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보고서<1136>
1. 산행지 : 북 악 산(白岳山, 해발 342m)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북구
2. 산행일 : 2020년 6월 18일(목) / 당일산행
3. 산행자 : 개별산행(총 1명)
4. 산행로
발산역(13:10)→안국역(종로경찰서 / 14:02 / 시내버스)
→감사원(14:14 / 마을버스)→산행 출발(14:15)
→삼청공원(14:19)
→이정표(14:19 / [직진] 말바위 조망명소-800m / [직진] 북악산 한양도성 탐방로-850m / [직진] 숲속도서관-30m / [직진] 삼청공원 순환 산책길[말바위 쉼터]-1.2Km / [우측] 와룡공원-1150m)
→이정표(14:21 / [우측] 말바위 전망대-680m / [후] 숲속도서관-50m / [직진] 화장실-30m)
→이정표(14:22 / [좌측] 말바위 조망명소-620m / [후] 삼청공원 순환 산책길[삼청공원 관리사무소]-160m / [우측] 와룡공원-1050m / [우측] 삼청공원 순환 산책길[와룡공원]-850m)
→이정표(말바위 등산로 입구 / 14:25 / [우측] 삼청공원 순환 산책길[말바위 쉼터]-560m / [후] 삼청공원 관리사무소-350m / [직진] 삼청공원 순환 산책길[삼청공원 관리사무소]-540m / [직진] 삼청공원 후문-260m)
→이정표(14:31 / [직진] 말바위 전망대-300m / [후] 삼청공원 순환 산책길[삼청공원 관리사무소]-920m / [좌측] 삼청공원 순환 산책길-300m / [좌측] 한양도성 탐방로-400m)
→이정표(14:38 / [직진] 숙정문-460m / [후] 삼청공원 순환 산책길[삼청공원 관리사무소]-1.2Km / [후] 삼청공원 순환 산책길[와룡공원]-600m / [후] 말바위 전망대-100m / [좌측] 삼청공원 관리사무소-600m)
→말바위 안내소(14:41)
→말바위 전망대(14:41)
→숙정문(14:45)
→이정표(14:52 / [좌측] 백악 촛대바위-20m / [후] 숙정문-460m / [직진] 백악마루-1.2Km)
→촛대바위(14:53)
→이정표(14:59 / [직진] 백악마루-980m / [후] 숙정문-700m / [우측] 백악 곡성-40m)
→이정표(장승 / 15:03 / [직진] 청운대-160m / [후] 곡장-250m)
→청운대(해발 293m / 15:09 / [직진] 백악마루-430m / [후] 숙정문-1.2Km)
→1.21사태 소나무(15:13)
→이정표(15:16 / [좌측] 백악마루-20m / [후] 숙정문-1.6Km / [직진] 창의문-1.5Km)
→북악산(백악산 / 해발 342m / 15:17)
→이정표(15:19/ [좌측] 창의문-1.5Km / [후] 백악마루-20m / [우측] 숙정문-1.6Km)
→백악쉼터(15:22 / [직진] 창의문-650m / [후] 백악마루-300m)
→돌고래쉼터(15:30 / [후] 백악마루-1.3Km)
→자북정도 표지석(15:32)
→창의문 안내소(15:36)
→창의문(15:38)
→이정표(15:39 / [우측] 윤동주 시인의 언덕-180m / [후] 창의문-80m)
→자하문고개 버스정류장(15:40)
→세종문화회관(15:53 / 시내버스)→광화문역(15:56)→발산역(16:40 / 지하철)
※ 총산행시간 : 1시간 24분
※ 총산행거리 : 3.86Km(트랭글 기준)
5. 교통편
⇒ 발산역에서 안국역(종로경찰서)까지 601번 시내버스 이용(0:42 소요 / 1,200원)
⇒ 안국역(종로경찰서)에서 감사원까지 종로02 마을버스 이용(0:08 소요 / 환승 할인 + 200원)
→ 자하문고개에서 세종문화회관까지 7022번 시내버스 이용(0:10 소요 / 1,200원)
→ 광화문역에서 발산역까지 지하철 5호선 이용(0:44 소요 / 환승 할인 + 50원 + 300원)
6. 산행비 : 교통비 2,950원
7. 산 행
감사원 입구에서 삼청공원 방면으로 산행 출발.
삼청공원에서 말바위 방면 이정표를 따라 오르게 되면 말바위 등산로 시작 지점으로 이후 우측 방면의 오르막 길과 나무 계단길을 따라 오르기 시작. 계단길을 오르다가 말바위 입구에서 공사에 따른 통제로 인하여 좌측 방면 우회로를 이용하여 성곽길에 합류한 뒤 성곽을 따라 가게 되면 출입증을 교부해주는 말바위 안내소를 통과.
