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보고서<1045>
1. 산행지 : 북한산(北漢山m, 백운대[白雲臺] 836m, 원효봉[元曉峯] 505m)
서울특별시 은평구. 경기도 고양시
2. 산행일 : 2019년 8월 31일(토) / 당일산행
3. 산행자 : 푸른산하산악회 토요산행(총 11명)
4. 산행로
발산역(14:00)→마포구청역(14:30 / 시내버스)→연신내역(14:53 / 지하철)
→북한산성입구(15:26 / 시내버스)→산행 출발(15:26)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15:34)
→이정표(15:38 / [직진] 백운대-4.0Km / [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0.3Km / [우측] 의상봉-1.2Km)
→용암사 입구(15:42)
→이정표(15:44 / [직진] 백운대-3.6Km / [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0.6Km)
→대서문(15:46)
→무량사(15:51)
→이정표(북한동역사관 / 15:55 / [직진] 백운대-4.1Km / [직진] 대남문-3.7Km / [직진] 북한산대피소-2.5Km / [좌측] 백운대-2.6Km / [좌측] 원효봉-1.2Km)
→선봉사(15:58)
→이정표(법용사 / 16:02 / [직진] 대남문-3.3Km / [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1.9Km / [우측] 의상봉-1.1Km / [우측] 국녕사-0.6Km)
→이정표(북한 51-01 / 해발 241m / 16:03 / [직진] 대남문 / [후] 북한동역사관)
→중성문(16:07)
→이정표(16:09 / [좌측] 노적사-0.2Km / [우측] 중창지-0.8Km)
→노적사 입구(16:11)
→이정표(노적봉 입구 / 16:15)
→산불감시초소(16:18)
→갈림길(16:29)
→대동사 입구(16:36 / [우측] 백운대-1.6Km / [좌측]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2.5Km)
→이정표(16:45 / [직진] 백운대-1.3Km / [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2.8Km)
→쉼터(약수암 하단 / 17:00 / 간식)
→이정표(북한 50-02 / 해발 522m / 17:15 / [직진] 백운봉 암문 / [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이정표(북한 50-03 / 해발 646m / 17:29 / [직진] 백운봉 암문 / [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이정표(17:32 / [좌측] 백운대-0.4Km / [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3.7Km / [직진] 북한산대피소-1.3Km / [직진] 대동문-2.6Km)
→백운봉 암문(산불감시초소 / 15:37 / [좌측] 백운대-0.3Km / [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3.8Km / [후] 용암문-1.2Km / [직진] 인수대피소-1.1Km / [직진] 백운대 탐방지원센터-1.8Km)
→백운대(18:09 / 간식)→하산(18:20)
→백운봉 암문(산불감시초소 / 18:31 / [우측]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3.8Km / [우측] 용암문-1.2Km / [후] 백운대-0.3Km / [좌측] 인수대피소-1.1Km / [좌측] 백운대 탐방지원센터-1.8Km)
→이정표(18:32 / [우측]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3.7Km / [후] 백운대-0.4Km / [좌측] 대동문-2.6Km / [좌측] 북한산대피소-1.3Km)
→이정표(북한 50-03 / 해발 646m / 18:33 / [직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 [후] 백운봉 암문)
→이정표(북한 50-02 / 해발 522m / 18:42 / [직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 [후] 백운봉 암문)
→쉼터(약수암 하단 / 18:44)
