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보고서<963>
1. 산행지 : 북한산(北漢山, 백운대[白雲臺] 836m, 인수봉[仁壽峰] 810.5m, 영봉 604m)
서울특별시 도봉구, 성북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2. 산행일 : 2018년 12월 31일(월) / 당일산행
3. 산행자 : 푸른산하산악회 개별산행(총 2명)
4. 산행로
독립문역(08:49)
→연신내역(09:04 / 시내버스)→출발(09:32)
→사기막골(09:56 / 시내버스)→산행 출발(09:56)
→이정표(사기막교 입구 / 09:59 / [직진] 북한산 둘레길[진관동] / [직진] 밤골공원지킴터-1.0Km / [직진] 백운대-4.8Km / [좌측] 북한산 둘레길[교현리] / [좌측] 우이령길 입구-3.7Km)
→이정표(10:05 / [우측] 북한산 둘레길[진관동] / [우측] 밤골공원지킴터-0.5Km / [우측] 백운대-4.4Km / [후] 북한산 둘레길[교현리] / [후] 사기막골 입구-0.5Km)
→이정표(10:09 / [좌측] 백운대-4.1Km / [후] 불한산 둘레길[교현리] / [후] 사기막골 입구-0.7Km / [직진] 북한산 둘레길[진관동] / [직진] 밤골공원지킴터-0.2Km)
→이정표(현위치 9-1 사기막골)
→이정표(북한 68-01 / 해발 158m / 10:13 / [직진] 백운대-3.8Km / [후] 사기막공원지킴터-1.0Km)
→송전탑(18번 / 10:14)
→이정표(현위치 9-2 사기막골 / 10:22)
→이정표(북한 68-02 / 해발 245m / 10:31 / [직진] 백운대-3.3Km / [후] 사기막공원지킴터-1.5Km)
→이정표(10:34 / [직진] 백운대-3.3Km / [후] 사기막공원지킴터-1.5Km)
→이정표(현위치 9-3 사기막골 / 10:36)
→이정표(현위치 9-4 사기막골 / 10:42)
→이정표(119 구급함 / 북한 68-03 / 해발 345m / 10:43 / [직진] 백운대-2.8Km / [후] 사기막공원지킴터-2.0Km)
→이정표(10:44 / [직진] 백운대-2.7Km / [후] 사기막공원지킴터-2.1Km / [우측] 밤골공원지킴터-2.2Km)
→이정표(현위치 9-5 사기막골 / 10:47)
→이정표(현위치 9-6 사기막골 / 10:52)
→이정표(현위치 9-7 사기막골 / 10:56)
→이정표(현위치 9-8 사기막골 / 11:01)
→이정표(북한 68-04 / 해발 472m / 11:02 / [직진] 백운대-2.3Km / [후] 사기막공원지킴터-2.5Km)
→이정표(현위치 9-9 사기막골 / 11:04)
→해골바위(11:04)
→이정표(현위치 9-10 사기막골 / 11:16)
→산불감시카메라(11:18)
→이정표(11:20 / [직진] 백운대-1.9Km / [후] 사기막공원지킴터-3.0Km / [우측] 밤골공원지킴터-2.2Km)
→이정표(북한 68-05 / 해발 566m / 11:26 / [직진] 백운대-1.8Km / [후] 사기막공원지킴터-3.0Km)
→구멍바위(숨은벽 산불감시초소 / 11:41)
→이정표(북한 46-05 / 해발 546m / 11:49 / [좌측] 백운대-1.3Km / [좌측] 백운봉 암문-1.0Km / [후] 사기막공원지킴터-3.5Km / [우측] 밤골공원지킴터-2.8Km)
→샘터(11:53)
→능선(12:11)
→이정표(12:16 / [우측] 백운대-0.5Km / [후] 밤골공원지킴터-3.6Km / [좌측] 백운대피소-0.1Km / 휴식)
→백운봉 암문 입구(12:27 / [후] 밤골-3.1Km)
→이정표(오리바위 / 북한 21-04 / [직진] 백운대-0.1Km / [후] 백운탐방지원센터-2.0Km)
→백운대(12:43 / 점심)→하산(13:12)
→이정표(오리바위 / 북한 21-04 / 13:16 / [직진] 백운탐방지원센터-2.0Km / [후] 백운대-0.1Km)
→백운봉 암문(산불감시초소 / 13:24 / [좌측] 인수대피소-1.1Km / [좌측] 백운대 탐방지원센터-1.8Km / [우측] 용암문-1.2Km / [우측]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3.8Km / [후] 백운대-0.3Km)