말바위 안내소와 쉼터를 지나 계속해서 성곽을 따라 오르게 되면 서울 사대문중 북대문인 숙정문에 올라서게 되며 우측으로 삼청각이 내려다 보이고, 위로는 북악스카이웨이로 연결되는 팔각정이 조망. 이후 촛대바위와 곡성 갈림길을 지난 뒤 장승과 이정표, 한양도성의 축성시기별 안내문 등이 있는 곳에서 성곽 밖으로 나갔다가 다시 들어서면 주위 전망이 확 트이는 해발 293m의 청운대에 도착.
다시 성곽을 따라 오르막 길의 연속으로 1․21사태 소나무를 지나게 되면 해발 342m의 북악산(일명 백악산) 정상에 도착. 정상에 올라서면 남산 방면 서울 시내가 조망되며 정상에는 백악산 표지석과 북악산 옛 모습으로 복원이 새겨진 표지석 등이 설치.
북악산 정상에서 창의문 방면으로 성곽을 따라 급경사 계단길을 내려서게 되면 백악쉼터와 돌고래쉼터, 자북정도 표지석 등을 지나게 되며 이후 창의문안내소를 거쳐 창의문(자하문)에 도착.
<감사원 입구의 표지석>
<삼청공원 입구의 표지석>
<말바위 조망명소와 와룡공원 방면 갈림길 이정표>
<말바위 쉼터와 삼청공원 관리사무소 방면 이정표>
<말바위 조망명소와 와룡공원 방면 갈림길 이정표>
<말바위 등산로 입구에 핀 산수국>
<말바위 등산로 입구에 핀 산수국>
<말바위 등산로 입구 전경>
<말바위 쉼터와 삼청공원 후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
<말바위 등산로 입구에 핀 비비추>
<말바위 등산로 입구의 등산로 안내도>
<말바위 전망대 방면 등산로에 핀 작살나무꽃>
<말바위 쉼터와 말바위 전망대 방면 갈림길 이정표>
<등산로 조성 공사에 따른 통제 안내문>
<말바위 전망대와 숙정문 방면 우회로 전경>
<숙정문과 말바위 전망대 방면 갈림길 이정표>
<말바위 안내소 안내문>
<말바위 전망대 이정표>
<말바위 전망대 부근에서 바라본 삼청각 방면 전경>
<숙정문 방면 전경>
<숙정문과 서울 한양도성 순성길 안내문>
<숙정문 전경>
<백악 촛대바위와 백악마루 방면 갈림길 이정표>
<백악 촛대바위>
<백악곡성 갈림길 부근의 갈퀴꼭두서니>
<백악마루와 백악 곡성 방면 갈림길 이정표>
<청운대 방면 성곽길에 핀 엉겅퀴와 벌>
<청운대 방면 성곽길에 핀 엉겅퀴>
<청운대 방면 성곽길에 핀 엉겅퀴>
<창의문 방면 성곽길에 핀 엉겅퀴와 나비>
<백악마루와 법흥사 방면 갈림길 이정표>
<창의문과 곡장 방면 갈림길 이정표>
<축성 시기에 따른 성곽의 형태>
<축성 시기에 따른 형태 안내문>
<청운대 방면 성곽 전경>
<청운대 표지석>
<청운대의 이정표>
<청운대 부근에 핀 비비추>
<한양도성의 각자성석 안내문>
<1.21 사태 소나무 방면 계단길에 핀 딱지꽃>
<1.21 사태 소나무 방면 계단길에 핀 딱지꽃>
<1.21 사태 소나무>
<1.21 사태 소나무 안내문>
<북악산 정상 방면 계단길에 핀 돌나물>
<북악산 정상 방면 계단길에 핀 돌나물>
<백악마루와 창의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
<북악산 정상 아래에 핀 나리꽃>
<북악산 옛 모습으로 복원 안내 표지석>
<북악산 정상의 백악산 표지석>
<백악쉼터 부근에 핀 기린초>
<백악쉼터 부근에 핀 기린초>
<백악쉼터의 이정표>
<백악쉼터에서 바라본 인왕산 기차바위 방면 전경>
<돌고래 쉼터의 이정표>
<창의문 방면 하산로의 자북정도 표지석>
<창의문 방면 하산로 계단길에 핀 엉겅퀴>
<창의문 방면 하산로 계단길에 핀 엉겅퀴>
<창의문안내소 이정표와 뒤로 보이는 인왕산 방면 전경>
<창의문 전경>
<서울 한양도성 순성길 안내도>
<트랭글 산행기록>
<트랭글 네이버 산행지도>
'산행기록(2020년대) > 산행기록(2020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량산(경북 봉화, 2020.06.20) - 제1138회 (0) | 2020.06.21 |
---|---|
개화산(서울 강서, 2020.06.19) - 제1137회 (0) | 2020.06.19 |
우성이산/화봉산(대전 유성, 2020.06.16) - 제1135회 (0) | 2020.06.16 |
북한산(서울 종로, 2020.06.14) - 제1134회 (0) | 2020.06.14 |
백련산(서울 서대문, 2020.06.14) - 제1133회 (0) | 2020.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