→이정표(18:49 / [직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2.8Km / [후] 백운대-1.3Km)
→이정표(대동사 입구 / 18:52 / [후] 백운대-1.6Km / [직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2.5Km)
→대동사(18:53)
→상운사(18:55)
→이정표(애란쉼터 / 18:57 / [우측] 원효봉-0.4Km / [후] 상운사 / [좌측] 백운대-2.2Km / [좌측] 산성탐방지원센터-2.3Km)
→북문(19:05 / [좌측] 원효봉-0.2Km / [후] 백운대-2.4Km / [후] 산성탐방지원센터-2.5Km / [직진] 효자비-2.0Km)
→원효봉(해발 505m / 19:11 / [직진] 효자리-1.6Km / [후] 백운대-2.6Km)
→이정표(19:37 / [직진] 효자비 입구-1.1Km / [후] 원효봉-0.5Km)
→원효암(19:39)
→시암문(시구문 / 19:51 / [후] 원효암-0.8Km / [후] 북문-1.8Km / [후] 원효봉-2Km / [좌측] 덕암사 목조보살좌상-0.3Km / [좌측]하창지-0.8Km / [좌측] 행궁지-3.35Km)
→이정표(북한 48-01 / 해발 106m / 20:05 / [직진] 효자리 / [후] 원효봉)
→이정표(20:08 / [직진] 효자리-0.1Km / [후] 시구문-0.5Km / [후] 원효봉-1.5Km)
→이정표(20:10 / [좌측] 북한산 둘레길[진관동] / [좌측]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0.8Km / [후] 원효봉-1.6Km / [직진] 밤골공원지킴터-2.7Km)
→이정표(20:12 / [좌측] 북한산 둘레길[진관동] / [좌측]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0.6Km / [후] 북한산 둘레길[교현리] / [후] 밤골공원지킴터-2.9Km)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20:27)
→북한산성입구(20:34 / 뒤풀이)→출발(22:00)→강서구청(22:35 / 자가용)→발산역(22:45 / 마을버스)
※ 총산행시간 : 5시간 8분
※ 총산행거리 : 10.7Km
5. 교통편
⇒ 발산역을 출발하여 마포구청역까지 601번 시내버스 이용(0:30 소요 / 1,200원)
⇒ 마포구청역에서 연신내역까지 지하철 6호선 이용(0:23 소요 / 환승 할인 + 50원)
⇒ 연신내역(3번 출구)에서 북한산성 입구까지 34번 시내버스 이용(0:33 소요 / 환승 할인 + 100원)
⇒ 북한산성 입구에서 강서구청 입구까지 자가용 이용(0:38 소요)
⇒ 강서구청 입구에서 발산역까지 강서 06번 마을버스 이용(0:10 소요 / 900원)
6. 산행비 : 교통비 2,250원
7. 산 행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를 지나 백운대 방면 임도를 따라 걷게 되면 의상봉 갈림길(우측), 용암사 입구, 대서문, 무량사, 북한동 역사관을 지나 원효봉(좌측)과 대남문(우측) 방면 갈림길에 도착. 갈림길에서 우측의 대남만과 북한산대피소 방면으로 들어서면 선봉사, 법용사, 의상봉/국녕사 입구(우측), 중성문을 지나 노적사 입구에 도착. 좌측의 노적사 방면으로 들어서게 되면 노적봉 일원 추락 위험지역 출입제한 안내문을 만나게 되며 이후 산불감시초소를 지나 노적봉 입구에서 좌측의 울타리를 건너게 되면 대동사 입구에 도착(북한동 역사관 부근 갈림길에서 좌측의 원효봉과 백운대 방면으로 진입했어야 하나 우측의 대남문 방면으로 잘못 진입하여 노적사 방면으로 우회)
대동사 입구에서 우측의 백운대 방면으로 오르게 되면 약수암 하단 쉼터를 지나 급경사 계단길을 올라 백운봉 암문에 도착. 이후 좌측의 계단길과 암릉구간을 올라서게 되면 해발 836m의 북한산 정상인 백운대에 도착.
백운대에서 백운봉 암문을 거쳐 하산하다가 약수암 하단 쉼터를 지나 대동사 입구에서 우측의 대동사 방면으로 진입. 대동사 입구를 지나 상운사를 거쳐 애란 쉼터에서 우측의 원효봉 방면 계단길을 오르게 되면 북문에 도착. 북문에서 좌측의 성곽길을 따라 급경사 구간을 오르게 되면 원효봉 정상에 도착. 원효봉에서 효자리 방면으로 하산하게 되면 성곽을 따라 경사진 계단길을 걷게 되며 시구문을 지나 밤골공원지킴터 방면(직진)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걷게 되면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에 도착.