→백운산장(13:31 / [직진] 인수대피소-0.9Km / [직진] 백운대 탐방지원센터-1.6Km / [후] 백운대-0.5Km / [후] 북한산 대피소-1.7Km / [좌측] 밤골 방향-2.9Km)
→이정표(북한 21-03 / 해발 626m / 13:38 / [직진] 백운탐방지원센터-1.5Km / [후] 백운대-0.6Km)
→인수암(13:52)
→북한산 인수대피소(경찰산악구조대 / 13:53 / [직진] 화장실-0.05Km / [직진] 우이동 하산길-0.95Km / [후] 화장실-0.15Km / [후] 백운대-1.25Km / [후]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4.9Km)
→이정표(북한 21-02 / 해발 480m / 13:54 / [직진] 백운탐방지원센터-1.0Km / [후] 백운대-1.1Km)
→이정표(13:55 / [직진] 백운대 탐방지원센터-0.9Km / [직진] 도선사-1.2Km / [후] 인수대피소-0.05Km / [후] 백운대-1.2Km)
→이정표(하루재 / 13:59 / [좌측] 영봉-0.2Km / [좌측] 육모정 공원지킴터-2.8Km / [후] 인수대피소-0.2Km / [후] 백운대-1.4Km / [직진] 백운대 탐방지원센터-0.7Km)
→영봉(해발 604m / 14:10 / [우측] 육모정 공원지킴터-2.6Km / [후] 하루재-0.2Km)
→암봉(14:19)
→이정표(북한 69-04 / 해발 554m / 14:23 / [직진] 육모정 공원지킴터 / [후] 하루재)
→헬기장(14:31)
→이정표(14:32 / [직진] 육모정 공원지킴터-1.8Km / [후] 영봉-0.8Km)
→이정표(북한 69-03 / 해발 488m / 14:39 / [직진] 육모정 공원지킴터 / [후] 하루재)
→육모정고개(송전탑 / 산불감시초소 / 14:46 / [직진] 육모정 공원지킴터-1.3Km / [후] 영봉-1.3Km)
→이정표(북한 69-02 / 해발 388m / 14:58 / [직진] 육모정 공원지킴터 / [후] 하루재)
→육모정 깔딱샘(14:59)
→용덕사(북한 69-01 / 해발 211m / 15:10 / [직진] 육모정 공원지킴터 / [후] 하루재 / [후] 육모정고개-1.1Km)
→이정표(15:17 / [직진] 육모정 공원지킴터-0.1Km / [후] 육모정고개-1.2Km / [후] 영봉-2.5Km / [좌측] 신검사)
→육모정 공원지킴터(15:20 / [직진] 북한산둘레길[수유동] / [후] 육모정고개-1.3Km / [후] 신검사/용덕사 / [후] 영봉-2.6Km / [좌측] 우이령길[사전예약제구간])
→이정표(15:35 / [직진] 북한산둘레길[수유동] / [직진] 북한산둘레길[방학동] / [직진] 왕실묘역길[방학동 방향] / [후] 육모정길[영봉] / [후] 우이령길[교현리])
→북한산우이역(15:38)
→발산역(17:20 / 지하철)
※ 총산행시간 : 5시간 42분
※ 총산행거리 : 9.27Km
5. 교통편
⇒ 독립문역에서 연신내역까지 705번 시내버스 이용(0:15 소요 / 1,200원)
⇒ 연신내역에서 사기막골까지 704번 시내버스 이용(0:24 소요 / 환승 할인 + 100원)
⇒ 북한산우이역에서 신설역(우이신설선, 16:07)→신길역(지하철 1호선, 16:48) 경유 발산역까지 지하철 5호선 이용(1:35 소요 / 1,250 + 500원)
6. 산행비
물품구입 1,900원
교 통 비 3,050원
합 계 4,950원
7. 산 행
사기막골 버스정류장에서 하차하여 산행 출발. 마을길을 따라 걷게 되면 충의길 입구와 사기막교 입구를 지나 우측의 백운대와 밤골공원지킴터 방면으로 진입. 우측의 철조망을 따라 가게 되면 밤골공원지킴터 방면 갈림길이며 계속해서 좌측의 백운대 방면으로 본격적인 오르막 길의 시작. 119의 긴급연락처 이정표와 송전탑, 구급함 등을 지나게 되면 우측의 밤골공원지킴터 방면 갈림길을 지나게 되며 119의 9-9 이정표를 전후해서부터는 본격적인 암릉구간 시작.
