내부 건물들>

 

<삼각산 현통사 입구 전경>

 

<현통사 입구의 이정표>

 

<현통사에서 바라본 부암동과 인왕산 방면 전경>

 

<세검정 방면 주택가의 일붕조사문 바위>

 

<일붕조사문 바위의 안내문>

 

<신영정 전경>

 

<탕춘대터 안내 표지석>

 

<세검정터 안내문>

 

<세검정 전경>

 

<트랭글 산행기록>

 

<트랭글 네이버 산행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