<북한산 국립공원 입구 이정표>
<백운대와 의상봉 방면 갈림길 이정표>
<용암사 입구의 표지석>
<백운대와 자연 관찰로 방면 갈림길 이정표>
<공사중인 대서문 전경>
<대서문 안내문>
<무량사 입구 전경>
<대남문과 원효봉 방면 갈림길 이정표>
<선봉사 입구의 표지석>
<대남문과 의상봉 방면 갈림길 이정표>
<북한 51-01 이정표>
<중성문 방면 등산로에 핀 꿩의다리>
<공사중인 중성문 전경>
<중성문 안내문>
<노적사 입구의 갈림길 이정표>
<노적사 표지석>
<노적봉 아래의 추락 위험지역 출입제한 안내문>
<노적사 뒤편의 산불감시초소>
<노적사 뒤편에 핀 꽃>
<노적사 뒤편에 핀 물봉선>
<노적사 뒤편의 등산로 갈림길>
<백운대 방면 이정표>
<약수암 하단의 탐방로 안내도>
<백운대 방면 등산로에 핀 가는장구채>
<북한 50-02 이정표>
<약수암 아래에 새겨진 표지석>
<북한 50-03 이정표>
<대동문과 북한산 대피소 방면 이정표>
<백운봉 암문 안내문>
<백운봉 암문의 산불감시초소와 갈림길 이정표>
<백운동 암문 사이로 보이는 상계동 방면 전경>
<백운대 중턱에서 바라본 만경대 방면 전경>
<백운대 중턱에서 바라본 노적봉과 사모바위 방면 능선 전경>
<백운대 암릉구간에 핀 양지꽃>
<백운대 중턱에서 바라본 오리바위와 만경대 방면 전경>
<백운대 중턱에서 바라본 오리바위와 노적봉 방면 전경>
<백운대 아래에서 바라본 인수봉 방면 전경>
<백운대에서 바라본 수락산과 불암산 방면 전경>
<삼각산 안내문>
<백운대에서 바라본 인수봉과 도봉산 방면 전경>
<백운대에서 바라본 인수봉과 도봉산 방면 전경>
<통일서원 표지석>
<백운대 정상에 새겨진 표지석>
<3.1운동 암각문 안내문>
<백운대 아래에서 바라본 만경대 방면 전경>
<백운봉 암봉 아래의 갈림길 이정표>
<북한 50-03 이정표>
<약수암 아래 쉼터 전경>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방면 이정표>
<대동사 입구의 이정표>
<상운사의 천불전 전경>
<원효봉과 산성탐방지원센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원효봉과 효자비 방면 갈림길 이정표>
<원효봉에서 바라본 석양>
<원효봉 정상의 이정표>
<원효봉 부근에 핀 기름나물>
<원효봉에서 바라본 석양 전경>
<원효봉에서 바라본 석양 전경>
<원효암의 이정표>
<서암문권역 안내문>
<북한 48-01 이정표>
<효자리 방면 하산로 이정표>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방면 하산로 이정표>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방면 하산로에 핀 인동덩굴>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입구 전경>
<탐방지원센터 입구의 야간산행금지 안내문>
<트랭글 산행기록>
<트랭글 네이버 산행지도>
'산행기록(2010년대) > 산행기록(2019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산(서울 서대문, 2019.09.08) - 제1047회 (0) | 2019.09.11 |
---|---|
안산(서울 서대문, 2019.09.01) - 제1046회 (0) | 2019.09.01 |
비래암산(강원 화천, 2019.08.17) - 제1044회 (0) | 2019.08.18 |
백련산(서울 은평, 2019.07.14) - 제1043회 (0) | 2019.07.14 |
관악산(경기 과천, 2019.07.13) - 제1042회 (0) | 2019.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