해골바위를 지나 9-10 이정표와 산불감시카메라를 지나게 되면 우측의 밤골공원지킴터 방면 하산로 갈림길을 지나게 되며 계속해서 암릉구간을 오르게 되면 숨은벽 산불감시초소와 구멍바위에 도착. 구멍바위에서 우측의 내리막 길을 잠시 내려섰다가 다시 좌측으로 돌계단을 오르기 시작. 샘터를 지나 경사진 계단길을 올라서면 백운대와 인수봉 사이의 능선에 오르게 되며 이후 좌측의 백운대피소와 우측의 백운대 방면 갈림길 이정표에서 우측으로 잠시 내려서게 되면 백운봉 암문 입구에 도착. 이후 우측의 계단과 암릉구간을 오르게 되면 해발 836m의 북한산 정상인 백운대에 도착.
백운대 정상에서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백운봉 암문으로 내려선 뒤 좌측의 인수대피소와 백운대 탐방지원센터 방면으로 하산. 200여미터를 내려가게 되면 백운산장(백운대피소)에 도착하게 되며 이후 경사진 계단길 등을 지나면 인수봉이 조망되는 인수암과 인수대피소, 경찰산악구조대를 거쳐 하루재에 도착.
하루재에서 좌측의 영봉과 육모정 공원지킴터 방면으로 진입. 경사진 오르막 길과 계단길 등을 따라 200여미터 오르게 되면 해발 604m의 영봉에 도착. 영봉 이정표를 지나 헬기장이 있는 곳이 실질적인 영봉 정상이며 남서쪽 방면으로 또다른 느낌의 인수봉과 만경대 등이 조망되고 북동쪽 방면으로는 도봉산의 여성봉, 오봉, 자운봉 등이 조망.
영봉에서 우측의 육모정 공원지킴터 방면 이정표를 따라 완만한 능선길이 이어지고 주변 전망이 좋은 암봉을 지나고 헬기장을 거쳐 육모정 고개에 도착. 송전탑과 산불감시초소 등이 있는 육모정 고개에서 우측의 계단길로 하산. 경사진 하산로를 따라가게 되면 육모정 깔딱샘을 거쳐 거대한 바위에 새겨진 마애여래불입상이 있는 용덕사를 지나 육모정 공원지킴터에 도착.
이후 철조망 출입문을 통과해 우측의 임도(우이령길)를 따라가게 되면 수많은 음식점들을 지나 우이동으로 하산.
<사기막골 공원지킴터 전경>
<백운대와 우이령길 입구 방면 갈림길 이정표 - 사기막교 입구>
<백운대와 밤골공원지킴터 방면 이정표>
<백운대와 밤골공원지킴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북한 68-01 이정표>
<현위치 9-2 사기막골 이정표>
<북한 68-02 이정표>
<백운대 방면 이정표>
<현위치 9-3 사기막골 이정표>
<현위치 9-4 사기막골 이정표>
<북한 68-03 이정표>
<숨은벽 방면 능선의 삼각점>
<숨은벽 방면 능선의 119 구급함>
<백운대와 밤골공원지킴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현위치 9-5 사기막골 이정표>
<현위치 9-6 사기막골 이정표>
<현위치 9-7 사기막골 이정표>
<현위치 9-8 사기막골 이정표>
<북한 68-04 이정표>
<숨은벽 능선에서 바라본 주변 전경>
<숨은벽 능선에서 바라본 도봉산 여성봉과 오봉 방면 전경>
<숨은벽 능선의 소나무들>
<숨은벽 능선에서 바라본 주변 전경>
<숨은벽 능선의 해골바위>
<숨은벽 능선에서 바라본 산불감시카메라 방면 전경>
<현위치 9-10 사기막골 이정표>
<숨은벽 능선의 산불감시카메라>
<백운대와 밤골공원지킴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숨은벽 능선에서 바라본 장군봉 방면 전경>
<숨은벽 능선 전경>
<북한 68-05 이정표>
<숨은벽 능선의 대형 기암괴석>
<숨은벽 능선에서 바라본 장군봉 아래 전경>
<인수봉과 숨은벽 전경>
<구멍바위에서 바라본 숨은벽>
<구멍바위 아래의 숨은벽 산불감시초소>
<백운대와 밤골공원지킴터 방면 갈림길 이정표>
<북한 46-05 이정표>
<백운대 방면 등산로의 샘터>
<숨은벽 구멍바위에서 인수봉과 백운대 사이로 오르는 계단길>
<백운대와 백운대피소 방면 갈림길 이정표>
<밤골 방면 이정표>
<북한 21-04 이정표>
<백운대 중턱에서 바라본 인수봉 방면 전경>
<백운대 정상의 통일서원 표지석>
<백운대 정상의 3.1 운동 암각문 안내문>
<백운대 아래에서 바라본 인수봉 방면 전경>
<오리바위에서 바라본 만경대 방면 전경>
<백운대 아래의 오리바위>
<인수대피소/백운대 탐방지원센터와 용암문 방면 갈림길 이정표 - 백운봉 암문>
<인수대피소/백운대 탐방지원센터와 밤골 방면 갈림길 이정표 - 백운산장 입구>
<백운산장 입구 전경>
<백운산장 내부 전경>
<백운산장 앞의 백운의 혼>
<백운산장 안내문>
<북한 21-03 이정표>
<인수봉 아래의 암장 전경>
<인수봉 안내문>
<우이동 하산로에서 바라본 인수봉 전경>
<인수암 입구 전경>
<우이동 하산길 이정표 - 인수대피소 입구>
<북한산 인수대피소와 경찰산악구조대>
<북한 21-02 이정표>
<도선사와 백운대 탐방지원센터 방면 하산로 이정표>
<하루재의 갈림길 이정표 - 영봉/육모정 공원지킴터와 백운대 탐방지원센터 방면 이정표>
<영봉 정상으로 오르는 급경사 등산로>
<영봉 정상으로 오르는 계단길>
<영봉에서 바라본 좌측의 만경대와 우측의 인수봉 방면 전경>
<영봉 정상의 이정표>
<영봉에서 바라본 인수봉 방면 전경>
<영봉 정상의 헬기장>
<영봉에서 바라본 인수봉 방면 전경>
<영봉에서 바라본 도봉산 방면 전경>
<육모정고개 방면 능선의 암봉과 뒤로 보이는 수락산>
<암봉에서 내려다 본 도선사 방면 전경>
<북한 69-04 이정표>
<육모정고개 방면 능선의 헬기장>
<헬기장 부근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전경>
<육모정 공원지킴터 방면 이정표>
<육모정고개 방면 능선에서 바라본 도봉산 방면 전경 - 오봉과 자운봉 방면>
<북한 69-03 이정표>
<육모정고개로 내려가는 계단길>
<육모정고개의 쉼터 전경>
<육모정고개의 탐방로 안내도>
<육모정 고개의 송전탑>
<육모정 공원지킴터 방면 이정표 - 육모정 고개>
<북한 69-02 이정표>
<육모정 깔딱샘>
<용덕사의 산신각 전경>
<용덕사 안내문>
<용덕사의 대웅보전>
<용덕사의 마애약사여래불입상이 새겨진 바위 뒷모습>
<용덕사의 마애약사여래불입상>
<육모정고개 방면 이정표 - 용덕사 입구>
<북한 69-01 이정표>
<용덕사 입구의 표지석>
<육모정 공원지킴터 방면 이정표>
<신검사 방면 이정표>
<육모정 고개 방면 이정표 - 육모정 공원지킴터 입구>
<육모정 공원지킴터 전경>
<육모정 공원지킴터 입구의 탐방로 안내도>
<신검사/용덕사와 영봉 방면 이정표 - 육모정 공원지킴터 입구>
<북한산 둘레길과 우이령길 방면 이정표 - 육모정 공원지킴터 입구>
<왕실묘역길과 북한산 둘레길 방면 이정표>
<트랭글 산행기록>
<트랭글 네이버 산행지도>
'산행기록(2010년대) > 산행기록(2018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산(서울 서대문, 2018.12.31) - 제962회 (0) | 2019.01.01 |
---|---|
안산(서울 서대문, 2018.12.30) - 제961회 (0) | 2018.12.31 |
백련산(서울 서대문, 2018.12.30) - 제960회 (0) | 2018.12.31 |
안산(서울 서대문, 2018.12.29) - 제959회 (0) | 2018.12.30 |
감악산(경기 파주, 2018.12.27) - 제958회 (0) | 2018.12.27 |